인도의 문화적 세계화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인도의 문화적 세계화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인도의 음식산업과 세계적인 음식 대기업의 진출에 대한 반응

2. 국제적인 추종자를 거느리고 있는 ‘사이바바’라는 신적 존재와 관련된 종교적사회적 현상

본문내용

목격했습니다.
<우물의 물을 가득채운 기적>
심한 가뭄에 시달린 셜디마을의 사람들은 우물이 너무 심하게 말라 거의 바닥이 드러나자 사이 바바를 찾아 도와달라는 요청을 하였고, 사이 바바는 우물을 찾아가 기도를 올린뒤 나뭇잎 몇잎을 우물에 던지자 금방 우물에 물이 가득 차 올라왔습니다.
이외 많은 기적을 일으킨 셜디 마을의 사이 바바는 1918년 109살(추정)에 사망을 하였고, 그 뒤로부터 그는 마을의 수호신으로 숭배가 되기 시작하였습니다.
현재 인도에서 큰 자선사업을 벌이고 있는 단체들중의 하나인 사티야 사이 바바의 종교는 그의 기적이 언론을 통해 가짜임이 확인 되었어도 많은 신도들이 계속하여 그를 성자로 믿고 따른다고 합니다.
(1900년대초 촬영된 셜디 마을의 성자 사이 바바의 모습)
현재 마을 곳곳에 있는 신당의 사이 바바 조형물)
큰 병을 앓은뒤 자신이 사이 바바의 환생체라는 주장을 하기 시작한 사티야 사이 바바
1987년 사티야 사이 바바가 많은 관중이 지켜보는 가운데 성의사진을 통해 예수의 얼굴을 만들어낸 모습
인도에서 사이바바에 관한논쟁- 인도에서 사티아 사이바바에 관한논쟁은 반지 목걸이 신성한 물건들을 만들어내는 그의 능력에 집중 되어 있다.
그를 비방하는 사람들은 마술적인 속임수라 주장하고 사이바바를 믿는 신도들은 그의 신성함을 보여주는 증거라고 믿는다
신자들은 모든 것을 포기하고 기꺼이 그를 따른다. 이것은 인도 종교의 한특징이기도 하다.
그리고 그의 존재는 신과 신자의 관계를 가깝고 친밀하게 만든다.
사이바바를 다른 신인이나 종교철학자와 다르게 만드는 것은 자신이 인간의 형상을 한 신이라는 그의 주장이다.
그는 신에 대한 비지성적 사랑을 강조할 뿐 다른 인도의 신인이나 학자, 철학자들처럼 추상적인 종교이론을 제시하지 않는다.
사이바바의 활동 중심지 - 방갈로르에서 약 100마일 떨어진 안드라 프라데시 주의 뿌따빠르띠에 있는 쁘라산띠 닐라얌
이곳은 사이바바를 보러온 전 세계 신자들이 머무는 곳으로 레스토랑, 호텔,별장, 식당 등이 많이 생겨났다.
스리사티아 사이바바의 상징- 세계적인 추종자를 만들어 내는 개념과 직접적인 관계가 있다.
로고는 각각 다섯 개의 꽃잎이 두줄로 배열된 꽃 모양
안쪽 원의 다섯 꽃잎에는 주요 세계종교의 상징들이 담겨있다
힌두교의 옴, 기독교의 십자가, 조로아스터교의 불, 이슬람교의 초 승달, 불교의 바퀴
전통적인 상징이 사이바바교의 로고에 통합됨으로써 그 신자들은 기조의 종교 공동체를 탈퇴하지 않고 상징적 차원에서 사이바바교에참여할 수 있다. 또 전통종교에 실망한 사람들은 상징의 재해석을 통해 마음에 드는 종교를 자유롭게 고를수 있고 ‘사이신앙’이라는 더 큰 울타리 안에서 새로운 생활양식에 참여 할 수 있다.
사이바바 신앙의 지구촌
평일에도 아침 다섯시가 되면 5천명 이상의 사람들이 그의 축복을 구하기 위해 모이고 축제일에는 50만에서100만명이 모인다
세계각국에서 일년에 한번씩 그를 보기 위해 일본, 노르웨이, 러시아, 네덜란드, 독일등 단체 관광객들이 온다.
아쉬람 방문에서 가장 중요한 의식은 어느 정해진 날에 오전 6시와오후4시에 한 번 씩 열리는 다르샨이다. 전세계에서 온 수천 명의 신자들이 바바를 보기 위해 더위와 모기를 견디며 몇시간씩 기다린다. 그들중 60% 이상이 외국인이다.
사이바바의 신자
사이바바를 보기 위해 온 100명의 신자들을 인터뷰 한 결과 그들은 종교와 문화와 국가가 서로 달랐지만 그럼에도 자신이 기독교인이나 불교도이면서 동시에 바바의 신봉자라는 점에 전혀 모순을 느끼지 않고 있었다.
그들은 기독교를 믿는것과 바바를 신봉하는 것은 서로 배타적인 입장이 아니고 바바에 대한 믿음은 기독교를
  • 가격1,3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7.12.21
  • 저작시기2007.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4382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