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緖論 : 열쇠의 詩學으로서의 現代小說 2
제 1장 解放과 膠着時代의 小說 2
1 解放의 二重的 意味 2
2 文壇의 대립과 대립의 文學論 3
3 歸鄕形式과 어둠의 記憶 3
4 辨明과 反省의 문학양식 4
5 變身의 解剖와 反復되는 歷史 4
6 分極化된 現實에 대한 認知 5
7 外勢와 얽힌 生活樣式 5
8 思想路線의 分化와 建國後의 作品世界 6
9 解放 ․ *著期小說의 特性 6
제 2장 戰爭과 分斷의 認識 6
1 6.25와 災亂의 想像力 6
2 敍事的 斷層構造 7
3 戰爭體驗의 깊이와 넓이 7
4 苦痛과 世界認知의 양식 7
5 價値의 분해와 損傷된 삶 8
6 휴머니즘의 힘과 이데올로기의 힘 10
7 戰場의 狀況 속에 있는 軍人들 10
8 斷絶과 接合의 想像力 10
9 잠정적인 마무리 11
제 3장 닫힘과 열림의 想像力 11
1 갇힌 存在와 狀況-監禁의 時代 11
2 監獄과 文學的 想像力 12
3 社會的-文學的인 脈絡關係 12
4 「까치房」과 牢獄의 文學 12
5 송영과 監禁의 想像力 13
6 李炳注의 「알렉산드리아」와「겨울밤」 13
7 「어둠의 그늘」과 法의 陰影 14
8 時代史的 象微空間 14
9 비유로서의 監房 14
10 닫힘과 열림의 辨證法 15
제 4장 現代小說의 病理的 象徵 16
1 現代小說과 病의 想像力 16
2 문학의 治療學 16
3 병의 狀態와 고통의 詩學 17
4 精神病理와 症候의 世界 18
5 現代小說과 病 18
제 5장 都市空間의 詩學 19
1 都市認識과 現代小說 19
2 都市小說 연구의 현 단계 19
3 都市小說의 장르 가능성 20
5 結論 - 都市空間의 詩學 20
제 6장 歷史的 經驗의 美的 形態 21
1 歷史小說의 增殖化 現象 21
2 歷史小說의 特性과 類型 21
3 歷史性과 虛構性의 對面 - 『北間島』 22
4 農耕的 想像力과 『土地』 23
5 常民的 삶의 形態論 - 『張吉山』 25
6 새로운 歷史小說의 전개 26
제 7장 大學生의 行動 ․ 苦惱 ․ 彷徨 26
1 大學生과 現代小說 26
2 새가 되어버린 大學生 - 追放된 者의 位相 27
3 彷徨과 發見의 循環旅路 - 『젊은 날의 肖像』 27
4 애비의 不在와 世代論 - <부메랑> 效果 27
5 運動圈 學生의 行動肖像 28
6 凸面鏃에 大學風景 - 「볼록거울」 28
7 批判性의 問題點 28
제 8장 罷業과 閉業의 對應力學 29
1 勞動運動 時代의 小說 29
2 相衝의 位相學 29
3 中立的 地帶의 價値 29
4 勞動小說의 意義와 限界 30
제 1장 解放과 膠着時代의 小說 2
1 解放의 二重的 意味 2
2 文壇의 대립과 대립의 文學論 3
3 歸鄕形式과 어둠의 記憶 3
4 辨明과 反省의 문학양식 4
5 變身의 解剖와 反復되는 歷史 4
6 分極化된 現實에 대한 認知 5
7 外勢와 얽힌 生活樣式 5
8 思想路線의 分化와 建國後의 作品世界 6
9 解放 ․ *著期小說의 特性 6
제 2장 戰爭과 分斷의 認識 6
1 6.25와 災亂의 想像力 6
2 敍事的 斷層構造 7
3 戰爭體驗의 깊이와 넓이 7
4 苦痛과 世界認知의 양식 7
5 價値의 분해와 損傷된 삶 8
6 휴머니즘의 힘과 이데올로기의 힘 10
7 戰場의 狀況 속에 있는 軍人들 10
8 斷絶과 接合의 想像力 10
9 잠정적인 마무리 11
제 3장 닫힘과 열림의 想像力 11
1 갇힌 存在와 狀況-監禁의 時代 11
2 監獄과 文學的 想像力 12
3 社會的-文學的인 脈絡關係 12
4 「까치房」과 牢獄의 文學 12
5 송영과 監禁의 想像力 13
6 李炳注의 「알렉산드리아」와「겨울밤」 13
7 「어둠의 그늘」과 法의 陰影 14
8 時代史的 象微空間 14
9 비유로서의 監房 14
10 닫힘과 열림의 辨證法 15
제 4장 現代小說의 病理的 象徵 16
1 現代小說과 病의 想像力 16
2 문학의 治療學 16
3 병의 狀態와 고통의 詩學 17
