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 차
I. 들어가며
II. 사이버문화의 실태와 특징
1. 인터넷의 폭발적 확산과 증가
2. 사이버문화의 속성
3. 사이버문화현상과 청소년
III. 사이버문화의 순기능과 역기능
1. 사이버문화의 순기능
2. 사이버문화의 도전과 위협
IV. 건강한 사이버문화 창출을 위한 제언
V. 나가며
<참고문헌>
I. 들어가며
II. 사이버문화의 실태와 특징
1. 인터넷의 폭발적 확산과 증가
2. 사이버문화의 속성
3. 사이버문화현상과 청소년
III. 사이버문화의 순기능과 역기능
1. 사이버문화의 순기능
2. 사이버문화의 도전과 위협
IV. 건강한 사이버문화 창출을 위한 제언
V. 나가며
<참고문헌>
본문내용
로 들어가는 활성산소 덕에 늙고, 병들고, 죽음을 맞이한다. 그럼 음식은 <유해>한 것인가?
사랑없이 살수 없다고 한다. 사랑때문에 서로 죽이고, 할퀴어 생채기를 낸다.
그 사랑은 유해한 것인가? 어떻게 사랑하는가에 따라 그것은 유익(?)하기도 유해하기도 하다. 중요한 것은 사랑의 본질일 것이다. 청소년 문화로 바라보게 되는 사이버 문화도 역시 그 본질이 중요하다. 어떻게 사용하는가! 또는 어떤 목적으로 이용되는가. 그리고 어떤 마인드를 가지고 매체를 접근하는가에 따라 매우 강력한 메시지를 가지고 사람들에게 덤비기도 하고, 사람들을 따뜻하게 만들기도 한다. 그래서 유해한 것을 찾아내는 것 보다 아름답게 만들어서 유해한것이 자연스레 거세될 수 있음을 믿어야 한다.
청소년에게 이러한 힘이 있음을 신뢰해야 한다. 청소년이 형성하고 있는 사이버 문화와 그 공간은 청소년의 생각과 사상과 철학이 담겨있는 진실한 매개가 될 수 있다. 지금 청소년에게는 나로부터 분화되어 나와 생명력을 부여받은 사이버상의 “자아”를 찾을 수 있도록 남겨진 “몫”과 “자정능력에 대한 신뢰”를 주어야 한다. 사이버공간은 범죄의 온상이나 청소년의 현실외면의 공간으로 치부하기에는 너무 많은 가능성을 가지고 있는 곳이다. 신기술의 진보와 발전은 인류와 사회에 대해 긍정적 순기능만을 주지 않는다. 무소불위의 위력을 지니고 있는 정보사회의 지식도 생산과 유통, 소비의 과정에 있어 어떠한 절차를 거치느냐에 따라 새로운 사회적 도전과 위협이 될 수 있다. 엽기사이트, 바이러스의 개발과 유포, 해킹과 사이버스토킹, 자살사이트, 사이버포르노, 상업성 스팸메일의 범람, 테러지원사이트(폭탄 및 생화학무기제작 지원사이트), 사생활의 침해, 계층 간의 정보격차 등은 지금까지 우리가 확인할 수 있었던 그러한 도전과 위협의 일부이다. 따라서 기술의 진보와 발전이 사회의 진보와 발전을 그대로 대변하는 것은 아니다. 그럼에도 우리 사회는 여전히 과학기술에 대한 새로운 맹신, 즉 신 근대주의적 사고로부터 아직 자유롭지 못하다(김 민, 1999; 66-68). 이러한 맹신은 곧잘 우리에게 또다시 상상적 위협으로 반전되어 다가오는데 그러한 위협에 대한 상상력은 SF 영화나 과학소설에서 일찍이 선보인 바가 있다. 이를테면, 기계공학이 발달하고 그 가속도가 붙을 즈음 기계인간 사이보그(cyborg)와 인조로봇 안드로이드(android)가 인간을 위협하리라는 상상력이 그것이다. 그러나 복제기술과 인터넷이 발달함에 따라 이제 기계인간과 인조로봇이 아닌 복제인간 레플리컨트(replicants)가 인간을 지배하고 나아가 유사현실이 현실세계를 지배하는 매트릭스(Matrix)의 위협으로 치환되었다. 위협의 주체와 내용은 달라졌지만 위협의 본질은 변하지 않았다. 인간이 생성해놓은 과학과 기술로 인해 인간이 당면해야만 하는 미래사회의 위기설정은 동일하기 때문이다. 