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문제해설요약정리
본문내용
부하가 걸린다든가 필요 이상의 기계적 운동 에너지가 걸릴 때 회로를 자동적으로 차단시켜 장치를 보호하는 회로이다.
① 과부하 자동차단기 : 규정이상으로 전류가 흐를 때 자동적으로 회로를 열어 X선 발생을 중지시키는 것
② 고정자 회로 interlock : 회전양극 X선관에서 양극의 회전이 안된다든가, 정상속도로 되지 않을 때
③ Overload interlock : 관전압, 관전류, 조사시간의 X선관 부하가 정격 이상으로 설정되면 자동적으로 회로차단
68. 반도체 타이머의 설명
반도체 타이머는 ① 전원을 넣으면 즉시 동작 ② 사용전력이 아주 적음 ③ 부피가 작고 가벼움 ④ 주위온도나 자가 가열 등에 변화하기 쉬움 ⑤ 동작전압이 낮으므로 노이즈에 의한 소자파손 우려
반도체 타이머는 T=CR (시정수)를 이용하여 시간을 설정한다.
69. 진단용 X선장치에서 사용하는 타이머 중 자동노출식 타이머
- ① 포토타이머 ② 전리조식 타이머
자동식타이머 - 조사시간의 설정 없이 조사하여도 필름에 적정 농도가 되면 X선발생을 중지시키는 타이머이다.
- 조사시간이 X선조사량에 따라 자동적으로 제어된다.
직선이 아니라 지수로 감소
70. 반도체 타이머의 원리
반도체 타이머는 T=CR의 시정수를 이용하여 타이머의 설정시간을 제어하고 있다.
t
71. 포토타이머를 많이 사용하는 진단장치
- 간접촬영장치
X선스위치를 닫으면 X선이 폭사되어 피사체를 투과하여 필름을 노광한다. 또한 이것을 투과한 X선은 검출용 형광체를 발광시킨다. 이에 의해 광전관에 전류가 흘러 적분 콘덴서 C를 충전한다. 충전전압이 어느 일정치에 도달하면 방전관이 점호하고 릴레이가 동작하여 회로가 열린다.
72. X선관 자체가 정류역할을 겸하는 정류방식
- 자기정류방식
자기정류회로는 고압변압기의 2차측에 고압정류기 없이 X선관을 접속하여 교류고전압을 그대로 X선관의 양단에 인가하는 방식이다. 순방전압에서는 관전류가 흘러 X선이 발생하고 역전압에서는 관전류가 흐르지 않기 때문에 X선이 발생하지 않는다.
73. X선관에 역전압이 반사이클마다 걸리는 정류방식
- 자기정류회로
고압변압기 2차 측의 정현파교류고전압이 곧 관전압이 되므로 X선관에는 순방전압과 역전압이 반주기마다 걸리게 된다.
74. X선장치의 정류방식에서 전원주파수가 60Hz일 때, 최단조사시간이 1/60초인 장치
- 단상반파정류
단상반파정류는 고압정류기 2개를 사용하고 X선은 간헐적(펄스적)으로 발생한다. 역전압을 발생하지 않고 DC절연내력의 고압케이블이 필요하다. 고압정류기에는 반주기마다 역전압이 걸리고 1초 동안의 흑점수는 60개이다.
(자기정류회로도 60Hz일 때 , 최단조사시간이 1/60sec이다.)
75. X선장치의 고압변압기 2차코일에 직류전류가 흐르는 정류방식
- 자기정류방식
76. X선관의 관전류 200mA가 흐를 때 관전류 파고치가 약 300mA가 되는 회로
- 단상전파정류회로 (단상전파정류회로에서 관전류의 최고치는 약 1.5배이다.)
77.X선장치의 정류방식에서 관전류계가 30mA를 지시할 때 관전류 최고치가 약 90mA가 되는 회로
- 자기정류회로, 단상반파 맥동회로 (자기정류회로와 단상반파 맥동회로의 최고치는 평균치의 약 3배이다.)
78. 관전압의 리플백분율이 가장 적고, 관전압을 가장 높게 할 수 있는 X선장치의 정류방식
- 3상2중12피크 정류방식 (단위시간당 X선발생량이 가장 큰 장치)
관전압 리플백분율 : 3.4%
79. 관전압 100kV, 관전류 1000mA가 흐를 경우 x선관 부하전력이 약 95kW가 되는 x선 장치의 정류방식
3상 2중 6피크 정류방식(13.4%)
P=VAf x 10(kW),
f = 1.00 - 10% 이하(3상12피크) : 3.4%
f = 0.95 - 10~25%이하(3상6피크) : 13.4%
f = 0.74 - 25%초과(단상2피크) : 47%
80. 고전압발생장치에 관한 설명
고전압발생장치 : X선을 발생시키는데 필요한 고전압을 발생하여 이것을 X선관에 공급하는 장치
① 고압변압기 ② 필라멘트가열변압기 ③ 고압정류기 ④ 고전압절환기 ⑤ 고압케이블
자기정류회로의 고압케이블에서만 교류고압이 걸린다. (AC절연내력 필요)
나머지 회로에서는 고압케이블에서 직류고압이 걸린다.(고압정류기에 의해서 역전압이 정류된다. 교류->직류)
고압정류기에 흐르는 전류와 x선관의 전류는 크기가 같고 단상전파정류의 고압정류기는 2개이다.
