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초기바로크 오페라와 극음악(Early Baroque Opera and Theater Music)
1. 17세기 오페라의 대표적인 선구자의 이름을 열거하고 그 업적을 설명하시오.
2. 언제, 어디서, 어떻게, 어떤 이유로 최초의 오페라가 처음 연주되었는지 설명하시오.
3. 초기 17세기 중반 로마 오페라의 특징(특별히 리브레토와 음악을 중심으로)을 설명하시오.
4. 베니스 최초의 궁정 오페라의 특징을 설명하시오.
5. 17세기 초기 전통적인 프랑스 ballet de cour의 구성을 설명하시오.
6. 17세기 중반 대표적인 영국 궁정 마스크의 구성을 설명하시오.
7. 바로크 오페라에서 사용된 다음의 용어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시오.
II. 초기 바로크 실내 성악음악(Early Baroque Chamber Music for Voice)
1. 무반주 성악을 위한 초기 바로크 실내악 음악의 성격을 설명하시오.
2. 기악반주를 포함한 하나 혹은 그 이상의 성부를 위한 초기 바로크 실내 성악곡의 특징을 작곡가와 작품을 들어 설명하시오.
3. 초기 바로크의 실내 성악곡에 사용된 대표적인 형식의 이름을 들고 설명을 하시오.
4. 성악을 위한 초기 바로크의 실내악의 작곡자를 둘 이상 들고, 각각 중요한 작품 모음집의 이름을 쓰시오.
5. "Romanesca"의 유래, 내용 및 사용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6. "trillo"란 무엇인가?
7. 초기 바로크 성악 음악에 사용된 "Concertato"란 무엇인가?
III. 초기 바로크 교회 성악 음악(Early Baroque Church and Religious Music for Voice)
1. 바로크 교회음악에서 사용된 stile antico(구형식)와 stile moderno(현대형식)의 근본적인 차이와 내용에 관하여 설명하시오.
2. 예배 안에서나 밖에서 사용된 카톨릭 성악 음악을 소개하고 그 상용목적에 관하여 설명하시오.
3. 17세기 이탈리아 오라토리오의 특징을 쓰고, 대표적인 작곡가와 작품에 관하여 설명하시오.
4. 다성 합창을 위한 교회음악의 특징을 적고, 각 음악의 형식에 따른 대표적인 작곡가와 작품의 이름을 쓰시오.
5. 루터교 코랄의 특징과 유래, 예배 안에서의 기능을 쓰고, cantional형식의 정의를 쓰시오.
IV. 초기 바로크 기악 음악(Early Baroque Instrumental Music)
1. 17세기 리체르카레(혹은 판타지아)의 특징에 관하여 설명하시오.
2. 17세기 칸초나의 특징에 관하여 설명하시오.
3. 초기 바로크 조곡의 특징과 조곡 안에 포함된 3가지의 악장들에 관하여 설명하시오.
4. 초기 17세기 토카타의 2가지 형식에 관하여 설명하시오.
V. 바로크 전성시대의 오페라, 칸타타와 독창곡(Opera, Cantata, and Song in the Mature Baroque)
1. 17세기 후기 이탈리아 오페라의 특징(리브레토와 음악)과, 이들 오페라의 아리아에서 찾아 볼 수 있는 전통적인 형식에 관하여 대표적인 작곡자와 작품의 예를 들어 설명하시오.
2. 18세기초에 대표적으로 사용된 큰 스케일의 다 카포 아리아의 특징에 관하여 설명하시오.
3. 률리의 comedies-ballets와 tragedies-lyriques의 특징은 무엇이며 어떻게 프랑스 레시타티브와 이탈리아 레시타티브가 다른지를 설명하고, 불란서 서곡(French Overture)의 특징을 쓰시오.
4. 17세기에 영국 극장에서 어떻게 음악이 사용되었는지 알고, 17세기 후반 영국 극음악에 많은 영향을 끼치고 중요한 작곡가로 여겨지는 Purcell에 관하여 설명하시오.
5. 후기 바로크 시대의 함부르크 오페라에 관하여 특징(리브레토와 음악)들을 설명하시오.
6. 초기 이탈리아 실내 칸타타의 특징과 칸타타의 발전에서 후기 시대의 특징을 각 시대를 대표한 작곡가와 작품을 들어 설명하시오.
VI. 후기바로크시대의 교회음악과 오라토리오(Church Music and Oratorio in the Mature Baroque)
1. 영국 성공회의 3개의 주요 예배의 이름들과 Great Service, Short service 그리고 Verse service에 관하여 설명하시오.
