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세계화의 개념
2. 세계화 시대의 민주시민교육
3. 다른 나라의 세계시민교육의 동향
Ⅲ. 체험학습 모듈 개발
Ⅳ. 학습 효과
Ⅴ. 참고문헌
- 첨 부 자 료 -
Ⅱ. 이론적 배경
1. 세계화의 개념
2. 세계화 시대의 민주시민교육
3. 다른 나라의 세계시민교육의 동향
Ⅲ. 체험학습 모듈 개발
Ⅳ. 학습 효과
Ⅴ. 참고문헌
- 첨 부 자 료 -
본문내용
한 소년)
아버지: 안된다. 안돼. 이놈아... 내 아들을 돌려주오. 돌려달란 말이오.(격정적으로) 대체 전쟁, 전쟁이 다 무엇이란 말이요. 전쟁 하나로 인해 모든 것이 파괴되고 죄 없는 사람이 무수히 죽어가는 판국에 무엇을 어찌하란 말이요!!!
(죽은 아들을 바라본다. 너무나도 허무한 듯) 난 다 필요없소. 제발 사람이 살 수 있는 평화로운 곳 하나만이라도 돌려주오. 평화를 말이요!!! (울부짖는 목소리와 격정적인 몸 동작으로, 아들을 안고 퇴장한다.)
이 일이 있은 후 나는 평화를 찾아 헤맸다. 그 중 내가 처음 만난 사람은 정치가였다.
(2) 정치인의 등장
주인공: (정치인을 보자마자 다급한 듯) 당신은 평화가 무엇이라고 생각합니까?
정치인: (좀 생각을 한 후) 음 평화라... 평화란 영어로 PEACE 즉 피스라네. 하하하! 허나 당신은 평화에 대해 아는 것이 없지. 평화란 평+화라는 것도 모를테니, 하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나를 비롯한 모든 정치가들의 손놀림에 의해 한 나라, 더 나아가 이 세계가 평화와 함께 공존할 수 있다는 것을, 평화를 이루는 근본은 바로 인간이라는 것을 잘 염두에 두게.
주인공: PEA 뭐 PEC라고, 잘 염두에 두라고? 인간인 내가 평화의 근본이라... 처음 만남 정치가는 떠나버렸고, PEACE라는 평화를 생각했지만 더욱더 혼란스러웠다. 두 번째로 만남 사람은 청년이었다.
(3) 청년의 등장
주인공: 저 사람은 평화에 대해서 알고 있을까? 어디 한번 가 보자. (다가가서) 이보세요. 이봐요. 이보쇼!(점점 고조되는 분위기) 야!!!!!
청 년: (같은 식의 답변) 왜!!!
주인공: 이봐요. 당신은 평화가 뭔지 아시오?
청 년: (뜻밖의)평화라구. 음....(좀 생각하다가) 평화란 이런 거지. (주인공과 청년 함께 춤을 춘다.) 자, 어떤가! 자네는 지금 평화를 경험해 보았네.
주인공: 이것이, 평화라구?
청 년: 인생은 한낱 즐거움에 지나지 않은 것, 평화도 인생의 부속물이니 즐기는 것이 당연하지 않은가? 그럼 이만.
그 청년은 평화란 단순히 쾌락을 추구하기 위한 즐거움이라고 했지만 난 평화를 다시 찾아 헤맸고, 세 번째 만난 사람은 바쁘게 사는 직장인이었다.
(4) 직장인의 등장
직장인: (바쁘게 거리를 지나가다 멍하니 평화를 생각하며 멍청히 앉아 있는 주인공을 보곤 한심한 듯 다가가서) 이보쇼! 지금 세상이 어느 때인데 그러구 멍청이 앉자 계시오? 내 알 바 아니지만, 너무 한심해서 하는 말이오. 너도나도 돈 벌어먹기 살기 바쁜데, 나, 참!
주인공: (정신을 차린 듯) 당신은 평화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오?
직장인: 얼씨구, (정말 기가 막힌 듯이) 이봐요. 대관절 평화라니 정신 좀 차려요. 나 살기도 바쁜 인생, 아직도 평화타령이요? 평화든 전쟁이든 따질 틈이 어디 있소?( 그냥 지나치려다가.) 집에 가서 10원 이나 더 벌 생각하시오.
