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식이섬유의 정의
2. 식품 중의 식이섬유의 정량
3. 식이섬유의 섭취현상과 목표 섭취량
4. 식이 섬유의 기능
(1) 물리. 화학적 기능
(2) 생물기능
(3) 생리기능
5. 식이섬유와 질병
(1) 불용성 식이섬유의 소화관 관련 질환에 작용
(2) 수용성 식이섬유의 대사성 질환에 작용
2. 식품 중의 식이섬유의 정량
3. 식이섬유의 섭취현상과 목표 섭취량
4. 식이 섬유의 기능
(1) 물리. 화학적 기능
(2) 생물기능
(3) 생리기능
5. 식이섬유와 질병
(1) 불용성 식이섬유의 소화관 관련 질환에 작용
(2) 수용성 식이섬유의 대사성 질환에 작용
본문내용
효과가 발휘된다. 전자는 변비, 대장암, 게실, 치질, 위궤양, 충치 등이고 후자는 비만, 고지혈증, 고혈압, 정맥암, 담석, 요로 결석 등 다양한 효과가 관찰, 보고 되고 있다.
(1) 불용성 식이섬유의 소화관 관련 질환에 작용
불용성 식이 섬유는 섭취 식이섬유의 약 80%에 이르고 더구나 그 대부분을 셀룰로오즈가 차지한다. 따라서 불용성 식이섬유의 기능은 거의 셀룰로오즈에 귀결되는 것으로 예상되지만 그 설명은 아직 불충분하다. 구강 내에서 불용성 식이섬유가 많으면 입안에서 음식물이 연하되지 않고 머무르나 타액의 분비가 잘 된다. 채소나 과일을 잘 먹는 학생에게 충치가 적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대장에서 불용성 식이섬유는 불소화물의 찌꺼기를 증가시켜 통과 시간을 단축한다. 그 결과, 배변 횟수를 증가시켜 변량도 증가한다. 또한 장관 내압을 감소시켜 게실의 형성을 억제하는 것도 제창되고 있다. 배변시의 항문에 걸리는 압력은 아주 높다고 하지만 변량이 늘면 편하게 배변되어 배어 힘을 줄 필요가 없고 치질의 예방과 증상의 경감에 도움이 된다.
대장암은 결장암과 직장암으로 대별하여 취급되지만 식이 섬유와 관련이 강한 것은 전자 쪽이다. 대장암이 많은 나라는 미국이고 반대로 적은 것은 남미, 아시아, 아프리카 등이다. 우리나라와 일본에서는 최근, 해마다 대장암이 증가하고, 거의 전 연령층으로 그 경향이 강화되고 있다. 하와이네 이주한 일본인은 위암은 감소되고, 대장암이 증가되는 것은 사실이다. 이와 같이 지리적으로 대장암이 많은 나라와 적은 나라가 있지만 그 원인은 유전적 인자보다도 환경인자, 특히 식생활(지방, 식이섬유)의 관계가 큰 것이 시사되어 왔다. 미국 위스터 연구소는 대장암 발생과 식이섬유 섭취량과의 관계를 조사하여 48보의 각종 역학보고를 정리하여 양향이 없다고 한 리포트는 겨우 10보이고 다른 38보는 양자의 역상관이 깊은 것을 가리킨다고 하였다. 식이섬유의 그 중에서도 곡물, 콩류, 녹황색 채소가 대장암 예방에 유효하고 펜토산 획분에 특히 강한 것이 인정되고 있다.
쥐를 사용한 발암물질 투여실험도 다수 이루어져 식이섬유 특히 수용성 식이섬유의 유효성이 인정되고 있다.
영양상, 지방의 섭취 증가와 식이섬유의 섭취 감소 등이 서로 상관하면서 대장암 발생에 관여하는 것 같다. 지방은 간장에서 콜레스테롤에서 담즙산으로 이화를 촉진한다. 또한, 장관내에서 장내세균의 작용을 받아 간장에서 합성된 일차 담즙산에서 이차 담즙산이나 이들이 변화된 발암 촉진
물을 생성하는 것이 문제라고 하였다.
(2) 수용성 식이섬유의 대사성 질환에 작용
수용성 식이 섬유는 고점성에 의한 소화관내에서의 통과 시간의 지연과 대장내에서 발효하기 쉬운 점이 특징이다. 당뇨병의 역학조사에서는, 제2차 세계대전에 영국 당뇨병 사망률이 현저히 감소하였지만 그것은 배급된 빵의 도정도가 낮은 시기와 잘 일치하였다. 또한, 일본에서도 전후의 식이섬유 섭취량의 감소와 동시에 당뇨병 사망률이 증가하였다.