2. 영국 성공회 엔섬(Anthem)의 특징을 적고 verse anthem과 full anthem에 관하여 자세히 설명하시오.
3. 17세기후반의 루터교 칸타타의 특징과 루터교 예배의 칸타타의 기능, 3개의 주요 칸타타 텍스트의 출처 및 다양한 칸타타 형식들에 관하여 설명하시오.
4. 바로크 시대의 루터교에서 사용한 수난곡의 특징에 관하여 설명하시오
VII. 후기바로크 기악음악(Instrumental Music in the Mature Baroque)
1. 후기 바로크에서 대표적인 오르간 토카타의 특징에 관하여 설명하시오.
2. 바로크 푸가에 포함되는 것으로서 다음의 용어들을 설명하시오.
3. 오르간을 위한 코랄에 관련된 작품들인 다음의 곡들을 설명하시오.
1) chorale partita
2) chorale fantasia
3) chorale fugue
4) chorale prelude
4. 카톨릭 예배 안에 오르간과 성악의 사용을 포함한 alternatim pract
1. 17세기 오페라의 대표적인 선구자의 이름을 열거하고 그 업적을 설명하시오.
2. 언제, 어디서, 어떻게, 어떤 이유로 최초의 오페라가 처음 연주되었는지 설명하시오.
3. 초기 17세기 중반 로마 오페라의 특징(특별히 리브레토와 음악을 중심으로)을 설명하시오.
4. 베니스 최초의 궁정 오페라의 특징을 설명하시오.
5. 17세기 초기 전통적인 프랑스 ballet de cour의 구성을 설명하시오.
6. 17세기 중반 대표적인 영국 궁정 마스크의 구성을 설명하시오.
7. 바로크 오페라에서 사용된 다음의 용어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시오.
II. 초기 바로크 실내 성악음악(Early Baroque Chamber Music for Voice)
1. 무반주 성악을 위한 초기 바로크 실내악 음악의 성격을 설명하시오.
2. 기악반주를 포함한 하나 혹은 그 이상의 성부를 위한 초기 바로크 실내 성악곡의 특징을 작곡가와 작품을 들어 설명하시오.
3. 초기 바로크의 실내 성악곡에 사용된 대표적인 형식의 이름을 들고 설명을 하시오.
4. 성악을 위한 초기 바로크의 실내악의 작곡자를 둘 이상 들고, 각각 중요한 작품 모음집의 이름을 쓰시오.
5. "Romanesca"의 유래, 내용 및 사용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6. "trillo"란 무엇인가?
7. 초기 바로크 성악 음악에 사용된 "Concertato"란 무엇인가?
III. 초기 바로크 교회 성악 음악(Early Baroque Church and Religious Music for Voice)
1. 바로크 교회음악에서 사용된 stile antico(구형식)와 stile moderno(현대형식)의 근본적인 차이와 내용에 관하여 설명하시오.
2. 예배 안에서나 밖에서 사용된 카톨릭 성악 음악을 소개하고 그 상용목적에 관하여 설명하시오.
3. 17세기 이탈리아 오라토리오의 특징을 쓰고, 대표적인 작곡가와 작품에 관하여 설명하시오.
4. 다성 합창을 위한 교회음악의 특징을 적고, 각 음악의 형식에 따른 대표적인 작곡가와 작품의 이름을 쓰시오.
5. 루터교 코랄의 특징과 유래, 예배 안에서의 기능을 쓰고, cantional형식의 정의를 쓰시오.
IV. 초기 바로크 기악 음악(Early Baroque Instrumental Music)
1. 17세기 리체르카레(혹은 판타지아)의 특징에 관하여 설명하시오.
2. 17세기 칸초나의 특징에 관하여 설명하시오.
3. 초기 바로크 조곡의 특징과 조곡 안에 포함된 3가지의 악장들에 관하여 설명하시오.
4. 초기 17세기 토카타의 2가지 형식에 관하여 설명하시오.
V. 바로크 전성시대의 오페라, 칸타타와 독창곡(Opera, Cantata, and Song in the Mature Baroque)
1. 17세기 후기 이탈리아 오페라의 특징(리브레토와 음악)과, 이들 오페라의 아리아에서 찾아 볼 수 있는 전통적인 형식에 관하여 대표적인 작곡자와 작품의 예를 들어 설명하시오.