주인공: 아, 돈이라... 돈도 벌어야겠지. 하지만 난 우선 평화 찾기를 선택하겠어.
직장인은 평화보다 돈이 중요하다고 했지만 난 결국 평화가 중요하다는 생각을 했고 평화를 찾아 헤매던 중 네 번째로 전쟁 때문에 정신이 이상해진 할머니 두 분을 만나게 되었다.
(5) 할머니 등장
(할머니들 힘없이 흐물흐물 지나간다. 전쟁의 충격으로 모든 것을 공포의 대상으로 보게 된다.)
주인공: 저, 평화가 뭔지 아세요?
할머니1: (공포, 겁에 질린 듯) 아!!! 폭탄이다. (할머니가 놀라서 얼떨결에 주인공을 붙들고 엎드린다.)
주인공: 할머니들 왜 이러세요?!!
할머니1: 인제, 터질겨. 조용히 혀.
할머니2: 뿅..(폭탄 소리는커녕 방귀 소리가)
주인공: 아휴, 냄새...
할머니1: 쉿, 조용히 혀.
주인공: (짜증스러운 듯) 아무 일도 없다니까요?
할머니2: 살고 싶으면 조용히 혀.(소리를 바락 지른다.) 난 무서워. “피용. 파바바바. 푸푸부부. 피해라 터진다.” 이런 것이 무섭단 말여.(몸을 웅크린다.)
주인공: 피용 파바바밥라니...전쟁을 말하는건가 .. 전쟁, 전쟁말인가요?
할머니1: 전쟁 전쟁이라고? 아!!!!!(소리를 지른다.)
할머니2: 또 그놈들이 쳐들어올지 몰라. 안돼 안 된단 말여. 내 어린 새끼가 온통 벌겋게 치장하고 누어 있어서 날 보고 놀자고 그래서 벌겋게 치장했는 줄 알았는디 움직이지도 않고 말도 않혀. 무서워서 난 도망친겨. 인제 그들이 오는 겨.
할머니1: 은장도를 듭세.
할머니2: 그러세. 공격!!!(퇴장한다.)
전쟁에 대한 피해자가 된 할머니 두 분을 보며 난 더욱 평화를 찾았고 아이 하나를 만나게 되었다.
(6) 아이 등장
주인공: 아! 정말, 이 세상에는 평화란 없단 말인가? (이 때 아이 한 명이 평온한 노래를 부르며 나온다. 아이를 보자마자) 아이야, 넌 이 세상이 보이지 않니? 한숨과 울음뿐 이 곳에서 어떻게 노래를 부를 수 있는 거지. 난 평화스런 모습을 찾았지만 아무도 그런 모습을 보여주지 않았어.
아 이: 평화라구요? 아저씬 아직 평화를 보지 못하셨나요?
주인공: 아이야! 네가 알고 있으면 내게 가르쳐 주지 않을래?
아 이: (이 때 저 멀리서 계속 종소리가 들린다.) 아저씨! 저 소리를 들어보세요. 평온하고 화목하게 전쟁 때에도 저렇게 울리고 있었어요. 평화란 이런 거예요. 항상 평온하고 화목한 것 그리고 이제 서로의 마음을 주고받을 수 있다는 거예요. 이제 전쟁은 끝났어요. 모든 사람들 맘속에도 지금과 같은 따뜻한 평화와 희망이 생길 거에요.
주인공: 아! 그래, 지금과 같은 느낌!(종소리를 들으며) 그래! 난 내 맘속에 있는 평화를 잊고 있었던거야. 그런 평화를 다른 사람에게서 얻으려하다니.... 내가 어리석었던거야. 아이야, 고맙다. 난 이제 나처럼 평화를 찾아다니는 사람들에게 평화가 뭔지를 꼭 알려줄거야!
여러분! 저는 평화를 찾았습니다. 평화는 이제 내 맘속에 있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 끝 -
학 습 지
○○초등학교 ○학년 ○반 ○번 이름 ○○○
연극을 보고 느낀 점을 글로 표현해 봅시다.
왜 평화가 중요하나요?
평화로운 세상을 구현하기 위해서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무엇일까요?
