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화학실험보고서)조섬유정량(AOAC법)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Abstract
◈ Introduction
◈ Materials & Methods
◈ Results & Discussion
◈ Reference

본문내용

황작물, 차전자피, 쑥갓, 미나리, 상추, 부추 고사리, 우엉, 샐러리, 숙주, 파슬리, 근대, 쑥, 무우말랭이, 씨래기나물, 양파, 양상추, 연근, 양배추, 토란, 당근, 밤, 호두, 잣, 다시마, 미역, 김, 파래, 톳, 한천, 함초 등이 있다. 하지만 김치, 열무, 콩나물 등에 있는 질긴 식이섬유는 불용성의 셀룰로오스로서 거친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위장을 자극하고, 소화에 방해가 되며, 수분을 흡수하는 성질이 적어 변비에는 큰 도움이 되지 못하는 성질이 있다. 식이섬유는 특별한 약리작용도 일으키지 않고 그저 물을 빨아 들여 부피만 증가시키는 식품이라는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부작용도 없으며 습관성이 생기지 않기 때문에 변비개선제로 대장항문 클리닉 의료인들은 식이섬유를 권장하고 있다. 하지만 식이섬유를 섭취함에 있어서 물은 충분히 보충하지 않고 과량의 식이섬유를 섭취할 경우 오히려 배변을 어렵게 할 수도 있으므로 식이섬유 섭취 시 항상 물을 충분히 마시는 것이 좋다.
이번 조섬유 정량실험에 있어서 우리는 AOAC 법에 의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AOAC 법은 Henneberg-Stohmann의 개량법으로서 앞서서 그 원리에 대하여 밝혔다.
Henneberg­Stohmann의 개량법에 대하여 다시 한번 살펴보면, 실험방법으로서 우선 탈지한 검체에 뜨거운 1.25% H2SO4을 넣어 가열하고 발포가 심하면 amyl alcohol을 소량 넣어, 30분간 가열한 후 여과하고 산성이 없어질 때까지 세척한 다음 이 잔류물에 뜨거운 1.25% NaOH액을 넣어 30분간 가열한 후 여과하고 alkali가 없어질 때까지 세척, 건조하여 칭량한다. 회화한 다음 칭량하고 그 차를 조섬유량으로 측정하게 되는 방법이다. 하지만 이외에도 또 다른 조섬유 정량법(Table 4.)이 있다. 그것은 Konig 법으로서 다량의 pentose를 함유한 검체에 적당한 방법이다. Konig 법의 대략적인 실험과정을 살펴보면, 우선 검체에 glycerin H2SO4용액을 넣고 133~135℃에서 1시간 또는 3기압에서 137℃로 1시간 가열한 후 여과하고 잔사를 열탕, 열alcohol, alcohol ether 혼액의 순서로 잘 세척한 다음 건조 칭량한 다음 열작 회화하여 칭량한 차를 조섬유량으로 하게 된다.
Henneberg-Stohmann의 개량법(AOAC 법)
Konig 법
ADF 법
NDF 법
Table 4. 조섬유 정량법의 종류
이러한 방법 외에도 후에 반추가축은 조섬유의 일부를 소화할 수 있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새로 ADF 나 NDF 분석법이 개발되었다. ADF 나 NDF 의 분석법은 풀 사료의 영양적 가치를 나타내거나 사료배합에 보다 적합하기 때문에 주로 이용된다. 조섬유 함량은 변형 조섬유(modified CF, 불용회분을 포함한다)와 함께 사초의 영양가를 나타내는 주요방법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들 NDF 와 ADF에 대해서 알아보면, 우선 Neutral Detergent Fiber(NDF : 중성세제불용성섬유)는 사초 시료를 pH 7.0 되는 특별히 제조된 중성용액(ND)에 넣고 끓이게 되면 녹는 부분은 소화가 잘 되는 세포질 물질들과 녹지 않는 부분은 소화가 잘 되지 않는 세포벽 물질(NDF, 셀룰로오스, 헤미셀룰로오스, 리그닌)들이다. 식물의 구조를 형성하는 세포벽 물질의 양은 급여사료의 부피 또는 채워주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가축의 섭취량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즉, NDF함량이 높으면 채식량은 떨어지고 낮으면 올라간다. NDF 함량을 모르면 그 사료의 섭취량을 예측할 수 없고 제대로 된 배합비를 짤 수 없기 때문에 낙농사료나 풀 사료를 주로 먹는 비육사료의 분석내용 중 가장 중요한 분석항목이 된다. 특히 식물의 숙기가 진행 될수록 세포벽 물질은 증가하기 때문에 수확시기가 늦어질수록 NDF 함량도 증가하며, NDF가 증가할수록 사료의 질은 떨어지는 특성이 있다.
다음으로 Acid Detergent Fiber(ADF : 산성용매불용성섬유)는 특별히 제조된 산성세제용액으로 1시간 정도 끓인 후 여과하여 남은 물질로 가장 소화가 안 되는 식물부분으로 cellulose, lignin, silica, insoluble crude proteing 및 ash 등이 여기에 포함된다. ADF의 함량은 사초의 소화율과 부의 상관관계가 있으므로 에너지 가를 계산하는데 이용되며 풀 사료의 중요한 분석항목이 되고 있다. ADF함량이 낮을수록 정미에너지가 높기 때문에 질이 우수한 풀 사료가 된다. ADF 역시 식물이 성숙될수록 증가한다.
한편 소화가 전혀 되지 않는 비탄수화물 물질인 리그닌은 보다 강한 산인 72% 황산용액을 가하여 구할 수 있다.
Figure 8. Allin's 여과장치
마지막으로 이번 실험에 사용하였던 Allin's 관(Figure 8.)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자. Allin's 관을 통하여 흡입여과를 실시함으로써, 린넨을 통하여 식이섬유와 무기질을 걸러주게 된다. Allin's 관을 사용함에 있어서 주의해야 할 것은 우선 섬유정량 전용의 여과관을 사용해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여과면의 선단을 1mm(15~16 mesh) 정도의 눈금을 가진 금망을 씌우고, 다시 그 외측에 아마포나 면포를 덮어서 끈으로 머리쪽을 단단히 묶어 주어야 한다. 이때 아마포는 1 inch 당 약 45개의 실을 가질 정도의 것이 아니면 안 된다. 이번 실험에 있어서는 18~20 mesh 의 구리망이 사용되었으며, 면포로서는 린넨(2.5cm에 약 45개의 실날을 가진 면포)가 사용되었다.
◈ Reference
이근보, 양종범 등(2006),「쉬운 식품분석」, 유한문화사 P191~197
채수규, 강갑석 등(2003),「표준 식품분석학 이론 및 실험」, 지구문화사 P270~275
신효선(1997), 「식품분석(이론과 실제)」, 신광출판사 P84~90
주현구(1991), 「식품분석법」, 유림문화사 P109~1110
고명수, 양종범 등(2002),「식품분석」, 유한문화사 P184~191
실험보고서
- 조섬유 정량 -
(AOAC 법)
과목 : 식품화학실험
담당교수님 :
학번 :
이름 :
제출일 :

키워드

  • 가격1,5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8.01.06
  • 저작시기2007.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4602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