2. 18세기초에 대표적으로 사용된 큰 스케일의 다 카포 아리아의 특징에 관하여 설명하시오.
3. 률리의 comedies-ballets와 tragedies-lyriques의 특징은 무엇이며 어떻게 프랑스 레시타티브와 이탈리아 레시타티브가 다른지를 설명하고, 불란서 서곡(French Overture)의 특징을 쓰시오.
4. 17세기에 영국 극장에서 어떻게 음악이 사용되었는지 알고, 17세기 후반 영국 극음악에 많은 영향을 끼치고 중요한 작곡가로 여겨지는 Purcell에 관하여 설명하시오.
5. 후기 바로크 시대의 함부르크 오페라에 관하여 특징(리브레토와 음악)들을 설명하시오.
6. 초기 이탈리아 실내 칸타타의 특징과 칸타타의 발전에서 후기 시대의 특징을 각 시대를 대표한 작곡가와 작품을 들어 설명하시오.
VI. 후기바로크시대의 교회음악과 오라토리오(Church Music and Oratorio in the Mature Baroque)
1. 영국 성공회의 3개의 주요 예배의 이름들과 Great Service, Short service 그리고 Verse service에 관하여 설명하시오.
2. 영국 성공회 엔섬(Anthem)의 특징을 적고 verse anthem과 full anthem에 관하여 자세히 설명하시오.
3. 17세기후반의 루터교 칸타타의 특징과 루터교 예배의 칸타타의 기능, 3개의 주요 칸타타 텍스트의 출처 및 다양한 칸타타 형식들에 관하여 설명하시오.
4. 바로크 시대의 루터교에서 사용한 수난곡의 특징에 관하여 설명하시오
VII. 후기바로크 기악음악(Instrumental Music in the Mature Baroque)
1. 후기 바로크에서 대표적인 오르간 토카타의 특징에 관하여 설명하시오.
2. 바로크 푸가에 포함되는 것으로서 다음의 용어들을 설명하시오.
3. 오르간을 위한 코랄에 관련된 작품들인 다음의 곡들을 설명하시오.
1) chorale partita
2) chorale fantasia
3) chorale fugue
4) chorale prelude
4. 카톨릭 예배 안에 오르간과 성악의 사용을 포함한 alternatim pract
본문내용
터가 쓴 주일 예배를 위한 가장 최초의 가사는 오라토리오 종류지만 처음 발간된 1700년의 연중 예배식의 가사는 그가 칸타타라고 불렀던 것들로 구성되었다. 바이마르 재직시절 이후에 바흐와 많은 그 동시대인들이 작곡하였던 칸타타들은 성서의 가사, 코랄, 레시타티브, 그리고 아리아 등을 혼합하여 구성한 것들이었다. 노이마이스터가 쓴 가사에 의한 바흐의 칸타타는 총 5개만 출처의 분명함을 입증 받았으나 상당량은 노이마이스터의 모형에 의해서 착안된 것이다.
바흐의 제일 초기의 연주용 종교작품은 성구의 요약과 코랄로 만들어진 노이마이스터가 오라토리오라 부르는 분류였다. 이러한 것이 <하나님의 때는 최상의 때로다>이며 일종의 애도의 음악으로 그 연대를 1707년으로 추정한다. 이 가사들은 바흐 자신이 선택했을 가능성이 있는 시편, 사도행전, 이사야, 누가복음 그리고 그 밖의 다른 성서적인 소재로부터 활용한 것이다. 음악적 세팅의 스타일은 협주적 모테트, 대화풍의 세속가, 그리고 정교한 구성을 가지는 코랄을 합성화 시킨 것이다. 가른 초기 ‘칸타타’들과 공통된 것은 이것이 완만히 전개된 완결 형식이 아니고 짧은 부분들의 연속물인 것이다. 또한 그는 프렐류드 없이 칸타타를 시작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기발한 해결책을 강구하였다. 전통적인 신포니아나 소나타와 평상적으로 뒤따라 나오던 협주적 합창의 역할들이 하나의 악장에서 통일되었다.
11. 헨델의 대표적인 오페라의 특징을 설명하시오.
