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근골격계의 구조와 기능
2. 근력평가
3. 근골격계 진단적검사
4. 골밀도검사(BMD)
5. 골절환자의 치료와 간호
6.DVT (심정맥혈전증)
7.골절 치유 과정
8.근골격계 수술환자 간호(THR, TKR, 절단술 시행 전, 후 간호)
● 목 발 ●
10.근골격계 환자에게 사용되는 약물
2. 근력평가
3. 근골격계 진단적검사
4. 골밀도검사(BMD)
5. 골절환자의 치료와 간호
6.DVT (심정맥혈전증)
7.골절 치유 과정
8.근골격계 수술환자 간호(THR, TKR, 절단술 시행 전, 후 간호)
● 목 발 ●
10.근골격계 환자에게 사용되는 약물
본문내용
1. 근골격계의 구조와 기능
1) 골격계의 구조
- 총 206개, 체중의 약 15%
- 두개골, 척추, 흉관 등 축을 이루는 뼈 : 80개
- 상하지, 어깨, 골반 : 126개
2) 뼈의 구조
①육안적 구조
골단(epiphysis) : 긴뼈의 양끝 부분
관절이나 초자 연골로 덮여 있으며 탄력성 있다
골간부(diaphysis) : 단단한 흰색 섬유성 막인 골막으로 덮여 있다.
골막(periosteum) : 건과 인대가 뼈에 부착할 수 있는 자리를 제공
내면은 신경과 혈관의 공급이 풍부
골막의 내에는 골조세포(osteoblaste)라는 골형성세포포함
골단판(epiphysial plate) : 골단과 걸간부 사이 뼈의 길이 성장
장골(long bone)
골체를 중심으로 길이가 긴 대퇴골, 경골과 같은 사지를 이루는 뼈
단골(short bone)
손목이나 발목을 형성하는 뼈
편평골(flat bone)
늑골(rib)과 흉골(sternum) 및 견갑골, 골반을 구성하는 약간의 뼈와 요대(pelvic girdle)를 형성하는 뼈
종자골(sesamoid bone)
건(tendon) 속에 묻혀있는 것으로 슬개골(patella)
불규칙 골(irregular bone)
척추, 이소골, 하악골, 골반과 같은 일정하지 않은 뼈
②현미경적 구조
치밀골 (Compact bone)
ⅰ)뼈의 딱딱하고 흰 부분
ⅱ)Haversian, volkmann\'s cannal 으로 이루어짐
┗ 속에 혈관이 들어있어 뼈에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나이테와 비슷하고 노폐물 제거에 관여)
Spongy bone(해면골)
ⅰ)서로 얽혀서 망상 조직으로 되어 있다
ⅱ)불규칙한 trabeculae(골소주)가 망상을 이루고 그 속에 bone marrow가 있다
ⅲ)bone marrow : RBC 생성에 관여
어린이 - 적골수(red bone marrow)
성인 - 황골수(Yellow bone marrow)
3) 관절의 구조과 기능
둘 이상의 뼈가 만나는 곳. 연골과 뼈가 만나는 곳. 여러 방향으로 운동가능
fibrous joint (섬유성 연결)
①suture(봉합) - 뼈의 접촉면의 얇은층의 섬유조직에 의해 톱니가 서로 물리듯이
연결되는 관절
②syndesmosis(인대 결합) - 두뼈가 인대에 의해 연결
Cartilaginous joint(연골성 연결)
①synchondrosis(연골 결합) - 후두골과 접형골, 늑골과 흉골
②symphysis(섬유연골결합)- 치골결합, 추간원판사이
Synovial joint(활막성 연결)
- 운동할 수 있는 관절 eg) 고관절. 어깨.
4) 골격근의 구조와 기능
근육의 contraction과 relaxation을 통해 능동적 운동기관
무늬 유무에 따라
①smooth M.(평활근) : 불수의근 - 혈관, 방광, 소화기관
②skeletal M.(횡문근) : 수의근 - 내가 의미대로 움직일 수 있는 것
구성위치에 따라
①cardiac m
②skelectal m
③visceral m
신경지배에 따라
①voluntary m. : 골격근
②involuntary m. : 심장근, 내장근
- tendon(건) : 힘살의 양끝
- belly(힘살) :근육의 중앙 부분
- fascia(근막) : 근육을 싸고 있는 막 구성위치에 따라
2. 근력평가
1) 주요 증상
1. Pain & Disconfortness
pain 호소시 관찰해야 할 점
① 동통의 시작전 상태 ② 동통의 특징 ③ 동통의 확대 정도
④ 동통의 시작 시간과 기간 ⑤ 동통의 정도와 양상 ⑥ 동통의 위치
⑦ 동통의 전이 여부
⑧ 동통이 완화되었을 때 그 방법을 어떠하였는가?
pain이 심하면 pt는 움직이려고 하지 않음
∴ muscle splinting pseudoparalysis가 올 수 있다
→ 근육이 위축. 골다공증이 옴 - 잘 관찰. pain 완화
2. 근육경련(muscle spasm)
근육경련이 pain과 같이 옴
기전 - 근육경직.강직이 옴으로서 → flexion. contracture 초래
→ 저산소증 동반 → necrosis → pain이 더 심함( 열. 맛사지. 근육이완제 강직을 완화 )
호발부위 - 하지와 종아리 근육
Tx - 반사저지(reflex inhibition) : 근육에 경련이 나타나면 발을 강하게 앞으로 당겨주어 굴곡
시킴.
