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일본의 통과의례
2.우리나라의 통과의례
3.나의생각
2.우리나라의 통과의례
3.나의생각
본문내용
일본의 문화와 생활 세계
<9주차> 레포트
<9주차 레포트>
일본사람들의 일생동안 통과하게 되는 각종 의례와 의식에 대해 알아보고 우리나라와의 차이점에 대해 설명하세요.
통과의례는 대표적인 기층문화의 하나로 세시의례와 함께 모든 민족이 공유하는 의례이다. 프랑스 민속학자 반 겐넵(Van Gennep)이 명명한 통과의례는 사람이 일생을 살아가면서 마디가 되는 출생성년혼인회갑죽음 등에서 거행하는 의례로, 인간의 사회적 지위역할의 변화 등과 밀접한 관계를 지닌다. 통과의례의 범위는 크게 ①기자(祈子)로부터 잉태와 출산을 거쳐 아기가 태어난 후 만 1년이 되는 돌까지의 중요한 계기에 행하는 산육(産育)례, ②성장한 소년소녀에게 가족과 사회의 구성원이자 성인으로서의 의무와 책임을 일깨워주는 성년(成年)례, ③성인이 된 남녀가 부부로 결합하는 혼례(婚禮), ④회갑이나 회혼(回婚) 등 어른의 60주년 생신과 결혼기념일에 상을 차리고 헌수(獻酬)하며 무병장수를 기원하는 수연례(壽筵禮), ⑤망자의 운명부터 시체 매장과 봉분(封墳) 조성 및 상주를 비롯한 가까운 친척들이 상복을 입는 기간 동안 치르는 상례(喪禮) 등으로 나눌 수 있다.
1) 일본의 통과의례
① 출생
일본의 대부분 아이들은 병원에서 태어나는데, 예전에는 외가에서 출산을 했다. 첫아이의 경우에는 외가에 가서 낳는 것이 관습 이였다. 예전에 아이의 탯줄을 버리지 않고 보관해 두었던 관습은 호적을 대신하여 아이의 출생을 증명하는데 쓰였지만 지금은 대부분 여성들이 병원에서 출산을 한다.
② 오시치야
아이가 태어나면 일본인들은 태어난 7일째에 이름을 지어 축하를 하는 오시치야라는 관습이 있다. 이날에는 태어난 아이의 이름과 생년월일을 한지에 써서 집안의 가미다나(신을 모시는 선반)라든가 도코노마(일본식 방의 상좌에 바닥을 한층 높게 만든 곳으로 보통 객실에 있다.)의 기둥에 붙여서 축하하고 주변 사람들에게도 알린다. 옛날에는 외조부가 이름을 직접 지어주었지만, 요즘에는 부모들이 직접 아이의 이름을 짓고 부르기 쉬운 이름을 선호한다.
③ 아이의 첫 신전 참배
일본인들의 신도(神道)는 예전부터 내려오던 토착신앙과 의례등을 일본인들 고유의 민족 신앙으로 발전시킨 종교이다. 그래서 신사를 모시고 참배하는 일본인들의 수도 상대적으로 많은데 신사를 보통 우지가미사마(聖神樣)라고 부르며 조상신인 우지가미(氏神) 즉 씨신을 많이 모시고 있다. 아이가 태어나면 신사에서는 신의 아이로 여기며 우지코(氏子)라 하는데 우지코가 처음으로 조상신인 우지가미에게 인사를 하는 의미에서 신전에 참배하는 행사를 오미야마이리 라고 한다. 남자는 태어난 31일째, 여자는 태어난 32일째 하는 것이 보통이며 이때는 축하선물로 이누하리코(액운을
<9주차> 레포트
<9주차 레포트>
일본사람들의 일생동안 통과하게 되는 각종 의례와 의식에 대해 알아보고 우리나라와의 차이점에 대해 설명하세요.
