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역사적 배경 및 현황
-수영의 기원
-수영의 역사
2. 수영의 4가지 영법
-자유형
-평영
-접영
-배영
3. 수영의 효과
-신체적 효과
-생리적 효과
-심리적 효과
-의학적 효과
4. 수영 장비
-기본 장비
-기록 향상을 위한 수영 장비
5. 수영 규칙
-경기 규칙
-반칙 행위
-물 놀이 시 장소별 안전 규칙
6. 재미있는 수영 소식
-전신 수영복의 등장
-한국 수영복의 변천사
7. 평소에 갖던 수영에 대한 의문
8. 느낀 점
-수영의 기원
-수영의 역사
2. 수영의 4가지 영법
-자유형
-평영
-접영
-배영
3. 수영의 효과
-신체적 효과
-생리적 효과
-심리적 효과
-의학적 효과
4. 수영 장비
-기본 장비
-기록 향상을 위한 수영 장비
5. 수영 규칙
-경기 규칙
-반칙 행위
-물 놀이 시 장소별 안전 규칙
6. 재미있는 수영 소식
-전신 수영복의 등장
-한국 수영복의 변천사
7. 평소에 갖던 수영에 대한 의문
8. 느낀 점
본문내용
목 차
1. 역사적 배경 및 현황
-수영의 기원
-수영의 역사
2. 수영의 4가지 영법
-자유형
-평영
-접영
-배영
3. 수영의 효과
-신체적 효과
-생리적 효과
-심리적 효과
-의학적 효과
4. 수영 장비
-기본 장비
-기록 향상을 위한 수영 장비
5. 수영 규칙
-경기 규칙
-반칙 행위
-물 놀이 시 장소별 안전 규칙
6. 재미있는 수영 소식
-전신 수영복의 등장
-한국 수영복의 변천사
7. 평소에 갖던 수영에 대한 의문
8. 느낀 점
9. 참고 문헌
1. 역사적 배경 및 현황
1) 수영의 기원
동서양을 막론하고 인간의 역사만큼 수영이 시작된 역사 또한 오래이다. 사람이 물을 가까이 하게 된 이유는 생활 가운데의 목욕, 고기잡이, 교통수단 , 전투훈련, 신앙을 위한 입수, 그리고 질병치료를 위한 소금물이나, 온천에의 입수에서 비롯됐다고 짐작된다.
2) 수영의 역사
B.C 2000년 고대 이집트 문헌에 수영을 지도한 기록이 남아 있으며 B.C 1000년경 앗시리아, 바빌로니아의 불상에 수영하는 모습이 남아있고, 그 그림에 수피로 만든 푸대를 가지고 의복을 입은 채로 수영하고 있는 전투의 그림이 있다. 이러한 사실로 미루어 보아 고대의 수영이 오늘날의 영법과 다른 것을 엿볼 수 있으며 경기를 위한 영법의 역사는 짧다. 14세기 로마 법예의 저술 가운데서 인간은 오래 수중에 있을 수 있는가에 대한 연구가 기록되어 있었다.
또한 과거 페르시아 소년의 신체단련이나 군사훈련의 한 과정으로서 수영이 포함되어 있었다. 또 앗시리아의 군인은 산양가죽에 공기를 넣어 만든 바람주머니가 보급되었고, 중세에 이르러서 수영은 군인의 필수과목이 되었다. 그러나 근세초기에 이르러 국민의 보건 교육 그리고 여가선용으로 의사와 교육자들의 주장에 의해서 수영의 필요성이 인정되어 수영이 근대화되기 시작하였으며, 이탈리아의 베르나르디(Bernurdi), 독일의 구무츠(Guts-muths), 푸엘(Pfeul) 등 개척자들의 노력에 의해서 수영의 가치가 인식되었다. 그리고 리코라 서위만이 1838년 수영에 대한 최초의 교과서를 만들었다.
