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기능평가에 대한 정의
2. 문제행동의 기능
3. 기능 평가 방법
4. 기능평가를 왜 실시해야 하는가?
5. 정신지체
6. 연구 문제
7. 연구방법
8. 결과 및 해석
9. 결론
2. 문제행동의 기능
3. 기능 평가 방법
4. 기능평가를 왜 실시해야 하는가?
5. 정신지체
6. 연구 문제
7. 연구방법
8. 결과 및 해석
9. 결론
본문내용
추기에서의 행동 변화
<퍼즐 맞추기에서의 행동변화>
실험절차
대상아동
기초선 기간
제1차
강화기간
반전기간
제2차
강화기간
사후점검
A
70.0
25.4
32.0
16.3
50.0
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퍼즐 맞추기에서 과잉행도의 강도가 기초선 기간에는 70.0%이었던 것이 제 1차 강화기간에는 25.4%로 크게 감소되었고, 반전기간에는 평균 32.0%로 제1차 강화기간에 비하여 다소 증가된 경향을 보였으나 제2차 강화기간에는 16.3%로 다시 감소되었다.
사후점검 기간의 과잉행동 강도는 평균 51.0%로 기초선 기간과 비교하면 다소 감소한 상태를 보였다. 행동유지의 효과가 만족할 정도이지는 목하나 행동수정의 효과가 어느 정도 있는 것으로 보인다.
아동 A의 행동변화
아동 A의 기초선 기간 중 과잉행동 강도는 평균 70.0%에 달했으나 제1차 강화기간 중에는 평균 25.4%로 감소되었다. 그리고 정적강화가 철회된 반전기간 중에는 평균 32.0%로 다소 증가되어 나타났으나 처음 기초선 기간에 비하면 의미 있게 감소된 상태를 보였다.
제2차 강화기간에는 과잉행동 강도가 평균 16.3%로 감소되었고, 사후 점검에서는 평균 50.0%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으나 기초선 기간과 비교하면 다소 낮은 상태임을 나타낸다.
3)크레파스로 색칠하기
크레파스로 색칠하기에서의 행동변화
크레파스로 색칠하기에서의 대상 아동의 행동변화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크레파스로 색칠하기에서의 행동변화>
실험절차
대상아동
기초선 기간
제1차
강화기간
반전기간
제2차
강화기간
사후점검
A
82.0
40.4
56.0
25.4
75.0
위에서 보면 기초선 기간에는 과잉행동의 강도가 82.0%이었던 것이 제1차 강화기간에는 평균 32.3%로 크게 감소되었음을 보여주고 있다.
반전기간에는 56.0%로 다시 증가하였으나 제2차 강화기간에는 25.4%로 감소되어 강화자극이 효과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사후점검에서는 과잉행동의 강도가 75.0%로 기초선 기간과 비교해 별다른 차이를 보이지 않아 행동수정의 효과가 유지되고 있지 않음을 보여 주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종합적으로 볼 수 있듯이 기초선 기간에 높게 나타나던 과잉행동 강도는 제1차 강화기간을 거치며 의미 있게 감소하였다. 그리고 정적강화가 철회된 반전기간에는 다시 증가함을 보여주며 제2차 강화기간에는 비교적 안정적인 추세로 과잉행동이 감소되었다. 이것은 정적인 강화를 중심으로 한 행동수정 기법이 이상행동을 감소시키고 주의집중 행동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보였다는 선행연구의 행동변화 추세와 거의 일치하는 결과이다. 아동 A의 행동 변화
기초선 기간 동안 상당히 높은 수준의 과잉행동 강도인 평균 82.0%를 나타내고 있으나 제1차 강화기간이 시작되자 급격히 감소되어 평균 40.4%에 달했다. 반전기간에는 과잉행동의 강도가 평균 56.0%로 다시 증가하였고, 제2차 강화기간에는 평균 25.4%로 현저히 감소되었다. 그러나 겨울방학이 지나고 실시한 사후점검에서는 과잉행동의 강도가 다시 증가되어 행동수정의 효과가 계속적으로 유지되고 있지 않음을 보여 주었다.
