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Disease description
Ⅱ. Assessment
1. 간호력
2. 신체검진
1) 신체사정(Physical examination)
2) 임상검사 (Laboratory)
3) 사용약물
Ⅲ. Admission Note
Ⅳ. Progress Note
Ⅴ.Nursing Record
Ⅱ. Assessment
1. 간호력
2. 신체검진
1) 신체사정(Physical examination)
2) 임상검사 (Laboratory)
3) 사용약물
Ⅲ. Admission Note
Ⅳ. Progress Note
Ⅴ.Nursing Record
본문내용
or V 활성증가 작용이 있다.
-부작용
1. 저피브리노겐 혈증 등의 극심한 피브리노겐 결핍시에는 효과 없음
2. 급속하게 투여하면 오십, 심계항진, 두통등이 나타남
-주의사항
1. 혈전증, 색전증환자, 혈관내 산재된 응고증후 환자에게는 사용금지
-기타
1. IV시 주사기내 역류 방지위해 신속히 주사
2. 1thrombin unit는 섭씨 28도에서 15초간 표준 피브리노겐 용액 1ml를
응고시키는 thrombin의 양을 말함
3. 알코올 또는 에텔로 소독하였거나 아직 뜨거운 주사기는 사용하지 말것
-적응증
NSAID
-약리작용
cyclo-oxygenase의 활성을 감소시켜 prostaglandin의 합성을 차단
-부작용
쇽, 소화성 궤양 과립고 감소 스티븐존슨증후군
-상호작용
리튬제제, 디곡신, 메토트렉세이트제제와 병용투여시 그 작용을 증강시킴
아스피린과 병용투여시 그 작용이 감소할수 있다.
푸로세미드와 병용투여시 그 작용이 감소
부신피질스테로이드제와 병용투여시 출혈의 위험성이 증대한다
-기타
첨가제로 사용된 벤질알코올은 조숙아에게서 치명적인 가쁜 호흡증상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보고됨
-해열,진통,소염제
-적응증
류마티양 관절염. 골 관절염, 자궁부속기염, 좌골신경통, 이염, 편도염, 무월경
성 동통, 외상후 동통, 수술후 염증및 동통, 건초염, 염좌 : 1회 370mg을 1일 3
회 경구투여, 중증일 경우 1회 740mg을 투여
-약리작용
NSAID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 cyclo-oxygenase 의 활성을
감소시켜 prostagladin 의 합성을 차단함으로써 약리작용을 나타낸다.
-부작용
과민증 : 일반적으로 내성이 좋으나 과민증 환자는 구역,구토가 일어날 수 있다.
소화기 : 장기 투여시 위장관에 대한 부작용(위장출혈,소화성궤양 및 천공)이
일어날 수 있다.
-주의사항
1.간장애,신장애환자에는 신중히 투여
2.장기투여하는 경우 정기적인 임상검사(요검사,혈액검사,간기능검사 등)을 실시
3. 급성염증,동통 및 발열의 정도를 고려하여 투여
4. 감염증을 불현성화할 우려가 있으므로 감염에 의한 염증에 대해 사용할 경우
적절한 항균제를 병용하고 충분한 관찰을 통해 신중히 투여
-상호작용
쿠마린계 항응혈제와 병용 투여시 그 작용을 증강시킬 수 있으므로 감량하는 등
신중히 투여.
진경제(근육의 경련을 진정시킴)
-적응증
1. 간,담도 산통, 여러 원인에 의한 복부 산통, 신장, 뇨관의 산통등 급성경련성
통증 증상, 위장관 운동곤란증, 담석증, 담낭염, 수술 후 유착 등의 복부 경련과
통증
2. 1일 2-3회, 1회 1정씩 복용
-약리작용
평활근 세포내 cAMP synthetase를 활성화하여 cAMP의 양을 증가시켜 근수축에 필
요한 칼슘이온을 조절하여 평활근세포의 근세포 이완.수축 조절->각종 평활근의
과도 수축에 의한 경련성 통증 제거
-부작용
구갈, 구역, 구토, 변비, 알러지 증상
가려움증, 홍반 등 알러지 증상 나타나면 투여 중지
-주의사항
1. 금기 : 외부 자극으로 위장관이 협착된 환자나 거대결장, 허탈 및 약제에
과민성 있는 환자
2. 녹내장, 전립선비대 환자 신중히 투여.
