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몽고의 침입
◆고려의 항쟁
◆몽고침입의 영향
◆원 말기 고려의 개혁정치
◆결론
◆몽고의 침입
◆고려의 항쟁
◆몽고침입의 영향
◆원 말기 고려의 개혁정치
◆결론
본문내용
고의 침입 ------------------------------------------------- 4
(1)몽고침입 전(前) 관계 ---------------------------------------- 4
(2)몽고의 침입 ----------------------------------------------- 5
◆고려의 항쟁 ------------------------------------------------- 8
(1)江華遷都 ------------------------------------------------- 8
(2)삼별초의 항쟁 --------------------------------------------- 9
(3)농민의 항쟁 ---------------------------------------------- 12
◆몽고침입의 영향 --------------------------------------------- 14
◆원 말기 고려의 개혁정치 --------------------------------------- 15
◆결론 ------------------------------------------------------ 16
◆서론
우리나라에 있어 외세에 의해 정치, 사회, 경제, 문화 모든 영역에 있어 간섭을 받던 시기는 2차례로 나눠 볼 수 있다. 근대에 있어 외세의 침입은 36년간의 일제 강점기로 이때에도 물론 많은 고통과 핍박을 당하였다. 하지만 그 이전 고려시대의 원 지배기는 현재와 너무 멀어 그 수탈과 핍박을 자세히 알 수 없다. 36년간의 지배에도 우리 민족의 근본이 흔들렸을 정도였으니 원 지배기의 100년은 그 피해가 가히 우리의 상상 이상일 것이다. ‘일본을 정벌하기 위해 전쟁을 일으켰을 때 얼마나 많은 고려의 군사가 죽었는지 역사적 사료를 보면 알 수 있고 그러한 군사투입이 일제 강점기에 학도병과 다른 점이 무엇 인가’라는 의문도 가지게 되었다. 이 글을 적어가면서 몽고의 침략 때 얼마나 많은 우리 민족이 희생을 당하였는가를 조사하고 원지배기의 우리 민족의 고통을 알아볼 것이다.
원 간섭기와 원 지배기에 관한 논란도 있지만 학설이 분분한 만큼 여기서는 편의상 원 지배기로 표현하기로 한다.
10세기의 초에 당나라 멸망하자 동아시아사회에서는 하나의 큰 주목할 변화가 일어났다. 만몽(滿蒙)지역에서 유목생활을 하고 있던 북방민족이 대두하여 큰 제국을 건설하고 막강한 군사력을 과시하면서 동아시아세계를 위협하기 시작하였던 것이다. 과거에 동아시아의 국제사회를 영도하는 지배적 세력은 농경민족인 한(漢)족의 중국이었으며 중국의 문물제도는 주변 여러 국가의 모범으로 숭앙되어 왔다. 중국의 문물제도를 대성시킨 나라는 당(唐)이며 당은 바로 전 아시아의 중심으로서 정치ㆍ경제ㆍ사회ㆍ문화의 각 분야에 걸쳐 아시아의 다른 나라들에 비하여 압도적으로 우월한 위치에 있었다. 당시 아시아를 지배하는 것은 당이었으며 당 문화는 아시아 여러 민족의 선망의 대상이었다. 그런데 당의 멸망은 재래의 이러한 형세에 큰 변화를 초래하였다. 한족 대신으로 북방의 유목ㆍ수렵민족이 대두하여 글란(契丹, 거란)의 요, 여진(女眞)의 금, 그리고 이어서 몽고(蒙古)의 원이 눈부신 정치적 군사적 활동을 전개하였다. 이들 북방민족의 등장으로 말미암아 종래 중국이 아닌 북방민족이 동아시아세계의 지배적 세력을 형성하기에 이르렀다.
송이 요ㆍ금에 굴복하고 또 고려가 이들에게 사대의 예를 취한 것은 모두 동아시아에 있어서의 큰 국제정국의 변화를 의미하는 것이었고, 몽고의 아시아 제압은 그 정점(頂點)을 이루는 것이었다. 몽고가 고려에 침입하여 우리의 조상들이 이에 대하여 결사적인 치열한 항쟁을 한 것은 바로 몽고가 아시아 전역을 제압하는 과정에서 나타난 하나의 사건이었다.