9. 결론
이 연구는 정신지체 특수학교에 재학 중인 아동들 중 과잉행동을 하는 아동을 선정하고 행동수정 기법을 활용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실험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서 반전설계법에 의해 5일간의 기초선 기간과 정적강화가 적용된 12일간의 제1차 강화기간, 그리고 다시 5일간의 반전기간과 효과 유지를 위한 12일간의 제2차 강화기간을 거쳤으며 약 10주 후 사후점검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대상 아동 A는 과잉행동이 기초선 기간보다 제1차, 제2차 강화기간에서 현저하게 감소되었다. 실험기간을 통해 아동 A의 과잉행동 강도는 행동수정 기법을 적용한 후에 많이 감소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사회적 강화에 의해 정서장애 아동의 부적응 행동을 감소시킨 결과나 정적강화 훈련을 통해 과잉행동아의 문제행동을 감소시킨 결과와 일치라고 있으며, 행동수정 기법이 정신지체아, 정신 분열증 아동, 자폐증 아동, 뇌손상 아동, 말더듬 아동 등 거의 모든 심신 장애아에게 광범위하게 적용되고 있고, 이들의 문제행동을 감소시키는 데 효과적이라고 하는 주장과도 일치함을 보여주고 있다. 선행연구의 결과와 본 연구결과를 고찰해 볼 때 행동수정 기법의 적용은 지속성이 부족한 정신지체아에게도 행동의 변화를 가져올 수 있음을 시사해 준다.
그러나 실험기간이 끝나고 약 10주 후의 사후점검 기간 동안 과잉행동 강도가 다시 증가되어 기초선 기간과 비교하여서는 약간의 감소를 보였지만 확실하게 효과가 유지되고 있음을 보여주지는 못했다. 이것은 행동수정 기법이 적용되고 약 3주 후 겨울방학이 시작되어 7주 정도의 긴 기간 동안 가정에서 불규칙적이고 자유롭게 생활한 탓도 있는 것으로 보여 진다. 그리고 모든 것을 반복해 교육시켜야 하는 정신지에아의 특성상 한 번의 실험만으로 그 효과가 지속되지 않음을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 실험 결과의 고찰을 통하여 얻어진 주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정적강화를 통한 행동수정 기법은 정신지체아의 과잉행동을 감소시키고 주의집중행동을 증가시켰다.
둘째, 정적강화를 통한 훈련은 ‘의자에 앉아있기’에서 과잉행동 강도를 전반적으로 감소 시켰다.
셋째, 정적강화를 통한 훈련은 ‘퍼즐 맞추기’에서 과잉행동 강도를 전반적으로 감소 시켰다.
넷째, 정적강화를 통한 훈련은 ‘크레파스로 색칠하기’에서 과잉행동 강도를 전반적으로 감소시켰다.
다섯째, 정적 강화를 통한 행동수정 기법은 과잉행동 감소 효과를 확실하게 그리고 장기간 유지시키지 못했다. 이것은 정적강화를 통한 훈련이 끝나고 3주 후 겨울방학이 시작되어 약 7주 동안 집에서 자유롭게 지낼 수 있었기 때문이라고 보여 진다.
<참고 문헌>
문제행동의 기능평가와 행도지원(양서원) : 정대영
행동수정(시그마프레스) : Raymond G. Miltenberger 지음
정신지체 과잉행동아를 대상으로 한 행동수정 기법 효과에 관한 연구-정적강화 훈련을 중심으로(교육학 석사 학위 논문) : 울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상담교육 전공 오현정
<퍼즐 맞추기에서의 행동변화>
실험절차
대상아동
기초선 기간
제1차
강화기간
반전기간
제2차
강화기간
사후점검
A
70.0
25.4
32.0
16.3
50.0
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퍼즐 맞추기에서 과잉행도의 강도가 기초선 기간에는 70.0%이었던 것이 제 1차 강화기간에는 25.4%로 크게 감소되었고, 반전기간에는 평균 32.0%로 제1차 강화기간에 비하여 다소 증가된 경향을 보였으나 제2차 강화기간에는 16.3%로 다시 감소되었다.