-상호작용
-혈압강하 약물치료를 받는 환자에게 이 약제를 고용량 투여할 경우, 혈압강하
효과가 상승되기 때문에 신중히 투여
효소제제
-적응증
각종 염증 증상 완화, 객담 배출 촉진
: 1회 1-2정 1일 4회 투여
-약리작용
Streptokinase....fibrin용해
Streptodornase....농의 성분인 DNA분해
-부작용
과민증, 소화기장애, 출혈경향
-주의사항
혈액응고기능 이상 환자, 항응고제 투여환자는 주의
제산제
-적응증
1.변비증
성인의 경우 1일 2-4정을 1-2회 분할경구투여
2.위십이지장궤양 위염 위산과다에서의 제산작용
성인의 경우 1일 2-5정을 수회 분할경구투여
-약리작용
-삼투성 수분체류를 유발함으로서 대장을 확장시켜 연동운동을 증가시킨다
-위산과 반응하여 염화 마그네슘을 형성함으로서 산을 중화한다
-부작용
1. 설사
2. 장기대량투여에 의해 고마그네슘혈증이 나타날수 있으므로 주의
-주의사항
:신장애환자,설사환자는 이약의 복용을 금기한다
:마그네슘 중독증상이 나타날경우 칼륨염을 주사한다
:설사약으로 사용할때는 많은 물과 함께 복용하면 더욱 효과적이다
-상호작용
1.테트라사이클린 계열의 항생물질의 흡수를 억제할수 있으므로 병용투여하지 않
는다
2.이 약의 흡착작용 또는 소화관내,체액의 pH상승 효과에 의해
병용약물의 흡수,배설에 영향을 줄수 있으므로 주의한다
3.다량의 우유,칼슘제품과 병용시 우유알칼리증후군이 나타날수 있다
진해거담제
-적응증
급만성 호흡기질환에서의 점액용해및 거담
:1일 2-3회, 1회 1캅셀씩 복용
-약리작용
1. 끈끈한 점액을 신속히 분해하여 담을 묽게하고, 섬모운동을 촉진하여 객담의 배출을 쉽게한다.
2. 기관지 폐포가 파괴되는 것을 막아주며 호흡기 면역물질(면역글로불린A)의 양을 증가시키고 인체내 생리적 항균물질(리소짐, 락토페린)의 양을 증가
시킴.
-부작용
:사용량(1200mg/1일)보다 과 투여시 발한, 현훈, 조홍
-주의사항
과민증 환자나 동성분의 대사물이 메치오닌대사를 방해할수 있으므로 간경변환자와 Cystathionine synthase 결핍환자에는 금기이다
-상호작용
:항생제, 기관지확장제(테오필린, beta2-효능약, cough sedative)와 병용가능
무기질제제
-적응증
:경구용 철분제제의 복용이 불가능하거나 치료가 만족스럽지 못한 환자 , 약물복
용 순응도가 떨어져 치료효과가 의심되는 환자
: 성인- 1회 1-2앰플씩 주 2-3회 투여. 1A-15분, 2A-30분에 걸쳐 투여.
(N/S 100ml에 mix한다)
: 소아- 1일 kg당 Fe로서 3mg(이 약 0.15ml에 해당)을 투여, 최대 kg당 7mg 즉
0.35ml에 해당하는 용량까지 투여가능하다.