식이 섬유가 비만과 당뇨병에 대한 작용은 아래와 같이 요약된다.
- 식이섬유 그 자체는 에너지원이 되기 어렵다.
- 다른 에너지원이 되는 영양소의 소화. 흡수를 일부 저해 한다.
- 타액. 위액의 분비를 촉진하여 만복감을 준다.
- 위. 소장의 통과시간을 완만하게 하여 단과 지방 흡수를 지연시킨다.
- 혈중 인슐린, 글루코오즈, 중성지방 수준의 상승을 억제한다.
이들의 종합적인 효과로서 식사 섭취량의 감소, 체중 증가의 억제, 체지방의 감소가 초래된다. 최근 대장내의 발효에 의해서 생기는 단쇄지방산이 혈당조절에 관여하고 있는 가능성도 밝혔다.
식이 섬유의 연구 중에서 가장 빨리 효과가 인정되는 것은 콜레스테롤 대사에 관여하는 것이었다. 역학조사, 동물실험, 임상실험 등이 다수 발표 되고 혈중 콜레스테롤 수준의 상승 억제작용은 거의 확실히 효과가 있으나 혈중 triglyceride에서는 효과가 약한 것 같다. 혈중 콜레스테롤 수준이 오랫동안 높은 것은 동맥경화성 질환과 콜레스테롤 담석의 위험인자로 되었다.
고혈압을 식이섬유가 억제하는 것은 비교적 늦고 Burkitt(1971)의 가설에서도 그렇게 강조되지 않았다. 최근에는 많은 증거가 있다. Tsuji 등은 식이섬유의 이온교환반응에 의한 승압 인자의 나트륨과 강압인자의 칼륨과 칼슘의 관계를 밝혔다.
뇌졸중 예방에는 혈압 조절이 중요한 의미를 갖고 있기 때문에 식이섬유의 섭취에는 이 분야에서 유용성이 기대된다. 특히 식염과의 상호작용은 주목하여야 할 기능이다.
(1) 불용성 식이섬유의 소화관 관련 질환에 작용
불용성 식이 섬유는 섭취 식이섬유의 약 80%에 이르고 더구나 그 대부분을 셀룰로오즈가 차지한다. 따라서 불용성 식이섬유의 기능은 거의 셀룰로오즈에 귀결되는 것으로 예상되지만 그 설명은 아직 불충분하다. 구강 내에서 불용성 식이섬유가 많으면 입안에서 음식물이 연하되지 않고 머무르나 타액의 분비가 잘 된다. 채소나 과일을 잘 먹는 학생에게 충치가 적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대장에서 불용성 식이섬유는 불소화물의 찌꺼기를 증가시켜 통과 시간을 단축한다. 그 결과, 배변 횟수를 증가시켜 변량도 증가한다. 또한 장관 내압을 감소시켜 게실의 형성을 억제하는 것도 제창되고 있다. 배변시의 항문에 걸리는 압력은 아주 높다고 하지만 변량이 늘면 편하게 배변되어 배어 힘을 줄 필요가 없고 치질의 예방과 증상의 경감에 도움이 된다.
대장암은 결장암과 직장암으로 대별하여 취급되지만 식이 섬유와 관련이 강한 것은 전자 쪽이다. 대장암이 많은 나라는 미국이고 반대로 적은 것은 남미, 아시아, 아프리카 등이다. 우리나라와 일본에서는 최근, 해마다 대장암이 증가하고, 거의 전 연령층으로 그 경향이 강화되고 있다. 하와이네 이주한 일본인은 위암은 감소되고, 대장암이 증가되는 것은 사실이다. 이와 같이 지리적으로 대장암이 많은 나라와 적은 나라가 있지만 그 원인은 유전적 인자보다도 환경인자, 특히 식생활(지방, 식이섬유)의 관계가 큰 것이 시사되어 왔다. 미국 위스터 연구소는 대장암 발생과 식이섬유 섭취량과의 관계를 조사하여 48보의 각종 역학보고를 정리하여 양향이 없다고 한 리포트는 겨우 10보이고 다른 38보는 양자의 역상관이 깊은 것을 가리킨다고 하였다. 식이섬유의 그 중에서도 곡물, 콩류, 녹황색 채소가 대장암 예방에 유효하고 펜토산 획분에 특히 강한 것이 인정되고 있다.
쥐를 사용한 발암물질 투여실험도 다수 이루어져 식이섬유 특히 수용성 식이섬유의 유효성이 인정되고 있다.