그의 첫 오페라인 <리날도>를 제작하였을 때 영국의 대중들은 퍼셀로뿐만 아니라 다양한 모방 오페라와 외국으로부터 수입된 작품들로 인하여 이미 이탈리아 스타일로 씌여진 오페라 음악에 친숙해져있었다. 런던은 핸델을 이탈리아 작곡가로 취급하였으나 실상 그의 극장과의 인연은 함부르크에서 시작되었다. 1705년 그 곳에서 제작되었던 그의 첫 오페라 <알미라>는 독일 레시타티브와 아리아와 이탈리아 아리아를 혼합한 것이었다. <알미라>에서 이탈리아 스타일은 자연적으로 이탈리아어로 된 아리아들을 지배하겠지만 이것은 대부분의 독일 가곡에도 침투하였다.
그는 1711년과 1740년사이에 런던을 위하여 약 40개의 오페라를 작곡하였다. 그가 오페라로써 성공을 이룬 작품인 <줄리어스 시저>와 오페라 작곡가로서 생존을 걸고 투쟁하였던 시절에 쓴 <알치나> 등 그의 최우수 작품들은 두드러지는 특성을 잘 보여 준다. <줄리어스 시저>의 훌륭한 대본을 쓴 작가는 첼로 연주자이며 핸델을 위해서 8개 이상의 대본을 제공하 준 전기 작가인 하임이었다. 이 작품은 아리아의 배치, 즉, 이야기의 전개는 명기적인 가수들의 군림으로 과해진 규약에 따라서 조정되었다. 일단 무대에 서면 주된 가수에게 아리아가 주어져야 했고 그 후 평상 상태로는 박수 갈채를 받으면서 퇴장하기를 원하였다. 이러한 퇴장 관행 때문에 앙리아는 비록 서정적이지만 주로 정적이고 바로 전의 레시타티브의 절정을 이루지만 이것은 오페라가 리세타티브로 분리된 극적이지 않은 아리아의 연속물임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등장인물들은 그들의 사랑이나 고통을 고백하고 음모를 꾸미며, 살인을 자행하고, 자연스럽고, 생생하고, 민첩한 조우전에서 이기고 지는 전투를 치른다. 레시타티브의 효율적 사용이 아리아에서 표현된 감정, 태도, 열망 가운데 빚어지는 갈등과 상호 작용들의 진정한 드라마를 위한 기회를 만들어 준다. 짙게 느끼고 섬세하게 다듬은 성격묘사가 눈부신 화려함과 다양함과 함께 서로 잇따라 이어진다.
대략 사분의 일에 달하는 그의 런던 오페라들이 <줄리어스 시저>와 같이 로마 역사에 기초를 두고 있다. 약 사분의 일에 못 미치는 적은 수의오페라 만이 신화, 마술, 그리고 페르샤 주제를 가지고 있다. 약 삼분의 일은 중세의 이야기나 또는 아리오스토, 타소, 과리니의 르네상스 서사시와 파스토랄로부터 유래한 것이다.
12. 헨델의 대표적인 오라토리오의 특징에 관하여 설명하시오.
핸델의 영국 오라토리오는 17세기의 이탈리아나 라틴 오라토리오 또는 심지어 핸델 자신의 <부활>과 미미한 연관을 가지고 있다. 오라토리오를 다양한 카테고리에서 그룹이나 부류로 일반화한다는 것은 무익한 일이다. 한편으로는 극적인 줄거리가 부족한 <메시아>와 <이집트의 이스라엘인>과 같은 것이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사실상의 실질적 오페라인 것들이 많다. 예를 들면, 이른바 세속적인 오라토리오 <세멜레>는 무대의 이야기전개, 이상, 그리고 무대장치와 함께 올려진다면 이것은 진정한 영국 오페라가 될 것이다. 오라토리오는 무대에 올려지지 않는다는 것이 필수적인 구별점이다.
영국 오라토리오는 다소 다른 비율로 혼합된 오페라와 같은 내용을 가지고 있었다. 서곡, 레시타티브, 아리오소, 아리아들은 오페라에서와 같은 역할을 하지만 합창이 더욱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코랄 기법은 핸델이 성가에서 얻은 경험에서 나온 것이기 때문에 특히 오라토리오가 영국적인 음악 전통과 연관된다.
<솔로몬>은 핸델 오라토리오의 세가지 중요한 면모를 보여준다. <솔로몬>은 <메시야>와 더불어 핸델이 쓴 가장 훌륭한 합창을 가지고 있다. 항상 인기있는 <마카바이어스의주더스>같이 이것은 주로 예식적인 것이다. 성서적인 드라마 <사울>같이 흥미롭지는 않지만 이것은 구약에 나오는 가장 흥미진진한 이야기 중의 하나인 두 어머니사이에서 발생한 솔로몬의 재판을 다룬 한 중요한 장면을 이야기한다. 전반적인 핸델의 후기 오라토리오와 같이 <솔로몬>의 아리아들은 합창 옆에서 존재가 희미하다. 많은 아리아들은 영국의 에어와 인기있는 노래들로 강하게 침투되어 즐겁고, 선율적인 스타일로 씌여졌다.