한편 베라루디 라는 Italy의 목사는 인체와 부력의 관계를 연구하여 “인간은 자연히 물에 뜨는 것이다”라는 결론을 얻은 후 체육인들과의 공동실험을 통하여 수영에 대한 이론과 지도법이 여러가지로 연구되었다. 19세기 후반에는 독일을 시초로 수 영구락부나 협회가 조직되어 이곳을 중심으로 수영의 연구가 발전, 보급되었다. 1896년 제11회 올림픽 종목 중에는 100m, 500m, 1200m자유형이 있었으며, 20세기에 오면서는 미국의 급진적인 발달을 엿볼 수 있으며 올림픽 시대로 접어들었으며 수영클럽이 탄생되어 오늘날에 이르렀다.
2. 수영의 4가지 영법
1)자유형(crawl stroke)
①정의
자유형이란 허용된 규칙 내에서 자유롭게 영법을 구사할 수 있도록 고안된 수영이다. 자유형 시합에서 선수는 어느 영법이라도 사용할 수 있지만 crawl이 가장 빠르기 때문에 선택의 여지가 없다. 그래서 자유형이란 frontcrawl이라는 말과 원칙적으로 같다고 볼 수 있다.
②몸의 자세
자유형은 몸의 두 가지 위치를 번갈아 사용하는 영법이라고 볼 수 있다. 그 이유는 양쪽 팔을 교대로 사용하기 때문인데 이렇게 양쪽 팔이 사용되므로 서 자연스러운 롤링이 생기게 된다. 양쪽 팔이 되돌려지는 동작은 몸을 신체의 장축으로부터 롤링하게 끔 해준다. 숙달된 선수는 몸의 롤링을 제한하지 않고 오히려 롤링을 이용하여 몸통의 근육을 스트로크에 자연스럽게 사용한다. 몸의 롤링은 자연스러운 동작이기 때문에 의도적으로 만들면 과도한 롤링이 되어 좋지 않다.
③전체 동작
ⅰ. 팔꿈치를 높이 들고 어깨선을 벗어나지 않도록 하면서 오른팔을 전방으로 미끄러지듯이 쭉 뻗는다.
ⅱ. 왼손 엄지손가락이 허벅지를 스치는 시점에서 오른팔 팔꿈치를 굽히기 시작하다.
ⅲ. 팔꿈치를 구부리면서 왼팔을 물에서 빼낸다. 물속에 있는 오른팔은 팔꿈치를 높이 유지한 상태에서 뒤쪽 아래로 구부리면서 물젓기를 시작한다.
ⅳ. 왼팔이 리커버리 되는 동안 오른팔은 물 젓기의 중앙에 위치하게 되고 이때 수면과 물을 젓는 팔의 팔꿈치가 이루는 각은 90? 가 된다.
ⅴ. 오른팔을 엉덩이쪽으로 밀면서 왼팔은 전방으로 밀어준다.
ⅵ. 팔꿈치가 먼저 물속에서 나오도록 오른팔을 빼내고 왼팔은 물을 아래쪽으로 밀어 당기기 시작한다.
자유형 동작
④호흡동작
호흡은 신체의 롤링에 맞추어 머리를 부드럽게 좌우로 돌려 들여 마신다. 초보자의 경우에는 오른쪽으로 돌려 들여 마시는 방법으로 하는 것이 더 낫다. 또한 호흡을 할 때는 머리를 수면 위로 들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신체의 롤링은 팔의 움직임에 의해서 생겨나는데. 흔들리는 배와 비슷하다. 왼팔을 젓기 할 때 오른 팔은 자신의 중심선에서 그대로 앞으로 쭉 뻗어 주시면 오른쪽 어깨는 가라앉고 왼쪽 어깨는 올라온다. 즉 왼쪽 가슴 쪽이 열리게 되는 형태다. 이를 반복하면 어깨의 상하 운동이 반복되는 것이다. 오른쪽으로 호흡할 경우 오른쪽 가슴이 열리는 시기에 호흡하면 되는 것이다. 이때 주의 할 점은 손끝은 어깨보다 더 아래쪽에 있어야 한다는 사실이다.