사후점검 기간의 과잉행동 강도는 평균 51.0%로 기초선 기간과 비교하면 다소 감소한 상태를 보였다. 행동유지의 효과가 만족할 정도이지는 목하나 행동수정의 효과가 어느 정도 있는 것으로 보인다.
아동 A의 행동변화
아동 A의 기초선 기간 중 과잉행동 강도는 평균 70.0%에 달했으나 제1차 강화기간 중에는 평균 25.4%로 감소되었다. 그리고 정적강화가 철회된 반전기간 중에는 평균 32.0%로 다소 증가되어 나타났으나 처음 기초선 기간에 비하면 의미 있게 감소된 상태를 보였다.
제2차 강화기간에는 과잉행동 강도가 평균 16.3%로 감소되었고, 사후 점검에서는 평균 50.0%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으나 기초선 기간과 비교하면 다소 낮은 상태임을 나타낸다.
3)크레파스로 색칠하기
크레파스로 색칠하기에서의 행동변화
크레파스로 색칠하기에서의 대상 아동의 행동변화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크레파스로 색칠하기에서의 행동변화>
실험절차
대상아동
기초선 기간
제1차
강화기간
반전기간
제2차
강화기간
사후점검
A
82.0
40.4
56.0
25.4
75.0
위에서 보면 기초선 기간에는 과잉행동의 강도가 82.0%이었던 것이 제1차 강화기간에는 평균 32.3%로 크게 감소되었음을 보여주고 있다.
반전기간에는 56.0%로 다시 증가하였으나 제2차 강화기간에는 25.4%로 감소되어 강화자극이 효과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사후점검에서는 과잉행동의 강도가 75.0%로 기초선 기간과 비교해 별다른 차이를 보이지 않아 행동수정의 효과가 유지되고 있지 않음을 보여 주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종합적으로 볼 수 있듯이 기초선 기간에 높게 나타나던 과잉행동 강도는 제1차 강화기간을 거치며 의미 있게 감소하였다. 그리고 정적강화가 철회된 반전기간에는 다시 증가함을 보여주며 제2차 강화기간에는 비교적 안정적인 추세로 과잉행동이 감소되었다. 이것은 정적인 강화를 중심으로 한 행동수정 기법이 이상행동을 감소시키고 주의집중 행동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보였다는 선행연구의 행동변화 추세와 거의 일치하는 결과이다. 아동 A의 행동 변화
기초선 기간 동안 상당히 높은 수준의 과잉행동 강도인 평균 82.0%를 나타내고 있으나 제1차 강화기간이 시작되자 급격히 감소되어 평균 40.4%에 달했다. 반전기간에는 과잉행동의 강도가 평균 56.0%로 다시 증가하였고, 제2차 강화기간에는 평균 25.4%로 현저히 감소되었다. 그러나 겨울방학이 지나고 실시한 사후점검에서는 과잉행동의 강도가 다시 증가되어 행동수정의 효과가 계속적으로 유지되고 있지 않음을 보여 주었다.