학교에서 가정에서
아버지: 안된다. 안돼. 이놈아... 내 아들을 돌려주오. 돌려달란 말이오.(격정적으로) 대체 전쟁, 전쟁이 다 무엇이란 말이요. 전쟁 하나로 인해 모든 것이 파괴되고 죄 없는 사람이 무수히 죽어가는 판국에 무엇을 어찌하란 말이요!!!
(죽은 아들을 바라본다. 너무나도 허무한 듯) 난 다 필요없소. 제발 사람이 살 수 있는 평화로운 곳 하나만이라도 돌려주오. 평화를 말이요!!! (울부짖는 목소리와 격정적인 몸 동작으로, 아들을 안고 퇴장한다.)
이 일이 있은 후 나는 평화를 찾아 헤맸다. 그 중 내가 처음 만난 사람은 정치가였다.
(2) 정치인의 등장
주인공: (정치인을 보자마자 다급한 듯) 당신은 평화가 무엇이라고 생각합니까?
정치인: (좀 생각을 한 후) 음 평화라... 평화란 영어로 PEACE 즉 피스라네. 하하하! 허나 당신은 평화에 대해 아는 것이 없지. 평화란 평+화라는 것도 모를테니, 하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나를 비롯한 모든 정치가들의 손놀림에 의해 한 나라, 더 나아가 이 세계가 평화와 함께 공존할 수 있다는 것을, 평화를 이루는 근본은 바로 인간이라는 것을 잘 염두에 두게.
주인공: PEA 뭐 PEC라고, 잘 염두에 두라고? 인간인 내가 평화의 근본이라... 처음 만남 정치가는 떠나버렸고, PEACE라는 평화를 생각했지만 더욱더 혼란스러웠다. 두 번째로 만남 사람은 청년이었다.
(3) 청년의 등장
주인공: 저 사람은 평화에 대해서 알고 있을까? 어디 한번 가 보자. (다가가서) 이보세요. 이봐요. 이보쇼!(점점 고조되는 분위기) 야!!!!!
청 년: (같은 식의 답변) 왜!!!
주인공: 이봐요. 당신은 평화가 뭔지 아시오?
청 년: (뜻밖의)평화라구. 음....(좀 생각하다가) 평화란 이런 거지. (주인공과 청년 함께 춤을 춘다.) 자, 어떤가! 자네는 지금 평화를 경험해 보았네.
주인공: 이것이, 평화라구?
청 년: 인생은 한낱 즐거움에 지나지 않은 것, 평화도 인생의 부속물이니 즐기는 것이 당연하지 않은가? 그럼 이만.
그 청년은 평화란 단순히 쾌락을 추구하기 위한 즐거움이라고 했지만 난 평화를 다시 찾아 헤맸고, 세 번째 만난 사람은 바쁘게 사는 직장인이었다.
(4) 직장인의 등장
직장인: (바쁘게 거리를 지나가다 멍하니 평화를 생각하며 멍청히 앉아 있는 주인공을 보곤 한심한 듯 다가가서) 이보쇼! 지금 세상이 어느 때인데 그러구 멍청이 앉자 계시오? 내 알 바 아니지만, 너무 한심해서 하는 말이오. 너도나도 돈 벌어먹기 살기 바쁜데, 나, 참!
주인공: (정신을 차린 듯) 당신은 평화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오?
직장인: 얼씨구, (정말 기가 막힌 듯이) 이봐요. 대관절 평화라니 정신 좀 차려요. 나 살기도 바쁜 인생, 아직도 평화타령이요? 평화든 전쟁이든 따질 틈이 어디 있소?( 그냥 지나치려다가.) 집에 가서 10원 이나 더 벌 생각하시오.
주인공: 아, 돈이라... 돈도 벌어야겠지. 하지만 난 우선 평화 찾기를 선택하겠어.
직장인은 평화보다 돈이 중요하다고 했지만 난 결국 평화가 중요하다는 생각을 했고 평화를 찾아 헤매던 중 네 번째로 전쟁 때문에 정신이 이상해진 할머니 두 분을 만나게 되었다.
(5) 할머니 등장
(할머니들 힘없이 흐물흐물 지나간다. 전쟁의 충격으로 모든 것을 공포의 대상으로 보게 된다.)
주인공: 저, 평화가 뭔지 아세요?