4 精神病理와 症候의 世界 18
5 現代小說과 病 18
제 5장 都市空間의 詩學 19
1 都市認識과 現代小說 19
2 都市小說 연구의 현 단계 19
3 都市小說의 장르 가능성 20
5 結論 - 都市空間의 詩學 20
제 6장 歷史的 經驗의 美的 形態 21
1 歷史小說의 增殖化 現象 21
2 歷史小說의 特性과 類型 21
3 歷史性과 虛構性의 對面 - 『北間島』 22
4 農耕的 想像力과 『土地』 23
5 常民的 삶의 形態論 - 『張吉山』 25
6 새로운 歷史小說의 전개 26
제 7장 大學生의 行動 ․ 苦惱 ․ 彷徨 26
1 大學生과 現代小說 26
2 새가 되어버린 大學生 - 追放된 者의 位相 27
3 彷徨과 發見의 循環旅路 - 『젊은 날의 肖像』 27
4 애비의 不在와 世代論 - <부메랑> 效果 27
5 運動圈 學生의 行動肖像 28
6 凸面鏃에 大學風景 - 「볼록거울」 28
7 批判性의 問題點 28
제 8장 罷業과 閉業의 對應力學 29
1 勞動運動 時代의 小說 29
2 相衝의 位相學 29
3 中立的 地帶의 價値 29
4 勞動小說의 意義와 限界 30
본문내용
간 기타의 수렴화에 의해서 도시를 어떤 이미지의 틀로서 규정하거나 도시탈출의 의식을 드러내는 양식
2 都市小說 연구의 현 단계
다이안 W.레버 관점 : 도시 그 자체나 도시에서의 삶의 현실 및 도시의 경험을 직접적으로 묘사하고 있는 소설, 또는 집중되고 이질적인 성분으로 구성된 인구, 행동의 동시성, 익명성, 소외, 소모적인 기분등과 같은 도시적 삶의 현상이 묘사되는 작품은 충분히 도시문학이요 도시소설로서 정의 될 수 있음.
던랩의 소설의 선택에 있어서의 원칙①당대적인 삶을 다루어야함②도시에서의 삶의 특수한 특징 묘사해야함,어떤 장소에서나 일어 날 수 있는 사건은 안된다.③등장인물은 도시 내에 있어서의 그들의 주거에 의해 직접적으로 영향 받아야 함④인물묘사나 문체에 있어서의 명백한 취약성, 값싼 센세이셔널리즘에 빠진 작품은 고려에서 제외
한국문학의 비평이나 연구에 있어서의 도시문학(소설)의 현주소⇒도시 문학이나 도시소설로서의 문학적인 현상이 존재하고 있으나, 이를 장르로서의 도시 문학이나 도시소설로서 정립시키고 있는 비평활동은 아직 미약한 단계
3 都市小說의 장르 가능성
1 都市의 性格과 도시성
도시성의 분석의 기준 ①인구의 수②밀도③주민과 집단생활의 이질성 등
2 都市의 이미지 都市小說
*1930년대의 모더니즘과 그 영향권의 문학에서부터 도시의 양면가치가 최초로 주목받음
⇒문명과 현대성의 상징으로서 예찬되거나, 자연의 상실 군중 속에서의 고독 소외감과 이방인의식 같은 것으로 받아들여짐
채만식의「레디메이드 인생」「탁류」박태원의「천변풍경」「소설가 구보씨의 일일」이상의「날개 」등의 작품⇒도시 이미지가 대체로 부정적으로 그려짐
*60년대와 70년대 이르러 급격한 도시화 현상
⇒도시는 우리 문학에서 중요한 상징으로서, 주제와 배경으로서 성격으로서 두드러진 의의 갖게 됨
이호철의「서울은 만원이다」김승옥의「서울1964년 겨울」「서울의 달빛0장」박완서의「도시의 흉년」「서울사람들」이동하의「도시의 늪」「장난감 도시」「실종」신상웅의「도시의 자전」윤홍길의「아홉켤레의 구두로 남은 사내」한수산의「부초」조세희의「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양귀자의「원미동 사람들」등
현대소설 중 도시소설의 형태 또는 도시에의 관심은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가
①도시 入城의 경험 소설형
②시골에서 상경하거나 도시에서 은퇴한 노인의 삶과 그 갇힌 일상을 그린 老年學的소설 유형
③공간의 지역화에 의한 생태학적 소설
④사회적인 구성으로서의 집단과 개인간의 분절, 가족적인 개체의 원자화된 격절의 관계를 제시하는 분열형 소설
⑤이미지틀이나 유동성과 관련되는 형태의 틀짜기와 그것으로부터의 벗어나기와 떠돎의 행위가 수반되는 이미지 소설 내지는 유동상태의 소설
