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막종(meningioma)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수막종(meningioma)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발생 빈도

2. 병리학적 소견

3. 방사선학적 소견

4. 호발 부위

5. 임상 증상

6. 다발성

7. 악성도

8. 외과적 치료

9. 방사선 치료

10. 재발율

11. 예 후

본문내용


소견이 고려되어야 한다. 8. 외과적 치료 ① 적어도 수술시간 전에 corticosteroid를 투여하여 뇌부종과 두 개강 내압을 감소시켜야 함.② 예방적으로 항경련제 ( diphenylhydantoin )를 투여하여 15 - 20 mg/ml의 혈중농도를 유지시키면 수술후의경련 발작을 예방할 수 있다. ③ 요추천자를 시행하여 뇌척수액을 배출시키든지 mannitol or glycerol 같은 삼투적 이뇨제를 사용한다.→ 뇌 용적 감소 ④ 수술전 충분한 혈액의 준비가 필요하다. ( 수막종은 혈관이 풍부하며 정맥동주위에 견고히 유착되어있는 경우가 많으므로 )⑤경우에 따라, embolization 이 외 경동맥을 통해 시행하고 24 - 48시간후에 종양을 적출하는 경우도 있다.⑥ 뇌 손상을 최대한 방지하기 위하여 수술 현미경을 이용⑦ 종양 적출시 환자의 체위를 좌위(sitting position)로 하거나 정맥동 주위의 수술시에는 air embolism의 가능성이 있으므로 우심실에 카테터를 삽입하고 Doppler monitor로 수술중 유입된 공기를 발견하고 제거할 준비 장치를 하여야 한다.⑧ 수막종은 출혈이 많은 종양이므로 수술중의 출혈에 대비하고 충분한 지혈을 한 후 수술을 마쳐야 한다.
9. 방사선 치료 ① 환자가 너무 고령일 경우 ② 종양이 심부에 위치할 경우 : 해면정맥동, 접형골연 내측, 추체골연부, 천막 내측사대 등③ 완전절제가 어려운 경우④ 혈관 분포가 풍부한 맥관아세포성 수막종과 조직학적으로 악성인 혈관외피 세포종(hemangiopericy -toma)인 경우10. 재발율 : 외과적으로 완전히 제거하면 그 재발율은 극히 낮다.*** Simpson\'s report ① 종양과 종양이 부착된 경막을 완전히 제거하면 9 % ② 종양만 완전히 제거하고 종양세포가 침윤된 경막은 단순히 전기 응고만 시행하면 19 % ③ 종양은 완전히 제거하였으나,종양주위의 경막이나 두개골은 그냥 두었을 경우에는 29 % ④ 단순히 종양의 부분 절제만 시행한 경우에는 40 % 에서 재발한다. - 재발 기간은 수술 후 평균 5년이라고 하였다.11. 예 후 ① 환자의 나이 ② 종양의 위치③ 종양의 완전 적출 여부- 수술 사망율은 대략 5 % 정도
* 참고문헌 *
☞ 전시자 외, 성인간호학(하), 현문사
☞ http://cafe.daum.net/fridayglass
☞ 안희경의 인체해부학 (고문사)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7.12.30
  • 저작시기2007.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4522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