젓기를 하는 팔의 반대 팔은 최대한 쭉 뻗어야 한다. 그러면 뻗어 주는 팔의 어깨 가 자신의 턱 쪽으로 끌어 당겨지는 것을 느낄 수 있다. 이는 추진력으로 앞으로 나가는 상태에서 이루어 져야 한다는 것이다. 자연스럽게 머리를 오른쪽으로 돌린다고 생각하면 된다. 앞으로 나아가면서, 왼팔은 최대한 쭉 뻗는다. 코로는 계속 숨을 내뿜는 상태여야 한다. 머리가 나왔을 때 파아 하고 남은 숨을
1. 역사적 배경 및 현황
-수영의 기원
-수영의 역사
2. 수영의 4가지 영법
-자유형
-평영
-접영
-배영
3. 수영의 효과
-신체적 효과
-생리적 효과
-심리적 효과
-의학적 효과
4. 수영 장비
-기본 장비
-기록 향상을 위한 수영 장비
5. 수영 규칙
-경기 규칙
-반칙 행위
-물 놀이 시 장소별 안전 규칙
6. 재미있는 수영 소식
-전신 수영복의 등장
-한국 수영복의 변천사
7. 평소에 갖던 수영에 대한 의문
8. 느낀 점
9. 참고 문헌
1. 역사적 배경 및 현황
1) 수영의 기원
동서양을 막론하고 인간의 역사만큼 수영이 시작된 역사 또한 오래이다. 사람이 물을 가까이 하게 된 이유는 생활 가운데의 목욕, 고기잡이, 교통수단 , 전투훈련, 신앙을 위한 입수, 그리고 질병치료를 위한 소금물이나, 온천에의 입수에서 비롯됐다고 짐작된다.
2) 수영의 역사
B.C 2000년 고대 이집트 문헌에 수영을 지도한 기록이 남아 있으며 B.C 1000년경 앗시리아, 바빌로니아의 불상에 수영하는 모습이 남아있고, 그 그림에 수피로 만든 푸대를 가지고 의복을 입은 채로 수영하고 있는 전투의 그림이 있다. 이러한 사실로 미루어 보아 고대의 수영이 오늘날의 영법과 다른 것을 엿볼 수 있으며 경기를 위한 영법의 역사는 짧다. 14세기 로마 법예의 저술 가운데서 인간은 오래 수중에 있을 수 있는가에 대한 연구가 기록되어 있었다.
또한 과거 페르시아 소년의 신체단련이나 군사훈련의 한 과정으로서 수영이 포함되어 있었다. 또 앗시리아의 군인은 산양가죽에 공기를 넣어 만든 바람주머니가 보급되었고, 중세에 이르러서 수영은 군인의 필수과목이 되었다. 그러나 근세초기에 이르러 국민의 보건 교육 그리고 여가선용으로 의사와 교육자들의 주장에 의해서 수영의 필요성이 인정되어 수영이 근대화되기 시작하였으며, 이탈리아의 베르나르디(Bernurdi), 독일의 구무츠(Guts-muths), 푸엘(Pfeul) 등 개척자들의 노력에 의해서 수영의 가치가 인식되었다. 그리고 리코라 서위만이 1838년 수영에 대한 최초의 교과서를 만들었다.
한편 베라루디 라는 Italy의 목사는 인체와 부력의 관계를 연구하여 “인간은 자연히 물에 뜨는 것이다”라는 결론을 얻은 후 체육인들과의 공동실험을 통하여 수영에 대한 이론과 지도법이 여러가지로 연구되었다. 19세기 후반에는 독일을 시초로 수 영구락부나 협회가 조직되어 이곳을 중심으로 수영의 연구가 발전, 보급되었다. 1896년 제11회 올림픽 종목 중에는 100m, 500m, 1200m자유형이 있었으며, 20세기에 오면서는 미국의 급진적인 발달을 엿볼 수 있으며 올림픽 시대로 접어들었으며 수영클럽이 탄생되어 오늘날에 이르렀다.
