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판소리 문화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우리나라의 판소리 문화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판소리란?
2. 판소리의 구성
3. 판소리의 변화
4. 판소리의 발전
5. 판소리의 향후 과제

본문내용

하다.
새로운 자료를 발굴하는 작업은 어느 시기에나 있어 왔고, 특정 작품을 발견하는 일만큼이나 새로운 영역으로의 전환에도 관심을 기울였다. 큰 가닥이야 문학과 음악, 연극 등으로 잡을 수 있지만 이들을 종합하여 따지는 작업도 새로운 지류로 자리를 잡아가는 경향을 볼 수 있다. 자료를 소개·해제·주석하는 작업은 전통처럼 되어 이선유(1933), 조윤제(1939), 김삼불(1950), 김연수(1967), 강한영(1971) 등에서부터 김진영·김현주가 주도하는 최근의 성과에까지 이르렀다. 한국고음반연구회가 주도하는 유성기음반의 자료를 복각하고 사설을 채록하여 연구 대상으로 삼는 일도 이와 밀접하게 관련된다. 전성을 누리던 시기에는 조명을 받지 못하다가 박황(1976)에서 검토되더니 최근에 와서 창극은 새로운 논의거리로 재등장하게 되었다. 이 분야는 서연호에 의해 주도되다가 백현미(1997)에서 일단 정리되고, 생명체로서의 판소리가 나아갈 수 있는 대안으로 창극이 각광을 받기 시작한 셈이다.
한편 기존 업적에 대한 평가 작업이 이루어지는 경향도 새로운 것으로 볼 수 있다. 판소리사 기술 작업이나 개별 작품에 대한 연구사가 끊임없이 이루어져 왔으나 개별 논저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흔치 않았던 터이다. 학회지나 단행본에 기존의 논문이 재수록되거나 긍정적·부정적 평가가 새로이 이루어지는 경향은 연구사적으로 일정한 의의를 차지한다. 앞의 경우에는 조동일·김흥규(1978), 정양·최동현 편(1986), 이기우·최동현 편(1990), 판소리학회 편(1990), 인권환 편(1991), 김병국·김대행·김진영·정병헌 편(1993), 서종문·정병헌 편(1997), 최동현·유영대 편(1998, 1999), 뒤의 경우에는 이보형(1989), 정하영(1994, 1996), 장석규(1997), 김석배(1997, 1998, 1999) 등이 해당된다.
5. 판소리의 향후 과제
판소리가 지닌 다양한 장르적 성격을 이해하는 일이 있어야 한다. 지금까지 이루어진 대부분의 연구 성과는 부분의 연구에 머물러 있다고 할 수 있다. 부분을 모으되 복선적이고 입체적인 결정체가 되도록 하는 일이 우리에게 남겨진 과제인 셈이다.
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두어 가지 제안을 한다. 하나는 발산적 연구에서 수렴적 연구로 방향을 전환하자는 것이다. 반대를 위한 반대가 아니라 인정할 것은 인정하는 풍토가 판소리 연구에 도입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다른 하나는 개인의 연구에서 집단의 연구로 나아가자는 것이다. 하나의 주제를 여럿의 힘으로 함께 해결해 나가는 일은 서로의 부족함을 메우는 데 머무는 것이 아니라 상승 효과까지 가져 오기 때문이다.
판소리는 가장 세계적인 우리의 문화 유산이다. 진정한 의미의 세계화는 같아지는 것이 아니라 달라지는 것이라 한다면, 판소리야말로 세계화의 전위에 서야 한다. 세계화의 물결이 거셀수록 우리는 우리만의 것인 판소리에 기대를 걸어야 한다. 판소리 관련 논저가 1800여 항목에서 하나씩 늘어날수록 판소리로 세계의 문화 예술을 정복하는 날이 점점 가까워질 것이다.

추천자료

  • 가격1,3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8.01.22
  • 저작시기2008.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4818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