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된소리][국어 된소리]국어 된소리의 의미, 국어 된소리의 역사, 국어 된소리의 유형, 국어 된소리와 파찰음, 국어 된소리와 거센소리, 국어 된소리의 문제점 분석(된소리, 국어 된소리, 국어, 파찰음, 거센소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된소리][국어 된소리]국어 된소리의 의미, 국어 된소리의 역사, 국어 된소리의 유형, 국어 된소리와 파찰음, 국어 된소리와 거센소리, 국어 된소리의 문제점 분석(된소리, 국어 된소리, 국어, 파찰음, 거센소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국어 된소리의 의미

Ⅱ. 국어 된소리의 역사

Ⅲ. 국어 된소리의 유형

Ⅳ. 국어 된소리와 파찰음

Ⅴ. 국어 된소리와 거센소리

Ⅵ. 국어 된소리의 문제점

참고문헌

본문내용

닌가 한다. 즉 그들은 (1) 摩擦音의 된소리 및 動名詞 語尾 ‘-ㄹ’의 경우에 나타나는 閉鎖音의 된소리와 (2) 그밖의 된소리가 性質이 다른 것으로 보고 (1)만을 濁聲이라고 解釋했던 것으로 믿어진다. 지금 당시의 發音 狀態를 정확히 알 수 없어 위의 (1)과 (2) 사이에 어떤 差異가 있었는지를 밝힐 수 없으나 (1)과 (2)를 區別한 것은 당시의 音韻 分析의 一面이라고 할 수 있다.”고 하였다. 그리고 圓覺經諺解 이후 사라졌던 ‘ㅆ’이 16世紀에 들어 다시 쓰이는데, 이 때의 ‘ㅆ’은 各自竝書가 아니고 ‘ㅺ, ㅼ, ㅽ’ 등과 같은 ‘ㅅ’ 合用竝書로 인식하고, 바로 15세기의 “ㅺ, ㅼ, ㅽ” 合用竝書가 된소리라고 보았다.
박창원(1996)은 어두에 ‘-’ 등이 나타나기 시작하는 15세기 후반을 된소리가 음운론적으로 확립되기 시작한 시기로 잡고, 각자병서는 평음 및 ‘ㅅ’ 합용병서와 變異音의 관계에 있었고, ‘ㅅ’ 합용병서는 1460년대 이전에는 문자와 같이 소리도 제 음가대로 조음되었고 각자병서와는 變異音의 관계에 있다가, 각자병서가 사라진 이후의 ‘ㅅ’ 합용병서는 완전한 된소리의 표기로 쓰였다고 보았다.
<창제당년> [k](ㄱ) [k\'](ㄲ), [k\'](ㄲ) [sk](ㅺ)
<1460년대> [k](ㄱ), [k\'](ㄲ) [sk](ㅺ)
<그 이후> [k](ㄱ), [k\'](ㅺ)
음절말 ‘-ㅅ’이 전기 중세국어에서는 아직도 마찰음 [-s]로도 발음되고 있었는데, 1462년 楞嚴經諺解 이후에는 未破化되어 閉鎖音으로 발음하여 ‘ㄷ’ 閉鎖音化하였고, ‘사이시옷’은 聲門閉鎖 [ ]의 音聲的 特質을 갖게 되었으므로, ‘ㅅ’ 合用竝書는 실제로는 된소리로 실현되었을 것이다. 1460년대 이후에는 漢字音 표기에서의 전탁음과 국어의 특수한 환경 즉 ‘사이시옷’이나 관형형 어미 ‘-ㅭ’ 뒤의 ‘ㄱㄷㅂㅅ’ 실현음, ‘ㅅ’ 合用竝書의 子音群들이 모두 동일하게 실현되는 것으로 인식하고 전통적인 표기방법인 ‘ㅅ’ 合用竝書로 된소리를 표기하게 되었다고 본다.
李基文(1972b)은, 訓民正音의 모든 문자는 그 음가대로 사용되는 것이 原則인데, 이에 대한 유일한 例外인 ‘ㅅ’이 屬格 語尾로서 소위 “사이시옷”으로 사용되었던 것인데, 그 음운론적 특징은 선행어의 말음을 내파화하고 후행어의 두음을 된소리화하는 것으로 보았다. 그리하여 龍飛御天歌와 訓民正音諺解에서는 매우 특수한 표기법을 마련하여(주로 漢字語의 경우) 선행어의 말음이 不淸不濁字인 경우 그것과 같은 位置(牙 舌 脣 喉)의 全淸字로써 표기하는 규칙이 있었는데, 이 두 책에도 이런 理論的 傾向은 일반화되지 못하고 이미 이 두 책에 가장 많이 쓰인 ‘ㅅ’이 유일한 표기로 고정되었고, ‘사이시옷’이란 이름도 형성되었다고 보았다. ‘ㅅ’이 선택된 이유는 鄕札 表記의 속격 어미가 ‘叱’로 표기된 데서 유래를 추측했고, 이런 용법이 ‘된시옷’으로까지 확대된 것으로 보았다.
[ㄱ] : 兄ㄱ 디(龍飛御天歌 8), 讓兄ㄱ(龍飛御天歌 99), 遮陽ㄱ 세쥐(龍飛御天歌 88), 乃終ㄱ 소리(訓民正音諺解)
[ㄷ] : 몃間ㄷ 지

키워드

  • 가격5,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0.11.11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3850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