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예절과 인간관계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직장예절과 인간관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1. 직장예절의 필요성
2. 직장예절의 의의

Ⅱ. 본론
▶ 직장예절의 방법
1. 직장에서의 생활예절
2. 직장에서의 인사예절
3. 직장에서의 전화 예절
4. 직장에서의 대화예절

Ⅲ. 결론

본문내용

수한다.
출근시간은 적어도 15분 정도의 여유를 두고 한다.
몇 분이라도 늦게 출근하면 온종일 신경 쓰여 하루의 컨디션이 엉망이 되고 업무 능률도 떨어진다.
2) 결근 시에는 본인이 직접 연락한다.
몸이 아프거나 가정에 일이 있어서 결근할 때는 본인이 회사로 연락한다.
늦어도 오전 중에는 근무처에 연락을 해야 하며 전화를 걸 수 있을 정도라면 결근 전화는 자신이 하는 것이 직장인으로서의 바른 자세이다.
3) 친한 동료 사이일수록 예의가 중요
직장에서의 우정 배후에는 언제나 엄한 예의가 뒷받침되고 있다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 이성간이라고 해도 직장에서의 교제는 예의를 지키는 것이 중요하다.
2. 직장에서의 인사예절
1). 인사의 의미
인사란 상대방을 존경하고 인정하며 반가움을 표시하는 방법으로서 예절의 기본이며 인간관계의 시작이다. 즉 인사는 내 자신이 상대방을 진정으로 존중해 주거나 다정한 인상을 전해주기 위해 자신의 겸손한 자세를 보이기 위한 수단이자 상대방을 배려하기 위한 최고의 표현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인사는 상대에게 닫혀져 있는 마음의 문을 열어주는 구체적인 행동의 표현이며, 환영, 반가움, 기원, 배려, 염려의 의미가 내포되어 있는 것을 할 수 있다.
처음으로 직장생활을 하면서 사회생활을 하게 되는 신입사원들이라면 직장에서의 인사법을 어떻게 배우고 어떻게 실천할 것인지 당혹스럽기 마련이다. 하지만 인사성, 인사하는 습관 하나만으로도 자신의 직무 능력을 평가받을 수 있음을 잊어서는 안 되며, 인사는 인간관계가 시작되는 신호이며, 상대방에게 마음의 문을 여는 열쇠이며, 개인적 소양을 나타내는 자기표현이라는 것을 잊어서는 안된다.
2) 인사의 기본 자세
직장에서 하는 인사의 기본 자세는, 45°로 상체를 굽히는 정중한 인사, 30°로 상체를 굽히는 보통 인사, 15°로 가볍게 머리만 숙이는 목례의 3가지가 있다.
▶ 허리를 45°정도로 숙이는 정중한 인사
3직급 이상의 상사가 출퇴근 할 때의 인사법이다.
손님을 맞이할 때도 45°인사가 적당하다. 또한 고객을 전송하거나 상사가 퇴근할 때도 정중하게 인사한다.
남자는 인사를 차려 자세에서 주먹 안쪽을 바지 재봉선상에 가볍게 대고 허리에서 상체를 45°로 숙인다.
여성은 차려 자세에서 오른손의 엄지를 왼손의 엄지와 검지 사이에 끼워서 오른손이 왼손을 덮도록 하여 손이 겹쳐진 채로 하복부에 가볍게 대고 상체를 속인다. 시선은 발에 약 1m앞에 떨어뜨린다.
▶ 허리를 30°정도로 숙이는 일반적인 인사
2직급 이하의 상사가 출퇴근 할 때, 동료 직원이 출근할 때, 상사에게 지시나 보고를 받을 경우, 복도 등에서 상사를 만났을 때에 하며 직장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인사이다.
앞의 45°인사와 같으며 상체만 30°로 숙이는 것이 다르다.
▶ 서서 15°정도로 숙이는 가벼운 인사
복도나 실내에서 상사, 동료, 부하직원을 만났을 때, 물건을 양손에 들고 있을 때,
두 번 이상 만났을 때, 작업 중일 때, 근무 중에 동료를 찾아가거나 찾아 왔을 때,
동료보다 먼저 퇴근할 때 등에 이용되는 인사의 자세이다.
가볍게 머리를 숙이는 눈인사로 남자는 차려 자세로, 여자는 손을 모아서 하복부쯤에 두고 밝은 표정을 15°정도 굽힌다.
▶ 앉아서 15°정도 고개를 숙이는 목례
앉아서 일하는 도중이라거나 학교에서와 같이 자리에서 일어나기가 부득이할 때
3) 악수 예절
(1) 악수의 의미
현대 사회에서 악수는 외국인뿐만 아니라 우리 일상생활 중 일반화된 인사법으로 서로 마주서서 손을 잡고 상하로 흔들어 우호감을 표시하는 동작이다. 악수는 자기표현인데, 손을 잡음으로써 마음의 문을 열고, 흔들면서 일체감을 나타내는 의미가 있다.
(2) 올바른 악수 방법
① 손 쥐는 법
악수는 우정의 표시인 만큼 느슨하게 쥐면 성의가 없어 보인다. 또한 손가락 끝을 잡거나 스치듯 가볍게 쥐는 것도 실례다. 남자끼리의 악수일 땐 오히려 적당히 힘을 주는 편이 낫다. 상대가 여성일 때는 힘을 약간 뺀다. 손을 너무 오랫동안 쥐고 있지 않도록 주의한다.
② 손 흔드는 법
상하로 가볍게 흔들되 자신의 어깨보다 높이 올려서는 안된다. 여자와 악수할 때는 살짝만 움직인다. 윗사람이 흔드는 대로 따라 흔든다.
③ 시선처리
상대의 눈을 똑바로 본다. 특히 서양인과 악수할 때는 시선을 돌리면 비굴하거나 떳떳하지 못한 사람으로 오인 받을 수 있다.
④ 앉고 서기
상대가 악수를 청할 때 남성은 반드시 일어서야 한다. 여성은

키워드

  • 가격5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8.01.29
  • 저작시기2004.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4894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