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활용의 정의
2. 어미
1) 어말 어미
(1) 종결어미
(2) 연결어미
(3) 전성어미
2) 선어말 어미
(1) 분리적 선어말 어미
(2) 교착적 선어말 어미
3. 어미‘-아/어, -지, -고, -게’의 범주 설정 논란(연결어미와 부사형 전성어미에 대한 논란)
4. 높임법
5. 존재사의 활용
6. 규칙활용과 불규칙 활용
2. 어미
1) 어말 어미
(1) 종결어미
(2) 연결어미
(3) 전성어미
2) 선어말 어미
(1) 분리적 선어말 어미
(2) 교착적 선어말 어미
3. 어미‘-아/어, -지, -고, -게’의 범주 설정 논란(연결어미와 부사형 전성어미에 대한 논란)
4. 높임법
5. 존재사의 활용
6. 규칙활용과 불규칙 활용
본문내용
㉭ 목적 : -(으)러
ㄷ. 보조적 연결어미 : -다/아, -게, -지, -고
(3) 전성어미
전성어미는 용언으로 하여금 다른 품사 기능을 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전성어미에는 명사형 전성어미와 관형사형 어미, 부사형 전성어미가 있다. 부사형 전성어미는 연결어미 중 보조적 연결어미와 함께 학자들 마다 의견이 분분하여 부사형 전성어미를 보조적 연결어미에 포함시키거나, 따로 설정하는 등 논란이 많은 부분이다.
. 명사형 전성어미 : 선행절을 명사형으로 전성시킨다. -음, -기
(예문) 그는 여전히 놀기보다 공부하기를 더 좋아한다.
대체로 ‘-음‘과’-기‘는 상위문의 서술어에 따라 선택되는 것으로 인식되면서 주로 그 의미 특성에 관한 논의가 많이 이루어져 왔는데 그 구체적인 내용은 대략 다음과 같다.
‘-음‘은 화자의 인식 양상에서 [+결정성,+실체성]의 의미를 나타내며, ’-기‘는 [-결정성,+실체성]의 의미를 나타낸다.
음악 소리가 잔잔해지면서 영화가 끝나고 있음을 {암시했다, 알렸다}
그는 젊은 시절이 흘러갔음을 {알았다, 몰랐다, 깨달았다, 잊었다, 한탄했다.}
그는 자신이 사건과 관련이 없음을 {주장했다, 밝혔다, 고백했다, 지적하였다}
(1) [-음]
그는 사람들과 만나기를 {좋아한다. 싫어한다, 꺼린다, 바란다, 희망한다}
외국어는 배우기가 {쉽다, 어렵다, 싫다, 좋다, 까다롭다, 어설프다, 수월하다, 힘들다}
농부들이 비가 오기를 {기다린다, 기원한다,}
(2) [기]
그러나 ‘-기‘가 이유, 원인을 나타내는 조사 ’-에‘와 통합될 때는 [+결정성]의 의미로 해석되기도 한다.
위에서 보듯이 ‘-기’와 ‘-음’은 서술어에 따라 결정되며, 서로 넘나들 수 없다. 대체로 상위문의 서술어가 ‘보다, 듣다’와 같은 지각동사, ‘알다, 깨닫다’와 같은 인식동사, ‘분명하다, 확실하다’와 같은 평가동사일 때는 [-음]이 선택되고, ‘적합하다, 좋다, 싫다, 쉽다’와 같은 동사가 상위문의 서술어가 될 때는 [-기]가 선택된다.
‘-음’에 의해 실현되는 [+실체성]은 그 의미상 명사성에 보다 가깝고, ‘-기’에 의해 실현되는 [-실체성]은 그 의미상 동사성에 보다 가깝다.
또한 ‘-음‘과 ’-기‘는 파생 접미사와 그 형태가 같아서, 그것이 파생접미사로 쓰였는지 명사형 어미로 쓰였는지 구별이 잘 안 되는 경우가 있다.
* 명사형 전성어미와 파생접미사로서의 \'-음\'과 \'-기\'.
명사절을 이끄는 어미로 \'-음\'과 \'-기\'가 있음은 앞에서 밝힌 바 있다. 이러한 명사형 어미는 파생접사와 유사하면서도 차이점이 있어, 예를 통해 비교해 보도록 하겠다.