-약리작용
:헤모글로빈, 미오글로빈, 효소에 존재하는 철을 보충하고 헤모글로빈을 통해 산
소
-부작용
1. 저피브리노겐 혈증 등의 극심한 피브리노겐 결핍시에는 효과 없음
2. 급속하게 투여하면 오십, 심계항진, 두통등이 나타남
-주의사항
1. 혈전증, 색전증환자, 혈관내 산재된 응고증후 환자에게는 사용금지
-기타
1. IV시 주사기내 역류 방지위해 신속히 주사
2. 1thrombin unit는 섭씨 28도에서 15초간 표준 피브리노겐 용액 1ml를
응고시키는 thrombin의 양을 말함
3. 알코올 또는 에텔로 소독하였거나 아직 뜨거운 주사기는 사용하지 말것
-적응증
NSAID
-약리작용
cyclo-oxygenase의 활성을 감소시켜 prostaglandin의 합성을 차단
-부작용
쇽, 소화성 궤양 과립고 감소 스티븐존슨증후군
-상호작용
리튬제제, 디곡신, 메토트렉세이트제제와 병용투여시 그 작용을 증강시킴
아스피린과 병용투여시 그 작용이 감소할수 있다.
푸로세미드와 병용투여시 그 작용이 감소
부신피질스테로이드제와 병용투여시 출혈의 위험성이 증대한다
-기타
첨가제로 사용된 벤질알코올은 조숙아에게서 치명적인 가쁜 호흡증상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보고됨
-적응증
류마티양 관절염. 골 관절염, 자궁부속기염, 좌골신경통, 이염, 편도염, 무월경
성 동통, 외상후 동통, 수술후 염증및 동통, 건초염, 염좌 : 1회 370mg을 1일 3
회 경구투여, 중증일 경우 1회 740mg을 투여
-약리작용
NSAID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 cyclo-oxygenase 의 활성을
감소시켜 prostagladin 의 합성을 차단함으로써 약리작용을 나타낸다.
-부작용
과민증 : 일반적으로 내성이 좋으나 과민증 환자는 구역,구토가 일어날 수 있다.
소화기 : 장기 투여시 위장관에 대한 부작용(위장출혈,소화성궤양 및 천공)이
일어날 수 있다.
-주의사항
1.간장애,신장애환자에는 신중히 투여
2.장기투여하는 경우 정기적인 임상검사(요검사,혈액검사,간기능검사 등)을 실시
3. 급성염증,동통 및 발열의 정도를 고려하여 투여
4. 감염증을 불현성화할 우려가 있으므로 감염에 의한 염증에 대해 사용할 경우
적절한 항균제를 병용하고 충분한 관찰을 통해 신중히 투여
-상호작용
쿠마린계 항응혈제와 병용 투여시 그 작용을 증강시킬 수 있으므로 감량하는 등
신중히 투여.
-적응증
1. 간,담도 산통, 여러 원인에 의한 복부 산통, 신장, 뇨관의 산통등 급성경련성
통증 증상, 위장관 운동곤란증, 담석증, 담낭염, 수술 후 유착 등의 복부 경련과
통증
2. 1일 2-3회, 1회 1정씩 복용
-약리작용
평활근 세포내 cAMP synthetase를 활성화하여 cAMP의 양을 증가시켜 근수축에 필
요한 칼슘이온을 조절하여 평활근세포의 근세포 이완.수축 조절->각종 평활근의
과도 수축에 의한 경련성 통증 제거
-부작용
구갈, 구역, 구토, 변비, 알러지 증상
가려움증, 홍반 등 알러지 증상 나타나면 투여 중지
-주의사항
1. 금기 : 외부 자극으로 위장관이 협착된 환자나 거대결장, 허탈 및 약제에
과민성 있는 환자
2. 녹내장, 전립선비대 환자 신중히 투여.