몽고족은 지금의 몽고평원에 자리 잡고 있던 유목민족이었다. 요ㆍ금시대에는 그 지배를 받고 있었으나, 13세기의 초두에 테무친(鐵木眞)이라는 영웅이 나타나자 급속히 그 세력을 강화 확대하여 몽고 및 주변의 여러 부족을 통일 정복하였다. 1206년 테무친은 여러 부족의 추대를 받아 칸(汗) 즉 황제의 위에 오르게 되었으니 이가 곧 몽고의 태조(太祖) 칭기즈 칸(成吉思汗)이다. 이것은 고려의 희종(熙宗)2년(1206)의 일이다. 당시 중국대륙의 중부 이남은 송(南宋)이 지배하고 북부 및 만주에 걸치는 지역은 금의 영토로 되어 있었으며 또 몽고의 서쪽에는 서하(西夏)라는 나라가 자리 잡고 있었다. 칭기즈 칸은 우선 서쪽에 있는 서하를 쳐서 이를 굴복시키고 다음에는 동ㆍ남방으로 향해서 금을 정벌하였다. 이리하여 시작된 몽고의 정복행위는 그 후 아시아는 물론이요 멀리 유럽에까지 그 위세를 떨치게 되었다. 1211년 금에 침입한 칭기즈칸은 순식간에 북부의 여러 성을 공략하고 수도인 연경(燕京)을 위협하였다. 패퇴한 금은 하는 수 없이 화(和)를 청하여 일시의 난국을 모면하고 또 1214년에는 도읍을 남쪽에 있는 변경(京)으로 옮겼다. 금의 허약함이 드러나자 금의 영토 안에서는 반란과 폭동이 계속 일어나서 국가의 기반이 흔들리기 시작하였다. 먼저 금의 본거지인 지금의 화북(華北)지방에서 동요가 일어나고 그 여파가 금의 발상지인 만주지방에까지 미치었다. 만주에서 금의 지배하에 복속하고 있던 거란족이 먼저 반기를 들고 일어나서 수장 야율유가(首長 耶律留哥)가 륭안(隆安)에서 부하 10여만을 거느리고 몽고에 항복하여 함평(咸平)을 본거로 삼아 스스로 요왕(遼王)이라 일컬었다.(1213.3) 칭기즈 칸은 야율유가를 이용하여 만주에 있는 금군에 대항시켜 그의 동방경략의 앞잡이로 삼으려 하였다. 그런데 야율유가는 얼마 안가서 부하와 내분을 일으키어 몽고로 도망하고 그 후 그는 몽고군의 후원을 얻어 자주 옛날의 부하인 거란족들을 공격하였다. 몽고군의 공격을 당하여 형세가 불리해진 거란족은 고종 3년 압록강(鴨綠江)을 건너 저항이 약한 고려의 영토 내에 밀려 왔다. 이로부터 몇 해 동안 거란족들은 고려의 북방지역을 노략하고 또 수도인 개경을 위협하기도 하였다. 고려는 토벌군을 내어 거란족의 침략자를 쳐부수고 고종 5년(1218)에는 마침내 그들을
(1)몽고침입 전(前) 관계 ---------------------------------------- 4
(2)몽고의 침입 ----------------------------------------------- 5
◆고려의 항쟁 ------------------------------------------------- 8
(1)江華遷都 ------------------------------------------------- 8
(2)삼별초의 항쟁 --------------------------------------------- 9
(3)농민의 항쟁 ---------------------------------------------- 12
◆몽고침입의 영향 --------------------------------------------- 14
◆원 말기 고려의 개혁정치 --------------------------------------- 15
◆결론 ------------------------------------------------------ 16
◆서론
우리나라에 있어 외세에 의해 정치, 사회, 경제, 문화 모든 영역에 있어 간섭을 받던 시기는 2차례로 나눠 볼 수 있다. 근대에 있어 외세의 침입은 36년간의 일제 강점기로 이때에도 물론 많은 고통과 핍박을 당하였다. 하지만 그 이전 고려시대의 원 지배기는 현재와 너무 멀어 그 수탈과 핍박을 자세히 알 수 없다. 36년간의 지배에도 우리 민족의 근본이 흔들렸을 정도였으니 원 지배기의 100년은 그 피해가 가히 우리의 상상 이상일 것이다. ‘일본을 정벌하기 위해 전쟁을 일으켰을 때 얼마나 많은 고려의 군사가 죽었는지 역사적 사료를 보면 알 수 있고 그러한 군사투입이 일제 강점기에 학도병과 다른 점이 무엇 인가’라는 의문도 가지게 되었다. 이 글을 적어가면서 몽고의 침략 때 얼마나 많은 우리 민족이 희생을 당하였는가를 조사하고 원지배기의 우리 민족의 고통을 알아볼 것이다.
원 간섭기와 원 지배기에 관한 논란도 있지만 학설이 분분한 만큼 여기서는 편의상 원 지배기로 표현하기로 한다.
10세기의 초에 당나라 멸망하자 동아시아사회에서는 하나의 큰 주목할 변화가 일어났다. 만몽(滿蒙)지역에서 유목생활을 하고 있던 북방민족이 대두하여 큰 제국을 건설하고 막강한 군사력을 과시하면서 동아시아세계를 위협하기 시작하였던 것이다. 과거에 동아시아의 국제사회를 영도하는 지배적 세력은 농경민족인 한(漢)족의 중국이었으며 중국의 문물제도는 주변 여러 국가의 모범으로 숭앙되어 왔다. 중국의 문물제도를 대성시킨 나라는 당(唐)이며 당은 바로 전 아시아의 중심으로서 정치ㆍ경제ㆍ사회ㆍ문화의 각 분야에 걸쳐 아시아의 다른 나라들에 비하여 압도적으로 우월한 위치에 있었다. 당시 아시아를 지배하는 것은 당이었으며 당 문화는 아시아 여러 민족의 선망의 대상이었다. 그런데 당의 멸망은 재래의 이러한 형세에 큰 변화를 초래하였다. 한족 대신으로 북방의 유목ㆍ수렵민족이 대두하여 글란(契丹, 거란)의 요, 여진(女眞)의 금, 그리고 이어서 몽고(蒙古)의 원이 눈부신 정치적 군사적 활동을 전개하였다. 이들 북방민족의 등장으로 말미암아 종래 중국이 아닌 북방민족이 동아시아세계의 지배적 세력을 형성하기에 이르렀다.