먼저 접미사는 단어의 어근에 붙어 어기의 의미 뿐만아니라 품사등의 문법적 성질도 바꾸는 역할을 한다. 명사 형성 접미사에는 -개/게, -기, -ㅁ/음, -매, -보, -새 등이 있으나 특히나 -음과 -기는 겉보기에 그 모습이 명사형 어미와 유사해 구분 하기가 쉽지않다.
a. 그가 오늘따라 호탕한 웃음을 자주 웃음은 다 까닭이 있다.
b. 깊은 잠을 푹 잠이 건강에 가장 좋다.
위의 예에서 파생접미사로서의 용법과 명사형 어미로서의 용법을 볼 수 있는데, 앞쪽의 \'웃음, 잠\'은 관형어의 수식을 받아서 파생명사임을 알 수 있고, 뒤쪽의 \'웃음, 잠\'은 부사어의 수식을 받아서 명사형(동명사)임을 알 수 있다. 즉, 전자의 \'-음\'은 파생접미사 이고 후자의 \'-음\'은 명사형 어미라고 할 수 있다.
a. 신발이 작아 빨리 달리기가 어려웠다.
b. 작은 신발 때문에 달리기에서 꼴등을 했다.
\'-기\' 역시 a의 경우 부사의 수식을 받고 서술부의 위치에 있으므로 명사형 어미이고, b의 경우에는 접사임을 알 수 있다. 특히나 b의 달리기는 그 쓰임이 많아 명사로서 굳어진 경우 이다.
이와 비슷한 예로 믿음/죽음/웃음/걸음/꿈/삶/앎/잠/춤/기쁨/슬픔 등이 있다.
구분
접(미)사
어미
새 단어 생성 여부
새 어휘소 생성
어휘소의 어형만 변형
통사 범주
바꾼다
바꿀 수 없다
어간과의 결합 여부
결합의 제약
자유롭게 결합
접(미)사와 어미의 차이
.관형사형 전성어미:선행절을 관형어로 전성시켜 뒤의 명사를 수식하는 성분으로 만들어준다. -은, -을, -는;-던 관형사형 어미 가운데 ‘-던’은 과거를 표시하는 어미로, 형용사에 나타나는 것이다. 동사에서는 ‘간 사람’처럼 ‘-은/-’으로 과거를 표시할 수 있으나, 형용사에서는 ‘예쁜 꽃 ; 예쁘던 꽃’을 통해 볼 때 과거를 나타내기 위해 ‘-던’을 사용한다. 그러나 ‘-더-’와 ‘-은/-’이 한꺼번에 나타나는 것과 ‘-더-’와 ‘-은/-’이 각각 어미 형태소라는 것은 다른 문제이다. 동사든 형용사든 ‘-던’이 나타나면 이는 두 개의 형태소, 즉 회상 어법 ‘-더-’와 관형사형 어미 ‘-은/-’으로 구분해야 한다고 주장하기도 한다.
(예문) 책을 읽을 시간이 없다.
철수가 지은 시가 일등으로 당선되었다.
. 부사형 전성어미 : 선행절을 부사어로 전성시켜 뒤의 서술어를 수식하는 역할을 한다. -고서, -게, -도록, -듯이
(예문) 순희는 양귀비 뺨치 {게, 도록} 예쁘다는 말을 자주 듣는다.
채반이 용수가 되{게, 도록}우긴다.
2) 선어말 어미
선어말 어미는 어간과 어말 어미 사이에 놓인다. 선어말 어미만 가지고는 문장을 완성할 수 없으며 문장에서 선어말 어미가 쓰이지 않을 수 도 있다. 또한 어말 어미와 달리 여러 개가 함께 쓰일 수도 있다. 선어말 어미는 어간과 쉽게 분리해 낼 수 있느냐 여부에 따라 분리적 선어말 어미와 교착적 선어말 어미로 나눌 수 있다.
(1) 분리적 선어말 어미
. 주체 높임 선어말 어미 : -시- → 어미 가운데 가장 앞에 나오는 특성이 있다.
선어말어미 가운데서 어미와의 결합비율이 가장 높다.
. 시제 선어말 어미 : -었었-, -었-,(과거 시제)
-는-/--,(현재 시제) →평서형과 감탄형에만 나타난다는 분포상의 제약이 있다.
-겠-(미래 시제) → \'-었-\'과 결합되면 \'추측\'의 의미만을 표시하고, 후행하는 어미도 \'-었-\'보다는 제한되어 있다.