발목이 직각으로 되게 하라→ 운동신경이 상부로 전달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3. 관절경직(Joint contracture)
동통으로 장기간 몸의 움직임이 제한 됐을 때
frozen shoulder(부동성 어깨)
flexion conracture - bed rest시. 고관절에 많다(침요가 푹 꺼진 경우)
Knee flexion contracture - 무릎관절
foot drop → foot board 대줌
흉부 근육 구축(pectoral muscle) : 무의식 환자 - 팔을 가슴벽에 장기간 붙였을
1) 골격계의 구조
- 총 206개, 체중의 약 15%
- 두개골, 척추, 흉관 등 축을 이루는 뼈 : 80개
- 상하지, 어깨, 골반 : 126개
2) 뼈의 구조
①육안적 구조
골단(epiphysis) : 긴뼈의 양끝 부분
관절이나 초자 연골로 덮여 있으며 탄력성 있다
골간부(diaphysis) : 단단한 흰색 섬유성 막인 골막으로 덮여 있다.
골막(periosteum) : 건과 인대가 뼈에 부착할 수 있는 자리를 제공
내면은 신경과 혈관의 공급이 풍부
골막의 내에는 골조세포(osteoblaste)라는 골형성세포포함
골단판(epiphysial plate) : 골단과 걸간부 사이 뼈의 길이 성장
장골(long bone)
골체를 중심으로 길이가 긴 대퇴골, 경골과 같은 사지를 이루는 뼈
단골(short bone)
손목이나 발목을 형성하는 뼈
편평골(flat bone)
늑골(rib)과 흉골(sternum) 및 견갑골, 골반을 구성하는 약간의 뼈와 요대(pelvic girdle)를 형성하는 뼈
종자골(sesamoid bone)
건(tendon) 속에 묻혀있는 것으로 슬개골(patella)
불규칙 골(irregular bone)
척추, 이소골, 하악골, 골반과 같은 일정하지 않은 뼈
②현미경적 구조
치밀골 (Compact bone)
ⅰ)뼈의 딱딱하고 흰 부분
ⅱ)Haversian, volkmann\'s cannal 으로 이루어짐
┗ 속에 혈관이 들어있어 뼈에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나이테와 비슷하고 노폐물 제거에 관여)
Spongy bone(해면골)
ⅰ)서로 얽혀서 망상 조직으로 되어 있다
ⅱ)불규칙한 trabeculae(골소주)가 망상을 이루고 그 속에 bone marrow가 있다
ⅲ)bone marrow : RBC 생성에 관여
어린이 - 적골수(red bone marrow)
성인 - 황골수(Yellow bone marrow)
3) 관절의 구조과 기능
둘 이상의 뼈가 만나는 곳. 연골과 뼈가 만나는 곳. 여러 방향으로 운동가능
fibrous joint (섬유성 연결)
①suture(봉합) - 뼈의 접촉면의 얇은층의 섬유조직에 의해 톱니가 서로 물리듯이
연결되는 관절
②syndesmosis(인대 결합) - 두뼈가 인대에 의해 연결
Cartilaginous joint(연골성 연결)
①synchondrosis(연골 결합) - 후두골과 접형골, 늑골과 흉골
②symphysis(섬유연골결합)- 치골결합, 추간원판사이
Synovial joint(활막성 연결)
- 운동할 수 있는 관절 eg) 고관절. 어깨.
4) 골격근의 구조와 기능
근육의 contraction과 relaxation을 통해 능동적 운동기관
무늬 유무에 따라
①smooth M.(평활근) : 불수의근 - 혈관, 방광, 소화기관
②skeletal M.(횡문근) : 수의근 - 내가 의미대로 움직일 수 있는 것
구성위치에 따라
①cardiac m
②skelectal m
③visceral m
신경지배에 따라
①voluntary m. : 골격근
②involuntary m. : 심장근, 내장근
- tendon(건) : 힘살의 양끝
- belly(힘살) :근육의 중앙 부분
- fascia(근막) : 근육을 싸고 있는 막 구성위치에 따라
2. 근력평가
1) 주요 증상
1. Pain & Disconfortness
pain 호소시 관찰해야 할 점
① 동통의 시작전 상태 ② 동통의 특징 ③ 동통의 확대 정도
④ 동통의 시작 시간과 기간 ⑤ 동통의 정도와 양상 ⑥ 동통의 위치
⑦ 동통의 전이 여부
⑧ 동통이 완화되었을 때 그 방법을 어떠하였는가?
pain이 심하면 pt는 움직이려고 하지 않음
∴ muscle splinting pseudoparalysis가 올 수 있다
→ 근육이 위축. 골다공증이 옴 - 잘 관찰. pain 완화
2. 근육경련(muscle spasm)
근육경련이 pain과 같이 옴
기전 - 근육경직.강직이 옴으로서 → flexion. contracture 초래
→ 저산소증 동반 → necrosis → pain이 더 심함( 열. 맛사지. 근육이완제 강직을 완화 )
호발부위 - 하지와 종아리 근육
Tx - 반사저지(reflex inhibition) : 근육에 경련이 나타나면 발을 강하게 앞으로 당겨주어 굴곡
시킴.
발목이 직각으로 되게 하라→ 운동신경이 상부로 전달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3. 관절경직(Joint contracture)
동통으로 장기간 몸의 움직임이 제한 됐을 때
frozen shoulder(부동성 어깨)
flexion conracture - bed rest시. 고관절에 많다(침요가 푹 꺼진 경우)
Knee flexion contracture - 무릎관절
foot drop → foot board 대줌
흉부 근육 구축(pectoral muscle) : 무의식 환자 - 팔을 가슴벽에 장기간 붙였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