핸델은 그의 관중들의 민감도와 그의 가수들의 한계점을 지나치게 고려하게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과거에 성공을 거두었던 방식으로 거슬러 가려고 했던 반면에 후기 바로크 시대의 전형적인 특정양상-격렬한 대조와 과감한 제스처, 콘체르타토 반주, 큰 다 카포 형식, 그리고 성악의 명기적 과시-에는 등을 돌리기도 하였다. 핸델의 멜로디는 그의 만년에 이르러 기상에 있어서 부상하는 고전주의와 많은 공통점을 가진 거의 추상적인 감정 표현과 선의 순수함, 고전적인 평온함에 이르게 되었다.
바흐의 제일 초기의 연주용 종교작품은 성구의 요약과 코랄로 만들어진 노이마이스터가 오라토리오라 부르는 분류였다. 이러한 것이 <하나님의 때는 최상의 때로다>이며 일종의 애도의 음악으로 그 연대를 1707년으로 추정한다. 이 가사들은 바흐 자신이 선택했을 가능성이 있는 시편, 사도행전, 이사야, 누가복음 그리고 그 밖의 다른 성서적인 소재로부터 활용한 것이다. 음악적 세팅의 스타일은 협주적 모테트, 대화풍의 세속가, 그리고 정교한 구성을 가지는 코랄을 합성화 시킨 것이다. 가른 초기 ‘칸타타’들과 공통된 것은 이것이 완만히 전개된 완결 형식이 아니고 짧은 부분들의 연속물인 것이다. 또한 그는 프렐류드 없이 칸타타를 시작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기발한 해결책을 강구하였다. 전통적인 신포니아나 소나타와 평상적으로 뒤따라 나오던 협주적 합창의 역할들이 하나의 악장에서 통일되었다.
11. 헨델의 대표적인 오페라의 특징을 설명하시오.
그의 첫 오페라인 <리날도>를 제작하였을 때 영국의 대중들은 퍼셀로뿐만 아니라 다양한 모방 오페라와 외국으로부터 수입된 작품들로 인하여 이미 이탈리아 스타일로 씌여진 오페라 음악에 친숙해져있었다. 런던은 핸델을 이탈리아 작곡가로 취급하였으나 실상 그의 극장과의 인연은 함부르크에서 시작되었다. 1705년 그 곳에서 제작되었던 그의 첫 오페라 <알미라>는 독일 레시타티브와 아리아와 이탈리아 아리아를 혼합한 것이었다. <알미라>에서 이탈리아 스타일은 자연적으로 이탈리아어로 된 아리아들을 지배하겠지만 이것은 대부분의 독일 가곡에도 침투하였다.
그는 1711년과 1740년사이에 런던을 위하여 약 40개의 오페라를 작곡하였다. 그가 오페라로써 성공을 이룬 작품인 <줄리어스 시저>와 오페라 작곡가로서 생존을 걸고 투쟁하였던 시절에 쓴 <알치나> 등 그의 최우수 작품들은 두드러지는 특성을 잘 보여 준다. <줄리어스 시저>의 훌륭한 대본을 쓴 작가는 첼로 연주자이며 핸델을 위해서 8개 이상의 대본을 제공하 준 전기 작가인 하임이었다. 이 작품은 아리아의 배치, 즉, 이야기의 전개는 명기적인 가수들의 군림으로 과해진 규약에 따라서 조정되었다. 일단 무대에 서면 주된 가수에게 아리아가 주어져야 했고 그 후 평상 상태로는 박수 갈채를 받으면서 퇴장하기를 원하였다. 이러한 퇴장 관행 때문에 앙리아는 비록 서정적이지만 주로 정적이고 바로 전의 레시타티브의 절정을 이루지만 이것은 오페라가 리세타티브로 분리된 극적이지 않은 아리아의 연속물임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등장인물들은 그들의 사랑이나 고통을 고백하고 음모를 꾸미며, 살인을 자행하고, 자연스럽고, 생생하고, 민첩한 조우전에서 이기고 지는 전투를 치른다. 레시타티브의 효율적 사용이 아리아에서 표현된 감정, 태도, 열망 가운데 빚어지는 갈등과 상호 작용들의 진정한 드라마를 위한 기회를 만들어 준다. 짙게 느끼고 섬세하게 다듬은 성격묘사가 눈부신 화려함과 다양함과 함께 서로 잇따라 이어진다.