과학과 기술이 인간을 압도하고 타자화(他者化)함으로써 빚어내는 소외와 위협은 다름 아닌 인간 자신이 초래한 결과이며 이는 ‘지금, 여기’에 대한 성찰적 자세의 부족함에 기인한다. 즉 우리가 경계해야 할 점은 급변하는 과학 기술의 변화속도에 무비판적으로 익숙해져 변화의 근원과 본질에 대한 반성적인 성찰을 소홀히 하는 것이다. 따라서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미래에 대한 근거없는 낙관적 자세로부터 벗어나 정보사회로의 진입이 우리의 삶을 어떻게 변화시킬 것인지에 대한 부단한 평가와 예측, 그리고 진중한 탐구의 자세라 할 수 있다. 특히 미래 사이버문화를 짊어지고 나갈 성장세대에 대한 면밀한 검토와 예측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침이 없다.
성장세대는 미래 사이버문화의 향유세대이다. 그들이 기술과 문명의 예속자로 남겨질지 아니면 훌륭한 도구와 수단으로 과학과 기술을 활용하는 문명인으로 살아남을 지에 대한 성찰은 지금부터 시작해야 한다. 사이버문화가 청소년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사회적 공론화의 의의는 바로 여기에 있다.
참 고 문 헌
김문조(1998). 정보사회: 본질과 유형. 한국언론학회한국사회학회 엮음. 정보화시대의 미디어와 문화. 세계사.
김 민(1998). 90년대 대중문화에서 바라본 청소년정보문화의 이해. 한국청소년학회 주최 학술세미나(1998. 12. 16) 발표논문. 한국청소년학회.
김 민(1999). 건강한 청소년정보문화창출을 위한 제언. 21세기 청소년포럼. 서울: 한국청소년학회.
김 민(2002). 청소년 인터넷중독과 사이버섹스 중독실태에 관한 연구(청소년 인터넷중독실태 연구세미나 발표논문). 한국청소년복지학회.
김성국(1998). 정보사회의 정치생활: 시민사회와 민주주의. 정보사회학회 편. 정보사회의 이해. 나남출판사.
라도삼(2001). 블랙인터넷: 엽기포르노게임의 광기에 대한 보고서. 자우.
이정우(2001). 기술과 운명: 사이버펑크에서 철학으로. 한길사.
이진경(1997). 근대적 시공간의 탄생. 푸른 숲.
조선일보, 2001. 10. 26/ 2002. 5. 5
크리스찬 아카데미(1997). 정보화시대 교육의 선택. 대화출판사.
통계청(2000). 통계로 본 한국의 모습. 대전: 통계청
한국언론학회한국사회학회 엮음(1998). 정보화시대의 미디어와 문화. 세계사.
황상민(2000). 사이버 공간에 또 다른 내가 있다. 김영사.
황진구(1999). 청소년인터넷 이용실태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개발원.
홍성태(1996). 사이버공간, 사이버문화. 문화과학. pp. 15-16
Tapscott, D.(1998). Growing Up Digital: Net Generation. McGraw-Hill. 허운나유영만 역(2000). N세대의 무서운 아이들. 물푸레.
Rushkoff, D.(1996). Playing the Future: How Kid\'s Culture can teach us to thrive in an age of Chaos. HaperCollins. 김성기김수정 옮김(1997). 카오스의 아이들. 민음사. pp. 13-14.
<<참고한 인터넷 사이트>>
네이버: http://www.naver.com
한국인터넷정보센터: http://www.nic.or.kr
사랑없이 살수 없다고 한다. 사랑때문에 서로 죽이고, 할퀴어 생채기를 낸다.
