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의학써머리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핵의학써머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량 Dd의 기준점 깊이에서의 최대 흡수선량Dm에 대한 백분율.
=
-- 방사선의 에너지가 높을수록 SD가 멀수록 조사야가 넓을수록 높아진다.☆(선량과 무관)
1)%DD의 계산
심부선량 백분율표에 의한 계산
Dx = Da -(a-x)
Dx : 알고자 하는 면적의 %DD
Da : 알고자 하는 면적보다 한 단계 큰 면적의 %DD
Db : 알고자 하는 면적보다 한 단계 작은 면적의 %DD
a : Da의 면적
b : Db의 면적
x : Dx의 면적
%DD2 = %DD1 {}2
ex) SSD 60cm, 10*10cm, 깊이 10cm에서 심부선량 백분율이 48%라면 SSD 80cm으로 증가할 때 %DD는?
=
2)400kv 이하의 저에너지 에서의 %DD =
400kv 이상의 고에너지 에서의 %DD =
3)Mayneord\'s factor
*F : SSD가 변했을 때 새로운 %DD를 알고자 할 때 사용
(산란이 최소가 되는 작은 조사야에서 합리적으로 잘 적용)
= 따라서 새로운 %DD = %DDorig*F
8. 조직-공중 선량비(TAR)
: 조직 선량과 공중선량의 비
같은 지점의 phantom내 임의의 두께에서 흡수선량(Dd)과 같은 지점의 공중선량(Da, Dfs)과의 비.
TAR(d, rd) = Dd / Da (d : phantom의 깊이 dcm, rd : 그 깊이에서의 조사야)
---- 주어진 선질하에서 깊이 d와 그 깊이에서의 조사야 rd에 의존
1)거리의 영향 : 선원으로부터의 거리에 의존되지 않는다.
2)에너지, 깊이, 조사야에 따라서 변화
3)TAR과 %DD의 관계
P(d, r, f) = TAR(d, rd)
9. SAR(scatter-air ratio)
: 같은 지점 내의 phantom 내의 산란 선량과 공중선량의 비(산란선량 / 공중선량)
STD법 때의 팬텀 내에서 산란 선량을 계산하는 데 이용, 1차 선량과 산란 선량을 독립해서 계산하는 irregulqr fields의 dosimetry에 특히 유용
SDD에 의존하지 않고 에너지, 깊이, 조사야에 따라 변화
10. TPR(tissue-phantom ratio)
=
11. TMR(tissue-maximum ratio) = TPR (SSD변함, Chamber 고정)
= ☆
12. SMR(scatter-maximum ratio)
=
13. 적분선량(용적선량, integral dose)
: 방사선 치료에서 인체에 조사되고 있을 때 방사선속의 통과로에 있는 모든 조직에 주는 전 에너지.
용적 선량이 크게되면 전신에 받는 부작용이 크기 때문에(방사선 숙취 현상이 커진다) 될 수 있는 한 적게 하는 것이 좋다.
---- 조사야 작게, 병소부에 국한하여 조사, 에너지가 높을 수록 용적선량이 감소☆☆
밀봉선원 및 전자선은 투과력이 적어 감소
= 1.44ADod1/2 [g-cGy]☆
(Do : 표면선량, A ; 표면의 조사야, d1/2 : Do가 50%되는 환자의 두께)
* 1 g-cGy = 100erg = 10-5J
14. 용적 선량비(integral dose ratio)
= --- 용적 선량비가 1보다 클 수록 치료에 유효하다.
<방사선 조사방법>
1. Isodose chart
1)정의 : 흡수선량과 그 분포를 나타내기위해 흡수선량이 같은 지점
즉 PDD가 같은 지점을 서로 연결한 곡선.☆☆
2)X선과 γ선량 분포의 일반적 특징
①어느 깊이에 있어서 중심축의 선량이 가장 크고 빔의 가장 자리로 갈수록 선량은 점점 감 소하게 된다.
②빔의 가장 자리 근처는 즉, Penumbra region☆은 빔축으로부터 측면거리 때문에 급격히 선량율이 감소(side scatter가 감소하기 때문)
③beam과 penumbra의 geometric limits 구역 밖의 선량 변화
*조사야로 부터의 side scatter
*collimator system의 leakage와 scatter에 기인.
3)측정 : solid state detectors, radiographic film, ion chambers에 의해 측정.
4)영향인자☆☆☆ : 선질, 조사야, beam collimation, 선원의 크기, SSD,
SDD(source-diaphragm), filter, 입사각도, 방사선의 종류.(선량율과 무관)
2. [조사야]
1. 선량의 측면에서 본 조사야
1)50% 조사야 : 중심선량의 50%로 된 점을 조사야의 경계로 하는 조사야
조사야를 연결시킬 때 연결 부위의 선량이 균등, 기하학적 본영보다 크다.
2)90% 조사야 : 선원의 어느 위치에서나 나오는 방사선이 조사되는 부위, 기하학적 본영과 같 다.
50% 조사야에 비해 조사야 내의 선량은 균등하나 조사야 박으로 선량이 밀려나오는 것은 50% 조사야 보다 크다.
가장 자리는 90%에 해당
조사야외의 피폭이 많다.
조사야를 연결시킬 때 연결 부위의 선량이 과선량이 되어 주의를 요한다.
2. 기하학적 조사야 : 선량과 조리개의 상대적인 위치에 의해 정의.
선원의 중심과 조리개의 선원으로부터 가장 먼 가장 먼 가장 자리를 연결해 서 이루어지는 범위
*대체로 50% 조사야와 일치
3. 반음영
1)표면에서의 반음영의 크기(Ps) =
2)d cm 깊이에서의 크기(Pd) =
3. Wedge filter
1)정의 : 등선량 분포를 변화시키기 위해서 선속내에 사용하는 filter.
(입사 방향에 관계없이 거의 중앙에 균일한 선량조사)
2)사용 : Wedge filter를 끼워 장착하는 wedge tray는 megavoltage beam에 있어 skin-sparing effect를 유지하기 위해 피부 표면으로부터 적어도 15cm 정도 떨어져 사용.
3)wedge angle : 중심축과 50% 등선량 곡선 사이의 각, 즉 50% 등선량 곡선이 중심축상의 입 사 평면에 만드는 각.
4)Hinge angle : Wedge filter를 사용하여 두 방향에서 조사할 때 두 방향의 중심 선속이 교차 하는 내각.
WA = ☆☆☆
5)Wedge system
*Individualized wedge system : 빔 출력 감소의 최소화를 위해 Light field 경게에 wedge 의 엷은 끝이 일치되도록

키워드

  • 가격4,500
  • 페이지수53페이지
  • 등록일2008.01.14
  • 저작시기2006.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4710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