송이 요ㆍ금에 굴복하고 또 고려가 이들에게 사대의 예를 취한 것은 모두 동아시아에 있어서의 큰 국제정국의 변화를 의미하는 것이었고, 몽고의 아시아 제압은 그 정점(頂點)을 이루는 것이었다. 몽고가 고려에 침입하여 우리의 조상들이 이에 대하여 결사적인 치열한 항쟁을 한 것은 바로 몽고가 아시아 전역을 제압하는 과정에서 나타난 하나의 사건이었다.
몽고족은 지금의 몽고평원에 자리 잡고 있던 유목민족이었다. 요ㆍ금시대에는 그 지배를 받고 있었으나, 13세기의 초두에 테무친(鐵木眞)이라는 영웅이 나타나자 급속히 그 세력을 강화 확대하여 몽고 및 주변의 여러 부족을 통일 정복하였다. 1206년 테무친은 여러 부족의 추대를 받아 칸(汗) 즉 황제의 위에 오르게 되었으니 이가 곧 몽고의 태조(太祖) 칭기즈 칸(成吉思汗)이다. 이것은 고려의 희종(熙宗)2년(1206)의 일이다. 당시 중국대륙의 중부 이남은 송(南宋)이 지배하고 북부 및 만주에 걸치는 지역은 금의 영토로 되어 있었으며 또 몽고의 서쪽에는 서하(西夏)라는 나라가 자리 잡고 있었다. 칭기즈 칸은 우선 서쪽에 있는 서하를 쳐서 이를 굴복시키고 다음에는 동ㆍ남방으로 향해서 금을 정벌하였다. 이리하여 시작된 몽고의 정복행위는 그 후 아시아는 물론이요 멀리 유럽에까지 그 위세를 떨치게 되었다. 1211년 금에 침입한 칭기즈칸은 순식간에 북부의 여러 성을 공략하고 수도인 연경(燕京)을 위협하였다. 패퇴한 금은 하는 수 없이 화(和)를 청하여 일시의 난국을 모면하고 또 1214년에는 도읍을 남쪽에 있는 변경(京)으로 옮겼다. 금의 허약함이 드러나자 금의 영토 안에서는 반란과 폭동이 계속 일어나서 국가의 기반이 흔들리기 시작하였다. 먼저 금의 본거지인 지금의 화북(華北)지방에서 동요가 일어나고 그 여파가 금의 발상지인 만주지방에까지 미치었다. 만주에서 금의 지배하에 복속하고 있던 거란족이 먼저 반기를 들고 일어나서 수장 야율유가(首長 耶律留哥)가 륭안(隆安)에서 부하 10여만을 거느리고 몽고에 항복하여 함평(咸平)을 본거로 삼아 스스로 요왕(遼王)이라 일컬었다.(1213.3) 칭기즈 칸은 야율유가를 이용하여 만주에 있는 금군에 대항시켜 그의 동방경략의 앞잡이로 삼으려 하였다. 그런데 야율유가는 얼마 안가서 부하와 내분을 일으키어 몽고로 도망하고 그 후 그는 몽고군의 후원을 얻어 자주 옛날의 부하인 거란족들을 공격하였다. 몽고군의 공격을 당하여 형세가 불리해진 거란족은 고종 3년 압록강(鴨綠江)을 건너 저항이 약한 고려의 영토 내에 밀려 왔다. 이로부터 몇 해 동안 거란족들은 고려의 북방지역을 노략하고 또 수도인 개경을 위협하기도 하였다. 고려는 토벌군을 내어 거란족의 침략자를 쳐부수고 고종 5년(1218)에는 마침내 그들을
추천자료
시청자의 방송통제에 관한 연구
원자력제국 - 로버트 융크
반소의 개념
정신분석이론과 행동주의 이론의 비교
[논문] 금연 프로그램
실학의 태동
[사회과학] 풀뿌리민주주의
[외교정책론] 일본의 외교정책 연구
[행동주의 이론][행동주의 학습이론][행동치료 상담]행동주의 이론과 행동주의 학습이론 및 ...
[무신정권][무신란][무신난][무신의 난][무신정변][묘청의 난][이자겸의 난]무신정권과 무신...
노동조합(노조) 성격,운영원리, 개별근로자 노동조합(노조) 가입, 산업별노동조합(산별노조),...
디자인보호법상 권리범위확인심판, 통상실시권허여심판
세계와 유럽 : 지배와 저항
독점시장과 과점시장의 특징분석 및 시장반영조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