그 사랑은 유해한 것인가? 어떻게 사랑하는가에 따라 그것은 유익(?)하기도 유해하기도 하다. 중요한 것은 사랑의 본질일 것이다. 청소년 문화로 바라보게 되는 사이버 문화도 역시 그 본질이 중요하다. 어떻게 사용하는가! 또는 어떤 목적으로 이용되는가. 그리고 어떤 마인드를 가지고 매체를 접근하는가에 따라 매우 강력한 메시지를 가지고 사람들에게 덤비기도 하고, 사람들을 따뜻하게 만들기도 한다. 그래서 유해한 것을 찾아내는 것 보다 아름답게 만들어서 유해한것이 자연스레 거세될 수 있음을 믿어야 한다.
청소년에게 이러한 힘이 있음을 신뢰해야 한다. 청소년이 형성하고 있는 사이버 문화와 그 공간은 청소년의 생각과 사상과 철학이 담겨있는 진실한 매개가 될 수 있다. 지금 청소년에게는 나로부터 분화되어 나와 생명력을 부여받은 사이버상의 “자아”를 찾을 수 있도록 남겨진 “몫”과 “자정능력에 대한 신뢰”를 주어야 한다. 사이버공간은 범죄의 온상이나 청소년의 현실외면의 공간으로 치부하기에는 너무 많은 가능성을 가지고 있는 곳이다. 신기술의 진보와 발전은 인류와 사회에 대해 긍정적 순기능만을 주지 않는다. 무소불위의 위력을 지니고 있는 정보사회의 지식도 생산과 유통, 소비의 과정에 있어 어떠한 절차를 거치느냐에 따라 새로운 사회적 도전과 위협이 될 수 있다. 엽기사이트, 바이러스의 개발과 유포, 해킹과 사이버스토킹, 자살사이트, 사이버포르노, 상업성 스팸메일의 범람, 테러지원사이트(폭탄 및 생화학무기제작 지원사이트), 사생활의 침해, 계층 간의 정보격차 등은 지금까지 우리가 확인할 수 있었던 그러한 도전과 위협의 일부이다. 따라서 기술의 진보와 발전이 사회의 진보와 발전을 그대로 대변하는 것은 아니다. 그럼에도 우리 사회는 여전히 과학기술에 대한 새로운 맹신, 즉 신 근대주의적 사고로부터 아직 자유롭지 못하다(김 민, 1999; 66-68). 이러한 맹신은 곧잘 우리에게 또다시 상상적 위협으로 반전되어 다가오는데 그러한 위협에 대한 상상력은 SF 영화나 과학소설에서 일찍이 선보인 바가 있다. 이를테면, 기계공학이 발달하고 그 가속도가 붙을 즈음 기계인간 사이보그(cyborg)와 인조로봇 안드로이드(android)가 인간을 위협하리라는 상상력이 그것이다. 그러나 복제기술과 인터넷이 발달함에 따라 이제 기계인간과 인조로봇이 아닌 복제인간 레플리컨트(replicants)가 인간을 지배하고 나아가 유사현실이 현실세계를 지배하는 매트릭스(Matrix)의 위협으로 치환되었다. 위협의 주체와 내용은 달라졌지만 위협의 본질은 변하지 않았다. 인간이 생성해놓은 과학과 기술로 인해 인간이 당면해야만 하는 미래사회의 위기설정은 동일하기 때문이다. 과학과 기술이 인간을 압도하고 타자화(他者化)함으로써 빚어내는 소외와 위협은 다름 아닌 인간 자신이 초래한 결과이며 이는 ‘지금, 여기’에 대한 성찰적 자세의 부족함에 기인한다. 즉 우리가 경계해야 할 점은 급변하는 과학 기술의 변화속도에 무비판적으로 익숙해져 변화의 근원과 본질에 대한 반성적인 성찰을 소홀히 하는 것이다. 따라서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미래에 대한 근거없는 낙관적 자세로부터 벗어나 정보사회로의 진입이 우리의 삶을 어떻게 변화시킬 것인지에 대한 부단한 평가와 예측, 그리고 진중한 탐구의 자세라 할 수 있다. 특히 미래 사이버문화를 짊어지고 나갈 성장세대에 대한 면밀한 검토와 예측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침이 없다.