81. 단상전파정류에서 전원주파수가 60Hz일 때 가장 짧게 조 수 있는 시간(sec) : 1/120 (1초간에 120개의 흑점 생김)
82. X선장치에서 고압 변압기 2차 코일 중성점을 접지하는 회로 : 단상 전파 정류회로
3상2중6피크, 3상12피크, 3상2중12피크 장치는 고압정류회로 중성점을 접지하고 이곳에 관전류계를 연결한다.
83. X선장치에서 관전류 계기용 정류기가 4개 필요한 정류방식 : 단상전파정류회로
고압변압기 2차코일 중성점에 교류가 흐르는 회로는 단상전파정류, 3상 6피크 정류이므로 이곳에 관전류계를 연결할 때는 관전류계기용 정류기를 사용하여 교류를 직류로 바꿔야 관전류를 나타낼 수 있다.
84. X선장치의 스트로보법에서 동일한 조사를 했을 경우 자기정류와 같은 수의 흑점이 생기는 회로
- 단상반파회로 (자기정류와 같이 가장 짧게 조사할 수 있는 시간은 60Hz일 때 1/60이다.)
85. X선장치의 고압케이블에 교류 고전압이 걸리고 있어 AC 절연내력이 필요한 고압케이블을 사용해야 되는 정류방식
- 자기정류회로 (X선관자체가 고압정류관역할, X선발생역할, X선관에 역전압이 반사이클마다 걸리는 정류방식)
86. X선장치의 고압정류기 2개를 사용하면서 관전류의 파형이 자기정류와 같은 회로
- 단상 반파 맥동회로
87. 단위시간당 X선 발생량이 가장 큰 장치
- 3상 12피크 전파 정류장치 (관전압의 리플백분율이 가장 적고, 관전압을 가장 높게 할 수 있는 X선장치의 정류방식)
88. 극단시간(1~3mS) 조사가 가능한 장치
- 3상 2중 12피크장치
고압정류기를 24개 사용하고, 관전압을 높게 할 수 있다. 1주기 12피크 : 맥동률 3.4%, 출력파형 양음대칭, 극단시
① 과부하 자동차단기 : 규정이상으로 전류가 흐를 때 자동적으로 회로를 열어 X선 발생을 중지시키는 것
② 고정자 회로 interlock : 회전양극 X선관에서 양극의 회전이 안된다든가, 정상속도로 되지 않을 때
③ Overload interlock : 관전압, 관전류, 조사시간의 X선관 부하가 정격 이상으로 설정되면 자동적으로 회로차단
68. 반도체 타이머의 설명
반도체 타이머는 ① 전원을 넣으면 즉시 동작 ② 사용전력이 아주 적음 ③ 부피가 작고 가벼움 ④ 주위온도나 자가 가열 등에 변화하기 쉬움 ⑤ 동작전압이 낮으므로 노이즈에 의한 소자파손 우려
반도체 타이머는 T=CR (시정수)를 이용하여 시간을 설정한다.
69. 진단용 X선장치에서 사용하는 타이머 중 자동노출식 타이머
- ① 포토타이머 ② 전리조식 타이머
자동식타이머 - 조사시간의 설정 없이 조사하여도 필름에 적정 농도가 되면 X선발생을 중지시키는 타이머이다.
- 조사시간이 X선조사량에 따라 자동적으로 제어된다.
직선이 아니라 지수로 감소
70. 반도체 타이머의 원리
반도체 타이머는 T=CR의 시정수를 이용하여 타이머의 설정시간을 제어하고 있다.
t
71. 포토타이머를 많이 사용하는 진단장치
- 간접촬영장치
X선스위치를 닫으면 X선이 폭사되어 피사체를 투과하여 필름을 노광한다. 또한 이것을 투과한 X선은 검출용 형광체를 발광시킨다. 이에 의해 광전관에 전류가 흘러 적분 콘덴서 C를 충전한다. 충전전압이 어느 일정치에 도달하면 방전관이 점호하고 릴레이가 동작하여 회로가 열린다.
72. X선관 자체가 정류역할을 겸하는 정류방식
- 자기정류방식
자기정류회로는 고압변압기의 2차측에 고압정류기 없이 X선관을 접속하여 교류고전압을 그대로 X선관의 양단에 인가하는 방식이다. 순방전압에서는 관전류가 흘러 X선이 발생하고 역전압에서는 관전류가 흐르지 않기 때문에 X선이 발생하지 않는다.