⑥도시가 주인공이 되는, 도시성 전반을 총람적으로 제시하는 총괄형 소설
5 結論 - 都市空間의 詩學
소설에 나타나는 도시관의 범위
①시골과 대비되는 공간으로 문명,자연의 양가적 대립의 한 측면이며 고밀도와 이질성의 삶의 현장
②지향과 이탈, 희망과 공포, 사랑과 미움, 안락과 불편의 대립감정을 갖게 하는 양가가치를 지님
③현대 산업사회의 축도이며 이차적인 접촉관계, 익명성,실향성과 공간상실과 소외, 시간의 강박관념, 경쟁상태, 비인간화, 범죄성 등의 특징을 이룸
④가진 자와 못 가진 자, 사회적인 소외계층과 가난한 근로자, 가해자와 희생자와의 사회적인 대구조가 첨예화 됨
⑤전통적인 가치관이 소멸된 곳으로 모든 인간적인 관계가 분열핵화 되고 가족주의의 윤리의식이 불모화되어 있다.
⑥돈이 가치의 절대적인 규정자가 되어 있으며, 궁핍과 배금원리, 쾌락원리에 의해 성의 상품화 현상이 두드러짐
⑦도시 재개발이나 산업화 및 인구의 고밀도화에 의해 사회적 추방과 환경오염, 공해의 발생지이며 주거상태 이주의 심각성을 갖고 있는 곳
⑧도시의 아파트는 삶의 양식의 획일성을 대리
⑨남근의 지배력이 거세되고 여성력이 이에 대치되어 있다.
⑩현대적인 사회병리의 기지
제 6장 歷史的 經驗의 美的 形態
- 歷史에의 熟考와 歷史小說
1 歷史小說의 增殖化 現象
한국의 현대 문학사에서 역사 문학 내지 역사소설의 등장이 현저했던 시기 구분 :
20세기 초에 외세대응의 특수 문학양식으로 대두『을지문덕전』『강감찬전』『최도통전』『서사건국지』『애국부인전』등 이른바 역사적 영웅전기문학의 출현→30년대 전후에 나타난 이광수, 김동인, 홍명희, 현진건, 박종화, 이태준, 윤백남 등의 역사소설들→60년대와 그 이후 어간에 있어서의 공화당 정부의 국책적인 후원과 장려에 의한 역사인물에 대한 일련의 역사 전기소설의 출현→70년대 전후 안수길의『北間島』박경리의『土地』서기원의『혁명』유현종의『들불』『연개소문』『임꺽정』송기숙의『녹두장군』조정래의『太白山脈』등의 새로운 형태의 역사소설의 출현
역사소설의 생성요인①사회역사적인 결정론②역사주의의 발흥의 일부로서 보려 들기도 함
2 歷史小說의 特性과 類型
성격
⑴역사나 과거와 특별한 연계를 가짐
⑵프레쉬맨은 소설의 허구적인 인물들이 역사적인 인물과 같은 세계에 살 경우가 역사소설이라고 지적
⑶역사소설과 역사의 유사점 ①교감적 상상력의 행사에 근거한 구성에 의존②본질적으로 story이며 명백하게 문학적인 특질을 드러냄③궁극적인 외적 표명 속에서의 사건들의 내적의미를 나타내는 것과 관련④과거 사건에의 긴밀한 再構를 창조하며 역사적 진실을 구한다.
역사소설과 역사의 차이점①역사가는 확립된 보편화와 포괄법칙에 의해 특별한 것을 다루지만, 역사소설가는 성격유형의 보편적 세계ㅘ 인간조건의 필요성의 세계를 다룸②역사소설은 보다 더 전기적이며 세계사적이기보다는 전형적인 한 개인의 삶과 관련됨③역사가는 역사철학의 반복적 패튼을 이용함에 비해 역사소설가는 로맨스 풍자 희극 등 경험의 범주와 같은 문학의 세계를 이용
⑷역사적 상상력을 그 지배영역으로 함
⑸주제는 역사 속에서의 인간, 또는 역사적 삶으로 이해되는 인간의 삶을 함
⑹여타의 다른 소설들과의 차이의 원리에서 본다면, 다른 소설이 대체적으로 허구적인 개연성이 승한데 비해, 역사소설은 역사적인 것에 그 개연성을 강조 할 뿐, 역사를 전경화 하는 점
⑺역사소설의 영역 안에는 역사적인 인물의 전기, 연대기 소설, 사회적 연대기 소설, 가
2 都市小說 연구의 현 단계
다이안 W.레버 관점 : 도시 그 자체나 도시에서의 삶의 현실 및 도시의 경험을 직접적으로 묘사하고 있는 소설, 또는 집중되고 이질적인 성분으로 구성된 인구, 행동의 동시성, 익명성, 소외, 소모적인 기분등과 같은 도시적 삶의 현상이 묘사되는 작품은 충분히 도시문학이요 도시소설로서 정의 될 수 있음.
