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의 모든것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 79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인도의 모든것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본문Ⅰ.인도의 개괄적 정보

본문Ⅱ.인도의 인물 및 축제

본문Ⅲ.인도발전과 세계문화 유산및 가상 여행상품

참고문헌

본문내용

ism)와 불교가 발생하였다. 이 신흥종교들은 소수종파로 지금까지 연명하고 있고 불교의 경우에는 인도 밖에서 세계종교로 발전하였다.
인도의 통일이, 현재의 국경선과는 형태가 완전히 다르지만, 최초로 이루어졌던 것은 기원 3세기인 모리야(Mauriya)왕조의 아쇼끄대왕 때였고 모리야 왕조가 멸망한 이후 혼란기를 거쳐 4세기에 굽따(Gupta)왕조에 의해 다시 통일되었다. 굽따왕조가 멸망한 이후에는 무슬림에 의한 통일이 이루어질 때까지 인도를 통일할 정도로 강력한 힘을 가진 왕조는 등장하지 않았다.
이 시대의 특성은 종교적인 문헌은 풍부하지만 연도와 날짜가 명기된 문헌 즉, 역사서가 남아있지 않다는 것이다. 즉, 성전이나 경전은 있어도 일기나 연대기는 없다는 것이다. 이것은 인도인들의 내세(來世)지향적인 사상에서 기인한 것이라고 추측되고 있다. 그래서 이 시기의 역사는 성전, 비문, 경전 그리고 외국인들의 기록을 짜깁기하여 알아낼 수밖에 없다.
<이슬람의 시대>
이슬람교도 즉, 무슬림이 인도와 처음으로 접촉한 것은 기원 후 7세기 서인도지역 에서부터였다. 그 이후 8세기에서 13세기에 걸쳐 여러 종류의 접촉이 있었고 1206년 아이바끄(Outb-ud-din Aibak) 아프간 출신의 무슬림으로서 구르(Ghur)왕조의 장군이었으나 1206년 독립하여 인도 최초로 델리에 술탄왕조를 세웠다.
가 델리에 무슬림왕조를 건설하였다. 그 후 350년에 걸쳐 5개의 무슬림왕조가 델리에서 흥망을 거듭했고 1526년에는 대제국인 무갈(Mughal)왕조가 건설되었다. 저 유명한 타지마할(Taj Mahal)도 무갈제국 시대에 건설된 것이다.
무슬림이 가지고 들어온 문화는 인도 고유의 문화와 사회질서에 영향을 주었다. 특히 현재 북부인도의 대부분의 유적들은 힌두문화와 이슬람문화가 혼합되어 생산된 것이라고 보아도 좋다. 정복자였던 무슬림들도 인도 토착문화의 영향을 받아 인도 특유의 무슬림문화를 만든 결과, 인도의 무슬림들은 세계 다른 지역의 무슬림들과는 다른 특성을 가지게 되었다
<영국의 침입과 독립>
15세기 서아시아 지역을 오스만 터키가 점령하자 서양의 국가들은 후추로 대표되는 향료의 구입이 어렵게 되었다. 따라서 바다를 통해 인도와 교역을 하려는 모험가들이 등장했고 1848년 바스코 다가마가 희망봉을 거치는 인도 항로를 발견하였다. 이에 따라 포르투갈인 들이 인도 진출의 선두에 서게 되었고 곧 이어 네델란드, 프랑스, 영국이 그 뒤를 이었다. 포르투갈과 네덜란드는 인도 장악을 위한 투쟁에서 일찌감치 탈락하였고 1763년 영국이 프랑스를 격파함으로써 인도에서의 패권을 장악하게 되었다. 영국은 1800년 동인도회사를 설립하여 인도를 통치하였으나 1857년 세포이 원주민 용병.
반란이 진압된 직후 동인도회사를 해산하고 영국정부가 직접 통치를 하는 식민지로 만들었다.
영국의 산업혁명을 지탱했던 것은 인도의 부였다고 주장하는 사람이 있을 정도로 대영제국에게 인도는 중요한 원료공급지이고 생산품의 소비지였다. 홍차, 커피, 인디고(Indigo) 남색 염료.
