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varian prolapse(자궁 탈출 케이스)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ovarian prolapse(자궁 탈출 케이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ovarian prolapse(자궁 탈출)
Ⅰ. 서론

Ⅱ. 문헌고찰

Ⅲ. 본론
1. 일반 간호정보
2. 건강력
3. 일반 신체검진
4. 질병과 관련된 사회심리적 정보
5. 검사실 검사
6. 진단을 위한 검사
7. 최종 진단명
8. 치료계획과 치료방법
9. 간호진단

반드시 알아야 할 모성간호학 약어 및 용어정리(19장)

본문내용

IUGR)(자궁내 태아성장지연) : 임신40주만에 태어난 신생아의 체중이 2500gm미만이거나 신생아의 체중성장곡선이나 신장성장곡선상 발육정도가 10%미만에 속할 때
5. Inverted nipple(시험관 수정) : 남자와 여자로부터 추출해낸 난자와 정자를 시험관에서 수정시킨후 다시 여자의 자궁내에 이식하는 것
6. Involution(자궁퇴축) : 분만후 자궁의 크기가 줄어드는 것으로 완전한 퇴축이 이루어지는 시간은 6주정도 걸린다.
J, K
1. Jaundice(황달) : 고빌리루빈 혈증시 나타나는 증상으로, 피부, 공막, 점막과 체액등이 혈액내 과도한 빌리루빈의 영향으로 노랗게 되는 증상
2. Kegel exercise(케겔씨 운동) : 치골미골근의 지속적이고 반복적인 수축과 이완을 통해서 질과 회음부의 근육을 강화시키는 운동
L
1. Laminaria(박편) : 식물의 씨종류로써 수분을 흡수하면 빠르게 커지는 작은 막대모양의 기구로서 자궁경부입구에 삽입해두면 빠르게 팽창하여 경부를 벌려주므로 유산을 위해서 자궁경부를 초기에 벌리려고 할 때 사용한다.
2. Lanugo(솜털) : 태아의 손바닥과 발바닥을 제외한 신체의 모든부분에 분포하는 미세하고 부드러운 털
3. Laparoscopy(복강경 검사법) : 복부에 매우 작은 절개를 한 후 가늘고 긴 수술용 기구를 복강내로 넣어서 복강내부를 검사하는 것으로, 복강내 기관이나 골반내 기관등을 관찰하려는 목적이나, 여성의 불임시술시 시행함
4. Large for gestational age(LGA) : 해당 제태 연령에서 살펴봤을 때 자궁 내 성장곡선의 90%이상일 때를 말함
5. Leopold maneuver(레오폴드 방법) : 임부의 복부를 양손으로 촉진함으로써 태향을 진단하는 방법
6. Let down reflex(사출반사) : 작은 자극에 따라 뇌하수체로부터 옥시토신의 분비가 증가되어 결과적으로 유방내 근육세포들의 수축이 유발되어 모유가 유관을 따라서 유두로 배출되는 현상
7. Lightening(하강감) : 분만개시 203주 전에 나타나는 현상으로 골반강내로 태아가 하강되어 복부팽만이 경감되는 것
8. Linea alba(백선) : 전복벽에서 복직근 사이의 정중선에 위치한 건성의 선으로서 치골에서부터 검상연골까지 뻗어있다.
9. Linea nigra(흑선) : 임신의 한 증후로서 치골부위로부터 배꼽까지 착색된 검은선이 뻗어있는 것
10. Lochia(오로) : 분만후 2-3주동안 질구를 통해서 분비되는 분비물로써 적색오로, 갈색오로, 백색오로가 있다.
11. Low birth weight(저체중) : 재태연령과 상관없이 출생시 체중이 2500gm미만일 때
12. Luteinizing Hormone(황체호르몬) : 퇴하수체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으로 난포의 완전한 성숙과 배란에 관여한다.
M
1. Mastitis(유선염) : 균열된 유두를 통해서 침범한 박테리아에 의해서 나타나는 유선 또는 유방의 급성 염증
2. Maternal modality(모성사망률) : 임신, 분만, 산욕기의 합병증으로 인해 사망한 모성의 비율
3. McDonald measurement(맥도날드 측정법) : 테잎으로 치골결합부위로부터 자궁저부까지의 거리를 재는 것으로써 자궁저부의 높이를 측정하는 방법
4. Meconium(태변) : 태아나 신생아의 장내에 있는 암녹색의 점액성 물질로서, 분만시 양수에서 발견되면 태아가 가가상태(distress)임을 말해준다.
5. Menarche(초경) : 월경기능의 개시 또는 시작
6. Meningocele(수막류, 뇌척수막탈출) : 두개나 척추의 결손부를 통한 수막의 허니아성 탈출
7. Menopause(폐경) : 월경이 종식되는 시기로서 보통 48-52세 정도에 나타난다.
8. Menorrhagia(월경과다) : 정기적인 주기의 월경기간에 일어나는 과도한 자궁출혈로서, 보통 7-8일정도로 월경기간이 보통의 경우보다 길고, 양도 80-100ml인 경우를 뜻한다.
9. Menstruation(월경) : 가임기간동안 비임신 여성의 자궁으로부터 혈액, 점막, 상피세포등을 포함한 분비물이 질을 통해서 배출되는 현상으로서, 임신기간을 제외하고 보통 4주 간격으로 반복된다.
10. Microcephaly(소두증) : 뇌의 발달이 잘 안되어 머리가 비정상적으로 작은 것
11. Molding(주형) : 분만시 태아가 산도의 크기와 형태에 적응하는 과정에서 태아머리의 두개골이 겹쳐지는 현상
12. Mongolian spots(몽고반점) : 출생시 신생아의 허리와 엉덩이 부위에 있는 푸른색의 점으로서 주로 흑인에서 많다.
13. Multipara(경산부) : 분만시 출산한 아기의 생존여부에 관계없이 2회이상의 이전의 출산경험이 있는 여자
14. Multiple pregnancy(다태임신) : 동시에 둘이상의 배아를 수태한 경우
N
1. Negele rule(네겔레 법칙) : 마지막 월경주기 첫날로부터 분만예정일을 계산하는 방법으로 (달-3)(날+7)로 나온 날짜가 분만예정일이다. 예를 들어, 마지막 월경주기 첫날이 98년 4월 5일 일때 네겔레 법칙에 의한 분만예정일을 산출하면 99년 1월 12일이 된다.
2. Neonatal Behavioral Assessment Scale(SBAS)(신생아행위 사정척도) : 1973년에 Brazelton에 의해 개발된 도구로 27개의 개별항목에 의해서 신생아의 행위적 특성을 평가하는 도구이며, 크게 습관화, 지남력, 운동성숙도, 변이성, 자위, 사회적 행위 등의 6가지 항목으로 분류된다.
3. Neonate(신생아) : 출생후 28일 동안의 아기
4. Nipple stimulation test(유두자극 검사) : 유두자극시 뇌하수체 후엽으로부터 옥시토신이 분비된다는 이론에 근거하여 수행되는 비침습적인 산전검사로 정맥내로 옥시토신을 주입하지 않고도 자궁수축을 유도할 수 있다.
5. Nonstress test(비자극검사) : 태아안녕상태를 말해주는 검사로서 태동이 있을때 태아심박동수의 증가여부를 외부태아감시기를 사용해서 확인하는 것
6. Nullipara(미산부) : 아기를 한번도
  • 가격1,500
  • 페이지수40페이지
  • 등록일2017.03.03
  • 저작시기2017.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2011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