. 공선 선어말 어미 : -옵-/-오-, -사오- →화자가 상대방에게 공손의 뜻을 표시할 때쓰인다. 중세어의 \'-
ㄷ. 보조적 연결어미 : -다/아, -게, -지, -고
(3) 전성어미
전성어미는 용언으로 하여금 다른 품사 기능을 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전성어미에는 명사형 전성어미와 관형사형 어미, 부사형 전성어미가 있다. 부사형 전성어미는 연결어미 중 보조적 연결어미와 함께 학자들 마다 의견이 분분하여 부사형 전성어미를 보조적 연결어미에 포함시키거나, 따로 설정하는 등 논란이 많은 부분이다.
. 명사형 전성어미 : 선행절을 명사형으로 전성시킨다. -음, -기
(예문) 그는 여전히 놀기보다 공부하기를 더 좋아한다.
대체로 ‘-음‘과’-기‘는 상위문의 서술어에 따라 선택되는 것으로 인식되면서 주로 그 의미 특성에 관한 논의가 많이 이루어져 왔는데 그 구체적인 내용은 대략 다음과 같다.
‘-음‘은 화자의 인식 양상에서 [+결정성,+실체성]의 의미를 나타내며, ’-기‘는 [-결정성,+실체성]의 의미를 나타낸다.
음악 소리가 잔잔해지면서 영화가 끝나고 있음을 {암시했다, 알렸다}
그는 젊은 시절이 흘러갔음을 {알았다, 몰랐다, 깨달았다, 잊었다, 한탄했다.}
그는 자신이 사건과 관련이 없음을 {주장했다, 밝혔다, 고백했다, 지적하였다}
(1) [-음]
그는 사람들과 만나기를 {좋아한다. 싫어한다, 꺼린다, 바란다, 희망한다}
외국어는 배우기가 {쉽다, 어렵다, 싫다, 좋다, 까다롭다, 어설프다, 수월하다, 힘들다}
농부들이 비가 오기를 {기다린다, 기원한다,}
(2) [기]
그러나 ‘-기‘가 이유, 원인을 나타내는 조사 ’-에‘와 통합될 때는 [+결정성]의 의미로 해석되기도 한다.
위에서 보듯이 ‘-기’와 ‘-음’은 서술어에 따라 결정되며, 서로 넘나들 수 없다. 대체로 상위문의 서술어가 ‘보다, 듣다’와 같은 지각동사, ‘알다, 깨닫다’와 같은 인식동사, ‘분명하다, 확실하다’와 같은 평가동사일 때는 [-음]이 선택되고, ‘적합하다, 좋다, 싫다, 쉽다’와 같은 동사가 상위문의 서술어가 될 때는 [-기]가 선택된다.
‘-음’에 의해 실현되는 [+실체성]은 그 의미상 명사성에 보다 가깝고, ‘-기’에 의해 실현되는 [-실체성]은 그 의미상 동사성에 보다 가깝다.
또한 ‘-음‘과 ’-기‘는 파생 접미사와 그 형태가 같아서, 그것이 파생접미사로 쓰였는지 명사형 어미로 쓰였는지 구별이 잘 안 되는 경우가 있다.
* 명사형 전성어미와 파생접미사로서의 \'-음\'과 \'-기\'.
명사절을 이끄는 어미로 \'-음\'과 \'-기\'가 있음은 앞에서 밝힌 바 있다. 이러한 명사형 어미는 파생접사와 유사하면서도 차이점이 있어, 예를 통해 비교해 보도록 하겠다.
먼저 접미사는 단어의 어근에 붙어 어기의 의미 뿐만아니라 품사등의 문법적 성질도 바꾸는 역할을 한다. 명사 형성 접미사에는 -개/게, -기, -ㅁ/음, -매, -보, -새 등이 있으나 특히나 -음과 -기는 겉보기에 그 모습이 명사형 어미와 유사해 구분 하기가 쉽지않다.
a. 그가 오늘따라 호탕한 웃음을 자주 웃음은 다 까닭이 있다.
b. 깊은 잠을 푹 잠이 건강에 가장 좋다.
위의 예에서 파생접미사로서의 용법과 명사형 어미로서의 용법을 볼 수 있는데, 앞쪽의 \'웃음, 잠\'은 관형어의 수식을 받아서 파생명사임을 알 수 있고, 뒤쪽의 \'웃음, 잠\'은 부사어의 수식을 받아서 명사형(동명사)임을 알 수 있다. 즉, 전자의 \'-음\'은 파생접미사 이고 후자의 \'-음\'은 명사형 어미라고 할 수 있다.
a. 신발이 작아 빨리 달리기가 어려웠다.
b. 작은 신발 때문에 달리기에서 꼴등을 했다.