영양상, 지방의 섭취 증가와 식이섬유의 섭취 감소 등이 서로 상관하면서 대장암 발생에 관여하는 것 같다. 지방은 간장에서 콜레스테롤에서 담즙산으로 이화를 촉진한다. 또한, 장관내에서 장내세균의 작용을 받아 간장에서 합성된 일차 담즙산에서 이차 담즙산이나 이들이 변화된 발암 촉진
물을 생성하는 것이 문제라고 하였다.
(2) 수용성 식이섬유의 대사성 질환에 작용
수용성 식이 섬유는 고점성에 의한 소화관내에서의 통과 시간의 지연과 대장내에서 발효하기 쉬운 점이 특징이다. 당뇨병의 역학조사에서는, 제2차 세계대전에 영국 당뇨병 사망률이 현저히 감소하였지만 그것은 배급된 빵의 도정도가 낮은 시기와 잘 일치하였다. 또한, 일본에서도 전후의 식이섬유 섭취량의 감소와 동시에 당뇨병 사망률이 증가하였다.
식이 섬유가 비만과 당뇨병에 대한 작용은 아래와 같이 요약된다.
- 식이섬유 그 자체는 에너지원이 되기 어렵다.
- 다른 에너지원이 되는 영양소의 소화. 흡수를 일부 저해 한다.
- 타액. 위액의 분비를 촉진하여 만복감을 준다.
- 위. 소장의 통과시간을 완만하게 하여 단과 지방 흡수를 지연시킨다.
- 혈중 인슐린, 글루코오즈, 중성지방 수준의 상승을 억제한다.
이들의 종합적인 효과로서 식사 섭취량의 감소, 체중 증가의 억제, 체지방의 감소가 초래된다. 최근 대장내의 발효에 의해서 생기는 단쇄지방산이 혈당조절에 관여하고 있는 가능성도 밝혔다.
식이 섬유의 연구 중에서 가장 빨리 효과가 인정되는 것은 콜레스테롤 대사에 관여하는 것이었다. 역학조사, 동물실험, 임상실험 등이 다수 발표 되고 혈중 콜레스테롤 수준의 상승 억제작용은 거의 확실히 효과가 있으나 혈중 triglyceride에서는 효과가 약한 것 같다. 혈중 콜레스테롤 수준이 오랫동안 높은 것은 동맥경화성 질환과 콜레스테롤 담석의 위험인자로 되었다.
고혈압을 식이섬유가 억제하는 것은 비교적 늦고 Burkitt(1971)의 가설에서도 그렇게 강조되지 않았다. 최근에는 많은 증거가 있다. Tsuji 등은 식이섬유의 이온교환반응에 의한 승압 인자의 나트륨과 강압인자의 칼륨과 칼슘의 관계를 밝혔다.
뇌졸중 예방에는 혈압 조절이 중요한 의미를 갖고 있기 때문에 식이섬유의 섭취에는 이 분야에서 유용성이 기대된다. 특히 식염과의 상호작용은 주목하여야 할 기능이다.
추천자료
수 종의 cytokine 이 사람 치주인대 섬유아세포의prostaglandin E2 , leukotriene
에코라벨 기준에 의한 국내 섬유제품 환경 규제 동향
광통신 완벽정리 ( 기술, 장점, 단점, 광섬유, 광케이블 )
미래의 소재 Peek 섬유 보고서
신입사원 교육훈련 (한솔섬유 입문과정 사례, 신입승무원, 삼성전자, 두산그룹, 삼성전기, 엘...
[위염, 위염 정의, 위염 종류, 위염 구별, 위염 증상과 원인, 위염 식이요법, 식이요법]위염...
[재료과학] 금속복합재료 정리 (복합재료란?, 금속 복합재료, 금속복합재료의 종류, 보강섬유...
신체장애 (다운증후군, 마르팡 증후군, 난장이, 낭포성 섬유증, 미국 장애인 법, 소아마비, ...
만성신부전-식이요법, 신부전증질환치료, 신부전증환자식단, 신부전증식단, 신부전증식이요법
신장질환(혈액투석환자, 신장질환증상, 식이원칙, 식이요법, 허용식품, 금지식품, 신장질환자...
[2017년 생활과건강] 당뇨의 합병증을 급성과 만성으로 구분하여 정리, 당뇨합병증 급성 만성...
[장질환] 장질환(소화기계질환)의 원인과 증상 및 식이요법 - 급성장염 및 만성장염, 흡수불...
[간장질환의 원인과 증상 및 식이요법] 급성간염, 만성간염, 간견병, 지방간, 간암(간질환)의...
[식이요법] 식이요법의 목적, 영양권장량, 영양상태의 평가, 영양과 질병의 관계(영양이 질병...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