할머니1: (공포, 겁에 질린 듯) 아!!! 폭탄이다. (할머니가 놀라서 얼떨결에 주인공을 붙들고 엎드린다.)
주인공: 할머니들 왜 이러세요?!!
할머니1: 인제, 터질겨. 조용히 혀.
할머니2: 뿅..(폭탄 소리는커녕 방귀 소리가)
주인공: 아휴, 냄새...
할머니1: 쉿, 조용히 혀.
주인공: (짜증스러운 듯) 아무 일도 없다니까요?
할머니2: 살고 싶으면 조용히 혀.(소리를 바락 지른다.) 난 무서워. “피용. 파바바바. 푸푸부부. 피해라 터진다.” 이런 것이 무섭단 말여.(몸을 웅크린다.)
주인공: 피용 파바바밥라니...전쟁을 말하는건가 .. 전쟁, 전쟁말인가요?
할머니1: 전쟁 전쟁이라고? 아!!!!!(소리를 지른다.)
할머니2: 또 그놈들이 쳐들어올지 몰라. 안돼 안 된단 말여. 내 어린 새끼가 온통 벌겋게 치장하고 누어 있어서 날 보고 놀자고 그래서 벌겋게 치장했는 줄 알았는디 움직이지도 않고 말도 않혀. 무서워서 난 도망친겨. 인제 그들이 오는 겨.
할머니1: 은장도를 듭세.
할머니2: 그러세. 공격!!!(퇴장한다.)
전쟁에 대한 피해자가 된 할머니 두 분을 보며 난 더욱 평화를 찾았고 아이 하나를 만나게 되었다.
(6) 아이 등장
주인공: 아! 정말, 이 세상에는 평화란 없단 말인가? (이 때 아이 한 명이 평온한 노래를 부르며 나온다. 아이를 보자마자) 아이야, 넌 이 세상이 보이지 않니? 한숨과 울음뿐 이 곳에서 어떻게 노래를 부를 수 있는 거지. 난 평화스런 모습을 찾았지만 아무도 그런 모습을 보여주지 않았어.
아 이: 평화라구요? 아저씬 아직 평화를 보지 못하셨나요?
주인공: 아이야! 네가 알고 있으면 내게 가르쳐 주지 않을래?
아 이: (이 때 저 멀리서 계속 종소리가 들린다.) 아저씨! 저 소리를 들어보세요. 평온하고 화목하게 전쟁 때에도 저렇게 울리고 있었어요. 평화란 이런 거예요. 항상 평온하고 화목한 것 그리고 이제 서로의 마음을 주고받을 수 있다는 거예요. 이제 전쟁은 끝났어요. 모든 사람들 맘속에도 지금과 같은 따뜻한 평화와 희망이 생길 거에요.
주인공: 아! 그래, 지금과 같은 느낌!(종소리를 들으며) 그래! 난 내 맘속에 있는 평화를 잊고 있었던거야. 그런 평화를 다른 사람에게서 얻으려하다니.... 내가 어리석었던거야. 아이야, 고맙다. 난 이제 나처럼 평화를 찾아다니는 사람들에게 평화가 뭔지를 꼭 알려줄거야!
여러분! 저는 평화를 찾았습니다. 평화는 이제 내 맘속에 있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 끝 -
학 습 지
○○초등학교 ○학년 ○반 ○번 이름 ○○○
연극을 보고 느낀 점을 글로 표현해 봅시다.
왜 평화가 중요하나요?
평화로운 세상을 구현하기 위해서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무엇일까요?
학교에서 가정에서
추천자료
[제7차교육과정] 사회과
사회과 교육
2010년 2학기 시민교육론 중간시험 핵심체크
2010년 2학기 시민교육론 출석대체시험 핵심체크
2012년 하계계절시험 시민교육론 시험범위 핵심체크
2012년 2학기 시민교육론 출석대체시험 핵심체크
2012년 2학기 시민교육론 기말시험 핵심체크
2015년 2학기 시민교육론 교재 전 범위 핵심요약노트
2016년 하계계절시험 시민교육론 시험범위 핵심체크
2016년 2학기 시민교육론 출석대체시험 핵심체크
2016년 2학기 시민교육론 기말시험 핵심체크
2016년 2학기 시민교육론 교재 전 범위 핵심요약노트
2017년 2학기 시민교육론 기말시험 핵심체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