2. 수영의 4가지 영법
1)자유형(crawl stroke)
①정의
자유형이란 허용된 규칙 내에서 자유롭게 영법을 구사할 수 있도록 고안된 수영이다. 자유형 시합에서 선수는 어느 영법이라도 사용할 수 있지만 crawl이 가장 빠르기 때문에 선택의 여지가 없다. 그래서 자유형이란 frontcrawl이라는 말과 원칙적으로 같다고 볼 수 있다.
②몸의 자세
자유형은 몸의 두 가지 위치를 번갈아 사용하는 영법이라고 볼 수 있다. 그 이유는 양쪽 팔을 교대로 사용하기 때문인데 이렇게 양쪽 팔이 사용되므로 서 자연스러운 롤링이 생기게 된다. 양쪽 팔이 되돌려지는 동작은 몸을 신체의 장축으로부터 롤링하게 끔 해준다. 숙달된 선수는 몸의 롤링을 제한하지 않고 오히려 롤링을 이용하여 몸통의 근육을 스트로크에 자연스럽게 사용한다. 몸의 롤링은 자연스러운 동작이기 때문에 의도적으로 만들면 과도한 롤링이 되어 좋지 않다.
③전체 동작
ⅰ. 팔꿈치를 높이 들고 어깨선을 벗어나지 않도록 하면서 오른팔을 전방으로 미끄러지듯이 쭉 뻗는다.
ⅱ. 왼손 엄지손가락이 허벅지를 스치는 시점에서 오른팔 팔꿈치를 굽히기 시작하다.
ⅲ. 팔꿈치를 구부리면서 왼팔을 물에서 빼낸다. 물속에 있는 오른팔은 팔꿈치를 높이 유지한 상태에서 뒤쪽 아래로 구부리면서 물젓기를 시작한다.
ⅳ. 왼팔이 리커버리 되는 동안 오른팔은 물 젓기의 중앙에 위치하게 되고 이때 수면과 물을 젓는 팔의 팔꿈치가 이루는 각은 90? 가 된다.
ⅴ. 오른팔을 엉덩이쪽으로 밀면서 왼팔은 전방으로 밀어준다.
ⅵ. 팔꿈치가 먼저 물속에서 나오도록 오른팔을 빼내고 왼팔은 물을 아래쪽으로 밀어 당기기 시작한다.
자유형 동작
④호흡동작
호흡은 신체의 롤링에 맞추어 머리를 부드럽게 좌우로 돌려 들여 마신다. 초보자의 경우에는 오른쪽으로 돌려 들여 마시는 방법으로 하는 것이 더 낫다. 또한 호흡을 할 때는 머리를 수면 위로 들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신체의 롤링은 팔의 움직임에 의해서 생겨나는데. 흔들리는 배와 비슷하다. 왼팔을 젓기 할 때 오른 팔은 자신의 중심선에서 그대로 앞으로 쭉 뻗어 주시면 오른쪽 어깨는 가라앉고 왼쪽 어깨는 올라온다. 즉 왼쪽 가슴 쪽이 열리게 되는 형태다. 이를 반복하면 어깨의 상하 운동이 반복되는 것이다. 오른쪽으로 호흡할 경우 오른쪽 가슴이 열리는 시기에 호흡하면 되는 것이다. 이때 주의 할 점은 손끝은 어깨보다 더 아래쪽에 있어야 한다는 사실이다.
젓기를 하는 팔의 반대 팔은 최대한 쭉 뻗어야 한다. 그러면 뻗어 주는 팔의 어깨 가 자신의 턱 쪽으로 끌어 당겨지는 것을 느낄 수 있다. 이는 추진력으로 앞으로 나가는 상태에서 이루어 져야 한다는 것이다. 자연스럽게 머리를 오른쪽으로 돌린다고 생각하면 된다. 앞으로 나아가면서, 왼팔은 최대한 쭉 뻗는다. 코로는 계속 숨을 내뿜는 상태여야 한다. 머리가 나왔을 때 파아 하고 남은 숨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