대략 사분의 일에 달하는 그의 런던 오페라들이 <줄리어스 시저>와 같이 로마 역사에 기초를 두고 있다. 약 사분의 일에 못 미치는 적은 수의오페라 만이 신화, 마술, 그리고 페르샤 주제를 가지고 있다. 약 삼분의 일은 중세의 이야기나 또는 아리오스토, 타소, 과리니의 르네상스 서사시와 파스토랄로부터 유래한 것이다.
12. 헨델의 대표적인 오라토리오의 특징에 관하여 설명하시오.
핸델의 영국 오라토리오는 17세기의 이탈리아나 라틴 오라토리오 또는 심지어 핸델 자신의 <부활>과 미미한 연관을 가지고 있다. 오라토리오를 다양한 카테고리에서 그룹이나 부류로 일반화한다는 것은 무익한 일이다. 한편으로는 극적인 줄거리가 부족한 <메시아>와 <이집트의 이스라엘인>과 같은 것이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사실상의 실질적 오페라인 것들이 많다. 예를 들면, 이른바 세속적인 오라토리오 <세멜레>는 무대의 이야기전개, 이상, 그리고 무대장치와 함께 올려진다면 이것은 진정한 영국 오페라가 될 것이다. 오라토리오는 무대에 올려지지 않는다는 것이 필수적인 구별점이다.
영국 오라토리오는 다소 다른 비율로 혼합된 오페라와 같은 내용을 가지고 있었다. 서곡, 레시타티브, 아리오소, 아리아들은 오페라에서와 같은 역할을 하지만 합창이 더욱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코랄 기법은 핸델이 성가에서 얻은 경험에서 나온 것이기 때문에 특히 오라토리오가 영국적인 음악 전통과 연관된다.
<솔로몬>은 핸델 오라토리오의 세가지 중요한 면모를 보여준다. <솔로몬>은 <메시야>와 더불어 핸델이 쓴 가장 훌륭한 합창을 가지고 있다. 항상 인기있는 <마카바이어스의주더스>같이 이것은 주로 예식적인 것이다. 성서적인 드라마 <사울>같이 흥미롭지는 않지만 이것은 구약에 나오는 가장 흥미진진한 이야기 중의 하나인 두 어머니사이에서 발생한 솔로몬의 재판을 다룬 한 중요한 장면을 이야기한다. 전반적인 핸델의 후기 오라토리오와 같이 <솔로몬>의 아리아들은 합창 옆에서 존재가 희미하다. 많은 아리아들은 영국의 에어와 인기있는 노래들로 강하게 침투되어 즐겁고, 선율적인 스타일로 씌여졌다.
핸델은 그의 관중들의 민감도와 그의 가수들의 한계점을 지나치게 고려하게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과거에 성공을 거두었던 방식으로 거슬러 가려고 했던 반면에 후기 바로크 시대의 전형적인 특정양상-격렬한 대조와 과감한 제스처, 콘체르타토 반주, 큰 다 카포 형식, 그리고 성악의 명기적 과시-에는 등을 돌리기도 하였다. 핸델의 멜로디는 그의 만년에 이르러 기상에 있어서 부상하는 고전주의와 많은 공통점을 가진 거의 추상적인 감정 표현과 선의 순수함, 고전적인 평온함에 이르게 되었다.
추천자료
바로크 음악 고전주의 낭만주의 시대적 특징 배경 음악 이론 서양 음악
바로크 시대 낭만주의 고전주의 오페라의 특징
바로크 음악 - 역사적 배경과 성악작품을 중심으로
바로크 음악양식과 고전 음악양식의 차이
[음악][음악양식][음악사조]다양한 음악양식(바로크, 로코코, 고전주의, 국민주의, 인상주의,...
바로크오페라의등장,오페라의탄생,오페라의기원,오페라의뜻,오페라의변천과정,오페라의 특징,...
[바로크 음악][바로크 음악 작곡가][바로크 음악 오페라][바로크 음악 샤콘]바로크 음악 의의...
[바로크 음악][샤콘][오페라][종교음악]바로크 음악 특징, 바로크 음악 특색, 바로크 음악 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