, 황마, 면 등을 생산하는 대규모 농장들이 만들어졌고 영국의회는 세수증대를 위한 각종 법안을 통과시켰다. 인도를 착취하기 위해 만들어진 이 시스템들은 기대했던 것 이상의 성과를 가져왔고 이와 같은 영국의 행위가 인도의 근대화를 막고 인도 중북부, 특히 비하르(Bihar)주의 빈곤의 원인이 되었다고 주장하는 사람들도 있다.
인도의 독립운동은 19세기말에 싹이 돋기 시작하여 점차로 그 범위와 강도가 증가하기 시작했다. 1919년 마하뜨마 간디(Mahatma Gandhi)가 주도권을 장악한 이후 인도의 독립운동은 최고 전성기에 들어섰다. 간디가 채용한 전술 즉, 무저항운동은 그 당시 세계최강의 군사력을 가졌던 영국에게 저항할 수 있었던 효과적인 것이었고 인도인의 도덕적 우위를 세계에 알리는 방법이 되기도 하였다. 처칠(Winston Churchill)은 간디를 ‘영악한 여우(Cunning Fox)’라고 부르기도 했지만 간디는 인도의 독립을 쟁취했을 뿐만 아니라 20세기의 성인으로 추앙되었다. 1947년 8월 15일 인도는 독립했다.
5.언어
인도의 언어는 공용어와 지정어로 파악할 수 있다. 우선 공용어에는 두 가지 유형이 있다. 하나는 중앙정부의 공용어이다. 인도는 28개 주(州)와 7개 연방직할지로 구성된 연방국가로서 중앙정부의 공용어는 힌디어이며 부공용어로 영어가 쓰인다. 다른 하나는 주(州) 또는 특정지역의 공용어이다. 주의 공용어는 각 주에서 결정하는데 대부분의 주 공용어들은 지정어에 해당된다. 지정어는 인도의 헌법에 ‘인도의 언어들’로 지정된 언어들을 뜻한다. 현재 지정어로 선정된 언어의 수는 18개이며 이들 대부분이 정치나 문화적으로 인도의 언어들을 대표하는 언어들이라고 볼 수 있다.
<공용어>
현재 힌디어를 모어로 사용하는 인구는 전체의 40%이지만 힌디어를 이해하는 인구는 71%로서 인도의 절대적인 언어로 자리를 잡아가고 있다. 독립 당시 기준으로 볼 때 힌디어 사용자는 30%정도였지만 기타 인도어 중에서 어느 언어도 그 사용자수가 10%를 넘지 못하였으며 더구나 힌디어는 인도의 중심지역인 중북부 지역에서 광범위하게 통용되는 언어였다. 따라서 힌디어는 가장 적격한 인도의 공용어 후보로 독립이전부터 여론이 형성되어 있었다. 그러나 실제로 힌디어를 인도의 공용어로 결정하는 단계에서는 비힌디어 사용자들의 상당한 저항을 맞게 되었다. 1950년 헌법 제정시 힌디어는 인도의 공용어로 채택되었다. 그러나 당시까지 힌디어의 보급이 전 국가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또한 일부 지방의 강한 반발을 고려하여 영어를 부공용어로 채택하였다.
<힌디어>
▶힌디어 표기문자(데브나 그리)
현재 힌디어를 모어로 사용하는 인구는 전체의 40%이지만 힌디어를 말할 수 있는 인구는 66%, 읽을 수 있는 인구는 49%, 쓸 수 있는 인구는 47%, 그리고 이해하는 인구는 71%이다.
<지정어>
인도 헌법은 제 8 별항(the Eighth Schedule)에 인도의 언어들을 지정하여 수록하였다. 처음에 지정된 언어들은 14개어로 아쌈어, 벵갈리어, 구자라띠어, 힌디어, 까
  • 가격3,000
  • 페이지수79페이지
  • 등록일2006.10.24
  • 저작시기2006.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6850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