9. 결론
이 연구는 정신지체 특수학교에 재학 중인 아동들 중 과잉행동을 하는 아동을 선정하고 행동수정 기법을 활용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실험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서 반전설계법에 의해 5일간의 기초선 기간과 정적강화가 적용된 12일간의 제1차 강화기간, 그리고 다시 5일간의 반전기간과 효과 유지를 위한 12일간의 제2차 강화기간을 거쳤으며 약 10주 후 사후점검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대상 아동 A는 과잉행동이 기초선 기간보다 제1차, 제2차 강화기간에서 현저하게 감소되었다. 실험기간을 통해 아동 A의 과잉행동 강도는 행동수정 기법을 적용한 후에 많이 감소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사회적 강화에 의해 정서장애 아동의 부적응 행동을 감소시킨 결과나 정적강화 훈련을 통해 과잉행동아의 문제행동을 감소시킨 결과와 일치라고 있으며, 행동수정 기법이 정신지체아, 정신 분열증 아동, 자폐증 아동, 뇌손상 아동, 말더듬 아동 등 거의 모든 심신 장애아에게 광범위하게 적용되고 있고, 이들의 문제행동을 감소시키는 데 효과적이라고 하는 주장과도 일치함을 보여주고 있다. 선행연구의 결과와 본 연구결과를 고찰해 볼 때 행동수정 기법의 적용은 지속성이 부족한 정신지체아에게도 행동의 변화를 가져올 수 있음을 시사해 준다.
그러나 실험기간이 끝나고 약 10주 후의 사후점검 기간 동안 과잉행동 강도가 다시 증가되어 기초선 기간과 비교하여서는 약간의 감소를 보였지만 확실하게 효과가 유지되고 있음을 보여주지는 못했다. 이것은 행동수정 기법이 적용되고 약 3주 후 겨울방학이 시작되어 7주 정도의 긴 기간 동안 가정에서 불규칙적이고 자유롭게 생활한 탓도 있는 것으로 보여 진다. 그리고 모든 것을 반복해 교육시켜야 하는 정신지에아의 특성상 한 번의 실험만으로 그 효과가 지속되지 않음을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 실험 결과의 고찰을 통하여 얻어진 주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정적강화를 통한 행동수정 기법은 정신지체아의 과잉행동을 감소시키고 주의집중행동을 증가시켰다.
둘째, 정적강화를 통한 훈련은 ‘의자에 앉아있기’에서 과잉행동 강도를 전반적으로 감소 시켰다.
셋째, 정적강화를 통한 훈련은 ‘퍼즐 맞추기’에서 과잉행동 강도를 전반적으로 감소 시켰다.
넷째, 정적강화를 통한 훈련은 ‘크레파스로 색칠하기’에서 과잉행동 강도를 전반적으로 감소시켰다.
다섯째, 정적 강화를 통한 행동수정 기법은 과잉행동 감소 효과를 확실하게 그리고 장기간 유지시키지 못했다. 이것은 정적강화를 통한 훈련이 끝나고 3주 후 겨울방학이 시작되어 약 7주 동안 집에서 자유롭게 지낼 수 있었기 때문이라고 보여 진다.
<참고 문헌>
문제행동의 기능평가와 행도지원(양서원) : 정대영
행동수정(시그마프레스) : Raymond G. Miltenberger 지음
정신지체 과잉행동아를 대상으로 한 행동수정 기법 효과에 관한 연구-정적강화 훈련을 중심으로(교육학 석사 학위 논문) : 울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상담교육 전공 오현정
추천자료
[인간행동과사회환경]성격이론 중 정신분석이론, 인지이론, 행동주의이론, 인본주의 이론의 ...
[성격이론 중 정신분석이론, 인지이론, 행동주의 이론, 인본주의 이론의 치료기법에 대해 설명]
인간행동과사회환경3E) 프로이트(프로이드/Freud) 정신분석이론과 융(Jung)의 분석심리학의 ...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A형] 프로이트 정신분석이론과 융의 분석심리학의 이론적 공통점과 차...
상담심리학2공통) 정신분석적 상담이론, 인간중심 상담이론, 행동수정이론을 비교·설명한 후,...
상담심리학_정신분석적 상담이론, 인지상담이론, 행동수정이론을 비교설명한 후, 핵심적 내용...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A형] 프로이트 정신분석이론과 융의 분석심리학의 이론적 공통점과 차...
(방통대 생활과학 인간행동과사회환경3A) 프로이트 정신분석이론과 융의 분석심리학의 이론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