성장세대는 미래 사이버문화의 향유세대이다. 그들이 기술과 문명의 예속자로 남겨질지 아니면 훌륭한 도구와 수단으로 과학과 기술을 활용하는 문명인으로 살아남을 지에 대한 성찰은 지금부터 시작해야 한다. 사이버문화가 청소년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사회적 공론화의 의의는 바로 여기에 있다.
참 고 문 헌
김문조(1998). 정보사회: 본질과 유형. 한국언론학회한국사회학회 엮음. 정보화시대의 미디어와 문화. 세계사.
김 민(1998). 90년대 대중문화에서 바라본 청소년정보문화의 이해. 한국청소년학회 주최 학술세미나(1998. 12. 16) 발표논문. 한국청소년학회.
김 민(1999). 건강한 청소년정보문화창출을 위한 제언. 21세기 청소년포럼. 서울: 한국청소년학회.
김 민(2002). 청소년 인터넷중독과 사이버섹스 중독실태에 관한 연구(청소년 인터넷중독실태 연구세미나 발표논문). 한국청소년복지학회.
김성국(1998). 정보사회의 정치생활: 시민사회와 민주주의. 정보사회학회 편. 정보사회의 이해. 나남출판사.
라도삼(2001). 블랙인터넷: 엽기포르노게임의 광기에 대한 보고서. 자우.
이정우(2001). 기술과 운명: 사이버펑크에서 철학으로. 한길사.
이진경(1997). 근대적 시공간의 탄생. 푸른 숲.
조선일보, 2001. 10. 26/ 2002. 5. 5
크리스찬 아카데미(1997). 정보화시대 교육의 선택. 대화출판사.
통계청(2000). 통계로 본 한국의 모습. 대전: 통계청
한국언론학회한국사회학회 엮음(1998). 정보화시대의 미디어와 문화. 세계사.
황상민(2000). 사이버 공간에 또 다른 내가 있다. 김영사.
황진구(1999). 청소년인터넷 이용실태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개발원.
홍성태(1996). 사이버공간, 사이버문화. 문화과학. pp. 15-16
Tapscott, D.(1998). Growing Up Digital: Net Generation. McGraw-Hill. 허운나유영만 역(2000). N세대의 무서운 아이들. 물푸레.
Rushkoff, D.(1996). Playing the Future: How Kid\'s Culture can teach us to thrive in an age of Chaos. HaperCollins. 김성기김수정 옮김(1997). 카오스의 아이들. 민음사. pp. 13-14.
<<참고한 인터넷 사이트>>
네이버: http://www.naver.com
한국인터넷정보센터: http://www.nic.or.kr
추천자료
국내 게임산업의 문제점과 활성화 방안(온라인게임 온라인 게임 사이버게임 인터넷게?
인터넷보급의확산이청소년사회화과정에미치는영향
컴퓨터에 중독된 청소년의 해결 및 치료방안
미디어 IT 인터넷과 청소년
청소년들의 인터넷 중독실태와 해결 방법
(A+ 레포트, 청소년문제) 인터넷 중독의 문제점과 해결방안
[청소년프로그램개발및평가] 인터넷 중독예방 프로그램을 찾아 요약하여 제시하고, 그 프로...
[사회복지사 청소년복지론]
평가우수자료청소년의 인터넷 중독에 대한 분석 및 개인, 가족, 학교 차원에서의 대책
대중문화가 구체적으로 청소년기의 가치관에 어떻게 영향을 주고 있는가에 대해 네 가지 이상...
가족과 함께 할 수 있는 청소년 활동을 선정하여 프로그램의 장단점 분석.
현재 청소년복지분야의 사회문제 중 하나를 선택하여 소개하고 해결방안을 제시하시오
우리나라 청소년관련 법 중 개정(수정)하고 싶은 하나를 선택하여 수정해보고 그렇게 생각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