-상호작용
-혈압강하 약물치료를 받는 환자에게 이 약제를 고용량 투여할 경우, 혈압강하
효과가 상승되기 때문에 신중히 투여
-적응증
각종 염증 증상 완화, 객담 배출 촉진
: 1회 1-2정 1일 4회 투여
-약리작용
Streptokinase....fibrin용해
Streptodornase....농의 성분인 DNA분해
-부작용
과민증, 소화기장애, 출혈경향
-주의사항
혈액응고기능 이상 환자, 항응고제 투여환자는 주의
-적응증
1.변비증
성인의 경우 1일 2-4정을 1-2회 분할경구투여
2.위십이지장궤양 위염 위산과다에서의 제산작용
성인의 경우 1일 2-5정을 수회 분할경구투여
-약리작용
-삼투성 수분체류를 유발함으로서 대장을 확장시켜 연동운동을 증가시킨다
-위산과 반응하여 염화 마그네슘을 형성함으로서 산을 중화한다
-부작용
1. 설사
2. 장기대량투여에 의해 고마그네슘혈증이 나타날수 있으므로 주의
-주의사항
:신장애환자,설사환자는 이약의 복용을 금기한다
:마그네슘 중독증상이 나타날경우 칼륨염을 주사한다
:설사약으로 사용할때는 많은 물과 함께 복용하면 더욱 효과적이다
-상호작용
1.테트라사이클린 계열의 항생물질의 흡수를 억제할수 있으므로 병용투여하지 않
는다
2.이 약의 흡착작용 또는 소화관내,체액의 pH상승 효과에 의해
병용약물의 흡수,배설에 영향을 줄수 있으므로 주의한다
3.다량의 우유,칼슘제품과 병용시 우유알칼리증후군이 나타날수 있다
-적응증
급만성 호흡기질환에서의 점액용해및 거담
:1일 2-3회, 1회 1캅셀씩 복용
-약리작용
1. 끈끈한 점액을 신속히 분해하여 담을 묽게하고, 섬모운동을 촉진하여 객담의 배출을 쉽게한다.
2. 기관지 폐포가 파괴되는 것을 막아주며 호흡기 면역물질(면역글로불린A)의 양을 증가시키고 인체내 생리적 항균물질(리소짐, 락토페린)의 양을 증가
시킴.
-부작용
:사용량(1200mg/1일)보다 과 투여시 발한, 현훈, 조홍
-주의사항
과민증 환자나 동성분의 대사물이 메치오닌대사를 방해할수 있으므로 간경변환자와 Cystathionine synthase 결핍환자에는 금기이다
-상호작용
:항생제, 기관지확장제(테오필린, beta2-효능약, cough sedative)와 병용가능
-적응증
:경구용 철분제제의 복용이 불가능하거나 치료가 만족스럽지 못한 환자 , 약물복
용 순응도가 떨어져 치료효과가 의심되는 환자
: 성인- 1회 1-2앰플씩 주 2-3회 투여. 1A-15분, 2A-30분에 걸쳐 투여.
(N/S 100ml에 mix한다)
: 소아- 1일 kg당 Fe로서 3mg(이 약 0.15ml에 해당)을 투여, 최대 kg당 7mg 즉
0.35ml에 해당하는 용량까지 투여가능하다.
-약리작용
:헤모글로빈, 미오글로빈, 효소에 존재하는 철을 보충하고 헤모글로빈을 통해 산
소
키워드
추천자료
자궁적출술 케이스 사례연구
자궁경부암 케이스 스터디(간호과정)
모성케이스(자궁선근증)
수술대상자 케이스 - TAH (Total abdominal hysterectomy) 복식 전 자궁 절제술
자궁육종 sarcoma of uterus – 자궁평활근육종 Ieiomyosarcoma of 케이스 스터디 C...
자궁경부암 케이스 스터디 case study [모성간호-산부인과 실습]
자궁경부암 케이스
자궁경관무력증 케이스
[수술실 실습] A+받은 Total Abdominal Hysterectomy(자궁절제술) 케이스
자궁내막암 케이스 간호과정
uterine prolapse 자궁탈출 케이스(질식 자궁절제술(TVH vaginal hysterectomy))
자궁외임신 케이스(Ectopic pregnancy 케이스, Ectopic pregnancy 간호과정, 자궁외 임신, 자...
ovarian prolapse(자궁 탈출 케이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