통과의례는 대표적인 기층문화의 하나로 세시의례와 함께 모든 민족이 공유하는 의례이다. 프랑스 민속학자 반 겐넵(Van Gennep)이 명명한 통과의례는 사람이 일생을 살아가면서 마디가 되는 출생성년혼인회갑죽음 등에서 거행하는 의례로, 인간의 사회적 지위역할의 변화 등과 밀접한 관계를 지닌다. 통과의례의 범위는 크게 ①기자(祈子)로부터 잉태와 출산을 거쳐 아기가 태어난 후 만 1년이 되는 돌까지의 중요한 계기에 행하는 산육(産育)례, ②성장한 소년소녀에게 가족과 사회의 구성원이자 성인으로서의 의무와 책임을 일깨워주는 성년(成年)례, ③성인이 된 남녀가 부부로 결합하는 혼례(婚禮), ④회갑이나 회혼(回婚) 등 어른의 60주년 생신과 결혼기념일에 상을 차리고 헌수(獻酬)하며 무병장수를 기원하는 수연례(壽筵禮), ⑤망자의 운명부터 시체 매장과 봉분(封墳) 조성 및 상주를 비롯한 가까운 친척들이 상복을 입는 기간 동안 치르는 상례(喪禮) 등으로 나눌 수 있다.
1) 일본의 통과의례
① 출생
일본의 대부분 아이들은 병원에서 태어나는데, 예전에는 외가에서 출산을 했다. 첫아이의 경우에는 외가에 가서 낳는 것이 관습 이였다. 예전에 아이의 탯줄을 버리지 않고 보관해 두었던 관습은 호적을 대신하여 아이의 출생을 증명하는데 쓰였지만 지금은 대부분 여성들이 병원에서 출산을 한다.
② 오시치야
아이가 태어나면 일본인들은 태어난 7일째에 이름을 지어 축하를 하는 오시치야라는 관습이 있다. 이날에는 태어난 아이의 이름과 생년월일을 한지에 써서 집안의 가미다나(신을 모시는 선반)라든가 도코노마(일본식 방의 상좌에 바닥을 한층 높게 만든 곳으로 보통 객실에 있다.)의 기둥에 붙여서 축하하고 주변 사람들에게도 알린다. 옛날에는 외조부가 이름을 직접 지어주었지만, 요즘에는 부모들이 직접 아이의 이름을 짓고 부르기 쉬운 이름을 선호한다.
③ 아이의 첫 신전 참배
일본인들의 신도(神道)는 예전부터 내려오던 토착신앙과 의례등을 일본인들 고유의 민족 신앙으로 발전시킨 종교이다. 그래서 신사를 모시고 참배하는 일본인들의 수도 상대적으로 많은데 신사를 보통 우지가미사마(聖神樣)라고 부르며 조상신인 우지가미(氏神) 즉 씨신을 많이 모시고 있다. 아이가 태어나면 신사에서는 신의 아이로 여기며 우지코(氏子)라 하는데 우지코가 처음으로 조상신인 우지가미에게 인사를 하는 의미에서 신전에 참배하는 행사를 오미야마이리 라고 한다. 남자는 태어난 31일째, 여자는 태어난 32일째 하는 것이 보통이며 이때는 축하선물로 이누하리코(액운을
키워드
추천자료
일본대중문화의 이해, 일본문화는 저질문화인가?
21세기와 일본문화 -와쓰지 데쓰로(和 哲郞)의 일본문화론을 중심으로-
일본문화의 틀 - <일본의 방송문화>
[일본문화]한국과 일본의 테마파크
[가정학과(식품영양학) - 식생활과문화]42-C종교 및 제도에 따른 여러 나라의 금기 식품에 대...
[일본문화]일본의 식문화
중국문화와 일본문화 비교
[일본문화,일본영화]일본영화의 개념과 특징, 한국내에서 영향 및 현주소 분석
[일본대중문화] 일본고교야구 - 고시엔(こうしえん)
일본 소설 원작의 한국영화를 통해 본 일본문화와 한국문화의 차이
게이샤를 주제로한 일본문화와 우리나라문화와의 차이점 - 화려하지만 슬픈 이름 ‘게이샤’와 ...
일본대중문화 - 일본 요괴 문화
일본문화와 한국문화
2017년 2학기 일본사회문화의이해 중간시험과제물 공통(동경대 특별강좌 일본사회 일본문화)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