던랩의 소설의 선택에 있어서의 원칙①당대적인 삶을 다루어야함②도시에서의 삶의 특수한 특징 묘사해야함,어떤 장소에서나 일어 날 수 있는 사건은 안된다.③등장인물은 도시 내에 있어서의 그들의 주거에 의해 직접적으로 영향 받아야 함④인물묘사나 문체에 있어서의 명백한 취약성, 값싼 센세이셔널리즘에 빠진 작품은 고려에서 제외
한국문학의 비평이나 연구에 있어서의 도시문학(소설)의 현주소⇒도시 문학이나 도시소설로서의 문학적인 현상이 존재하고 있으나, 이를 장르로서의 도시 문학이나 도시소설로서 정립시키고 있는 비평활동은 아직 미약한 단계
3 都市小說의 장르 가능성
1 都市의 性格과 도시성
도시성의 분석의 기준 ①인구의 수②밀도③주민과 집단생활의 이질성 등
2 都市의 이미지 都市小說
*1930년대의 모더니즘과 그 영향권의 문학에서부터 도시의 양면가치가 최초로 주목받음
⇒문명과 현대성의 상징으로서 예찬되거나, 자연의 상실 군중 속에서의 고독 소외감과 이방인의식 같은 것으로 받아들여짐
채만식의「레디메이드 인생」「탁류」박태원의「천변풍경」「소설가 구보씨의 일일」이상의「날개 」등의 작품⇒도시 이미지가 대체로 부정적으로 그려짐
*60년대와 70년대 이르러 급격한 도시화 현상
⇒도시는 우리 문학에서 중요한 상징으로서, 주제와 배경으로서 성격으로서 두드러진 의의 갖게 됨
이호철의「서울은 만원이다」김승옥의「서울1964년 겨울」「서울의 달빛0장」박완서의「도시의 흉년」「서울사람들」이동하의「도시의 늪」「장난감 도시」「실종」신상웅의「도시의 자전」윤홍길의「아홉켤레의 구두로 남은 사내」한수산의「부초」조세희의「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양귀자의「원미동 사람들」등
현대소설 중 도시소설의 형태 또는 도시에의 관심은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가
①도시 入城의 경험 소설형
②시골에서 상경하거나 도시에서 은퇴한 노인의 삶과 그 갇힌 일상을 그린 老年學的소설 유형
③공간의 지역화에 의한 생태학적 소설
④사회적인 구성으로서의 집단과 개인간의 분절, 가족적인 개체의 원자화된 격절의 관계를 제시하는 분열형 소설
⑤이미지틀이나 유동성과 관련되는 형태의 틀짜기와 그것으로부터의 벗어나기와 떠돎의 행위가 수반되는 이미지 소설 내지는 유동상태의 소설
⑥도시가 주인공이 되는, 도시성 전반을 총람적으로 제시하는 총괄형 소설
5 結論 - 都市空間의 詩學
소설에 나타나는 도시관의 범위
①시골과 대비되는 공간으로 문명,자연의 양가적 대립의 한 측면이며 고밀도와 이질성의 삶의 현장
②지향과 이탈, 희망과 공포, 사랑과 미움, 안락과 불편의 대립감정을 갖게 하는 양가가치를 지님
③현대 산업사회의 축도이며 이차적인 접촉관계, 익명성,실향성과 공간상실과 소외, 시간의 강박관념, 경쟁상태, 비인간화, 범죄성 등의 특징을 이룸
④가진 자와 못 가진 자, 사회적인 소외계층과 가난한 근로자, 가해자와 희생자와의 사회적인 대구조가 첨예화 됨
⑤전통적인 가치관이 소멸된 곳으로 모든 인간적인 관계가 분열핵화 되고 가족주의의 윤리의식이 불모화되어 있다.