\'-기\' 역시 a의 경우 부사의 수식을 받고 서술부의 위치에 있으므로 명사형 어미이고, b의 경우에는 접사임을 알 수 있다. 특히나 b의 달리기는 그 쓰임이 많아 명사로서 굳어진 경우 이다.
이와 비슷한 예로 믿음/죽음/웃음/걸음/꿈/삶/앎/잠/춤/기쁨/슬픔 등이 있다.
구분
접(미)사
어미
새 단어 생성 여부
새 어휘소 생성
어휘소의 어형만 변형
통사 범주
바꾼다
바꿀 수 없다
어간과의 결합 여부
결합의 제약
자유롭게 결합
접(미)사와 어미의 차이
.관형사형 전성어미:선행절을 관형어로 전성시켜 뒤의 명사를 수식하는 성분으로 만들어준다. -은, -을, -는;-던 관형사형 어미 가운데 ‘-던’은 과거를 표시하는 어미로, 형용사에 나타나는 것이다. 동사에서는 ‘간 사람’처럼 ‘-은/-’으로 과거를 표시할 수 있으나, 형용사에서는 ‘예쁜 꽃 ; 예쁘던 꽃’을 통해 볼 때 과거를 나타내기 위해 ‘-던’을 사용한다. 그러나 ‘-더-’와 ‘-은/-’이 한꺼번에 나타나는 것과 ‘-더-’와 ‘-은/-’이 각각 어미 형태소라는 것은 다른 문제이다. 동사든 형용사든 ‘-던’이 나타나면 이는 두 개의 형태소, 즉 회상 어법 ‘-더-’와 관형사형 어미 ‘-은/-’으로 구분해야 한다고 주장하기도 한다.
(예문) 책을 읽을 시간이 없다.
철수가 지은 시가 일등으로 당선되었다.
. 부사형 전성어미 : 선행절을 부사어로 전성시켜 뒤의 서술어를 수식하는 역할을 한다. -고서, -게, -도록, -듯이
(예문) 순희는 양귀비 뺨치 {게, 도록} 예쁘다는 말을 자주 듣는다.
채반이 용수가 되{게, 도록}우긴다.
2) 선어말 어미
선어말 어미는 어간과 어말 어미 사이에 놓인다. 선어말 어미만 가지고는 문장을 완성할 수 없으며 문장에서 선어말 어미가 쓰이지 않을 수 도 있다. 또한 어말 어미와 달리 여러 개가 함께 쓰일 수도 있다. 선어말 어미는 어간과 쉽게 분리해 낼 수 있느냐 여부에 따라 분리적 선어말 어미와 교착적 선어말 어미로 나눌 수 있다.
(1) 분리적 선어말 어미
. 주체 높임 선어말 어미 : -시- → 어미 가운데 가장 앞에 나오는 특성이 있다.
선어말어미 가운데서 어미와의 결합비율이 가장 높다.
. 시제 선어말 어미 : -었었-, -었-,(과거 시제)
-는-/--,(현재 시제) →평서형과 감탄형에만 나타난다는 분포상의 제약이 있다.
-겠-(미래 시제) → \'-었-\'과 결합되면 \'추측\'의 의미만을 표시하고, 후행하는 어미도 \'-었-\'보다는 제한되어 있다.
. 공선 선어말 어미 : -옵-/-오-, -사오- →화자가 상대방에게 공손의 뜻을 표시할 때쓰인다. 중세어의 \'-
추천자료
제주도사투리와 전라도사투리
일본어 부정표현에 대한 고찰 - 예를 중심으로
전라북도 방언의 특징
최현배, 이숭녕의 품사 체계와 학교 문법의 품사 체계 비교
15세기 국어의 보조 용언
문장성분과 짜임(통사론)
2009년 동계계절시험 바른국어생활과문법 시험범위 핵심체크
[된소리][국어 된소리]국어 된소리의 의미, 국어 된소리의 역사, 국어 된소리의 유형, 국어 ...
[영어 품사][영어][품사][동사][명사][형용사][부사][대명사]영어 품사 동사, 영어 품사 명사...
2011년 동계계절시험 바른국어생활과문법 시험범위 핵심체크
조사의 분류와 서술격 조사 ‘-이다’의 문제
조사의 분류와 서술격 조사 ‘-이다’의 문제
영아기 언어발달(영아의 언어발달단계, 언어발달이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