73. X선관에 역전압이 반사이클마다 걸리는 정류방식
- 자기정류회로
고압변압기 2차 측의 정현파교류고전압이 곧 관전압이 되므로 X선관에는 순방전압과 역전압이 반주기마다 걸리게 된다.
74. X선장치의 정류방식에서 전원주파수가 60Hz일 때, 최단조사시간이 1/60초인 장치
- 단상반파정류
단상반파정류는 고압정류기 2개를 사용하고 X선은 간헐적(펄스적)으로 발생한다. 역전압을 발생하지 않고 DC절연내력의 고압케이블이 필요하다. 고압정류기에는 반주기마다 역전압이 걸리고 1초 동안의 흑점수는 60개이다.
(자기정류회로도 60Hz일 때 , 최단조사시간이 1/60sec이다.)
75. X선장치의 고압변압기 2차코일에 직류전류가 흐르는 정류방식
- 자기정류방식
76. X선관의 관전류 200mA가 흐를 때 관전류 파고치가 약 300mA가 되는 회로
- 단상전파정류회로 (단상전파정류회로에서 관전류의 최고치는 약 1.5배이다.)
77.X선장치의 정류방식에서 관전류계가 30mA를 지시할 때 관전류 최고치가 약 90mA가 되는 회로
- 자기정류회로, 단상반파 맥동회로 (자기정류회로와 단상반파 맥동회로의 최고치는 평균치의 약 3배이다.)
78. 관전압의 리플백분율이 가장 적고, 관전압을 가장 높게 할 수 있는 X선장치의 정류방식
- 3상2중12피크 정류방식 (단위시간당 X선발생량이 가장 큰 장치)
관전압 리플백분율 : 3.4%
79. 관전압 100kV, 관전류 1000mA가 흐를 경우 x선관 부하전력이 약 95kW가 되는 x선 장치의 정류방식
3상 2중 6피크 정류방식(13.4%)
P=VAf x 10(kW),
f = 1.00 - 10% 이하(3상12피크) : 3.4%
f = 0.95 - 10~25%이하(3상6피크) : 13.4%
f = 0.74 - 25%초과(단상2피크) : 47%
80. 고전압발생장치에 관한 설명
고전압발생장치 : X선을 발생시키는데 필요한 고전압을 발생하여 이것을 X선관에 공급하는 장치
① 고압변압기 ② 필라멘트가열변압기 ③ 고압정류기 ④ 고전압절환기 ⑤ 고압케이블
자기정류회로의 고압케이블에서만 교류고압이 걸린다. (AC절연내력 필요)
나머지 회로에서는 고압케이블에서 직류고압이 걸린다.(고압정류기에 의해서 역전압이 정류된다. 교류->직류)
고압정류기에 흐르는 전류와 x선관의 전류는 크기가 같고 단상전파정류의 고압정류기는 2개이다.
81. 단상전파정류에서 전원주파수가 60Hz일 때 가장 짧게 조 수 있는 시간(sec) : 1/120 (1초간에 120개의 흑점 생김)
82. X선장치에서 고압 변압기 2차 코일 중성점을 접지하는 회로 : 단상 전파 정류회로
3상2중6피크, 3상12피크, 3상2중12피크 장치는 고압정류회로 중성점을 접지하고 이곳에 관전류계를 연결한다.
83. X선장치에서 관전류 계기용 정류기가 4개 필요한 정류방식 : 단상전파정류회로
고압변압기 2차코일 중성점에 교류가 흐르는 회로는 단상전파정류, 3상 6피크 정류이므로 이곳에 관전류계를 연결할 때는 관전류계기용 정류기를 사용하여 교류를 직류로 바꿔야 관전류를 나타낼 수 있다.
84. X선장치의 스트로보법에서 동일한 조사를 했을 경우 자기정류와 같은 수의 흑점이 생기는 회로
- 단상반파회로 (자기정류와 같이 가장 짧게 조사할 수 있는 시간은 60Hz일 때 1/60이다.)
85. X선장치의 고압케이블에 교류 고전압이 걸리고 있어 AC 절연내력이 필요한 고압케이블을 사용해야 되는 정류방식
- 자기정류회로 (X선관자체가 고압정류관역할, X선발생역할, X선관에 역전압이 반사이클마다 걸리는 정류방식)
86. X선장치의 고압정류기 2개를 사용하면서 관전류의 파형이 자기정류와 같은 회로
- 단상 반파 맥동회로
87. 단위시간당 X선 발생량이 가장 큰 장치
- 3상 12피크 전파 정류장치 (관전압의 리플백분율이 가장 적고, 관전압을 가장 높게 할 수 있는 X선장치의 정류방식)
88. 극단시간(1~3mS) 조사가 가능한 장치
- 3상 2중 12피크장치
고압정류기를 24개 사용하고, 관전압을 높게 할 수 있다. 1주기 12피크 : 맥동률 3.4%, 출력파형 양음대칭, 극단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