⑥돈이 가치의 절대적인 규정자가 되어 있으며, 궁핍과 배금원리, 쾌락원리에 의해 성의 상품화 현상이 두드러짐
⑦도시 재개발이나 산업화 및 인구의 고밀도화에 의해 사회적 추방과 환경오염, 공해의 발생지이며 주거상태 이주의 심각성을 갖고 있는 곳
⑧도시의 아파트는 삶의 양식의 획일성을 대리
⑨남근의 지배력이 거세되고 여성력이 이에 대치되어 있다.
⑩현대적인 사회병리의 기지
제 6장 歷史的 經驗의 美的 形態
- 歷史에의 熟考와 歷史小說
1 歷史小說의 增殖化 現象
한국의 현대 문학사에서 역사 문학 내지 역사소설의 등장이 현저했던 시기 구분 :
20세기 초에 외세대응의 특수 문학양식으로 대두『을지문덕전』『강감찬전』『최도통전』『서사건국지』『애국부인전』등 이른바 역사적 영웅전기문학의 출현→30년대 전후에 나타난 이광수, 김동인, 홍명희, 현진건, 박종화, 이태준, 윤백남 등의 역사소설들→60년대와 그 이후 어간에 있어서의 공화당 정부의 국책적인 후원과 장려에 의한 역사인물에 대한 일련의 역사 전기소설의 출현→70년대 전후 안수길의『北間島』박경리의『土地』서기원의『혁명』유현종의『들불』『연개소문』『임꺽정』송기숙의『녹두장군』조정래의『太白山脈』등의 새로운 형태의 역사소설의 출현
역사소설의 생성요인①사회역사적인 결정론②역사주의의 발흥의 일부로서 보려 들기도 함
2 歷史小說의 特性과 類型
성격
⑴역사나 과거와 특별한 연계를 가짐
⑵프레쉬맨은 소설의 허구적인 인물들이 역사적인 인물과 같은 세계에 살 경우가 역사소설이라고 지적
⑶역사소설과 역사의 유사점 ①교감적 상상력의 행사에 근거한 구성에 의존②본질적으로 story이며 명백하게 문학적인 특질을 드러냄③궁극적인 외적 표명 속에서의 사건들의 내적의미를 나타내는 것과 관련④과거 사건에의 긴밀한 再構를 창조하며 역사적 진실을 구한다.
역사소설과 역사의 차이점①역사가는 확립된 보편화와 포괄법칙에 의해 특별한 것을 다루지만, 역사소설가는 성격유형의 보편적 세계ㅘ 인간조건의 필요성의 세계를 다룸②역사소설은 보다 더 전기적이며 세계사적이기보다는 전형적인 한 개인의 삶과 관련됨③역사가는 역사철학의 반복적 패튼을 이용함에 비해 역사소설가는 로맨스 풍자 희극 등 경험의 범주와 같은 문학의 세계를 이용
⑷역사적 상상력을 그 지배영역으로 함
⑸주제는 역사 속에서의 인간, 또는 역사적 삶으로 이해되는 인간의 삶을 함
⑹여타의 다른 소설들과의 차이의 원리에서 본다면, 다른 소설이 대체적으로 허구적인 개연성이 승한데 비해, 역사소설은 역사적인 것에 그 개연성을 강조 할 뿐, 역사를 전경화 하는 점
⑺역사소설의 영역 안에는 역사적인 인물의 전기, 연대기 소설, 사회적 연대기 소설, 가
추천자료
(한국문학의 이해) 한국문학과 여성에 관한 총체적 보고서
한국 문학의 근대성
한국인이 일본드라마에 빠지는 이유
한국고전문학 - 심청전
[한국문학][문학][고전문학][현대문학]한국(한국문학) 고전문학, 한국(한국문학) 근대문학, ...
[한국문학][해학][근대문학][리얼리즘문학][해외출판 사례]한국문학의 역사, 한국문학의 성격...
한국문학의 상상력, 한국문학의 보편화, 한국문학의 권력관, 한국문학 전개, 한국문학과 프로...
한국문학사 55
[여성관][여성문학][금오신화][박씨전][설국][한국인][여성][여성문학 여성관][금오신화 여성...
[작가, 영미 작가, 중남미 작가, 영국 작가, 독일 작가, 한국 작가, 중국 작가, 영미, 중남미...
한일문학(한국 일본 문학)과 아동문학, 한일문학(한국 일본 문학)과 자연주의문학, 한일문학(...
[민중][민중예술][민중시][한국현대문학][김태준][뷔히너][남미민중][인도민중]민중과 민중예...
재미한국인 문학과 디아스포라의 정체성 - 이창래의『Native Speaker』,미라 스타우트의『천...
한국의 모더니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