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석/조사] 만성신부전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분석/조사] 만성신부전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신장
․ 구조
․ 기능

Ⅱ. 만성 신부전
․ 정의
․ 주요원인
․ 단계
․ 진단
․ 증상
․ 증상에 따른 간호
․ 치료

Ⅲ. 만성 신부전 환자 식이요법

Ⅳ. 만성 신부전에 사용하는 약물

Ⅴ. 투석치료
․ 복막투석
․ 혈액투석

Ⅵ. 신이식

본문내용

과를 보려면 이러한 칼슘 제제는 가급적 식사 직후 소화된 음식물이 흡수되기 전에 먹어야 하며, 빈 속에 먹으면 인은 제거되지 않고 혈중 칼슘 치만 올라가게된다.
칼슘 제제는 위장 장애도 심하게 일으키므로 복용 시간을 정확히 지키는 것이 중요하다.
◎비타민
신부전 환자에서는 식욕 부진, 소화 장애, 투석을 통한 소실 등 여러 가지 원인으로 비타민 부족이 오기 쉽다.
지용성 비타민인 비타민 D는 장내에서 칼슘과 인의 흡수를 촉진시킨다.
신장의 기능 저하로 활성화되지 못하는 비타민 D를 보충하기 위해 혹은 과도하게 항진되어 뼈를 점차 약화시키는 부갑상선의 기능을 억제하기 위해서 많은 신부전 환자들은 경구용 비타민 D 제제를 복용하게 된다.
수용성 비타민인 비타민 B와 C의 부족은 빈혈을 악화시키고 동맥경화증과 연관된 혈관질환을 유발한다.
그러나 수용성 비타민이 풍부하게 들어 있는 과일이나 야채에는 포타슘 또한 많이 들어 있어 충분히 먹을 수 없기 때문에 신부전 환자는 삐콤, 엽산, 네프비타, 레날민과 같은 수용성 비타민 제제를 필수 약제로 복용하게 된다.
Ⅳ. 만성신부전에 사용하는 약물
약물용량을 적절하게 조절하지 못한 경우 체내에 축적되어서 부작용이 야기된다. 만성 신부전에 사용하는 약물로는 먼저 고혈압 치료제가 있다. 만성 신부전에서는 대부분의 경우 고혈압이 동반되며, 고혈압은 신기능 감소를 촉진시키므로 혈압 조절은 매우 중요하다. 다음으로 소변량의 유지와 부종의 감소를 위한 이뇨제, 제한된 식이를 섭취함으로써 결핍증이 발생하기 쉬운 수용성 비타민인 B, C, 엽산 등을 보충해 주는 비타민제 및 칼슘, 철분제재 등이 많이 사용된다. 또한 신장으로의 배설이 감소되어 체내에 축적되는 인을 제거하기 위한 인결합제제인 암포젤등과 신 질환에 동반되는 빈혈을 치료하기 위한 조혈호르몬 등도 많이 처방되는 약제들이다.
◎ 고혈압 치료제
고혈압은 신질환을 악화시키는 제일 중요한 요인이 된다. 다른 한편으로는 신기능이 떨어지면 혈압이 증가하게 된다. 그러므로 신장 환자들은 혈압을 잘 조절해야 한다. 고혈압 치료제는 혈압을 정상으로 유지시켜, 뇌졸증, 심부전, 신부전 등의 합병증을 예방한다.
투석 치료중, 또는 투석치료 후 저혈압이 발생하는 환자는 투석 치료하는 날 아침 혈압강하제를 복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예) adalat oros, amodipine, aprovel, zanidip, dilatrend 등
◎ 이뇨제
신기능 감소로 소변량이 감소되는 것을 막아 부종을 예방하여 심장과 신장의 부담을 감소시킨다. 하루 소변량이 200cc이상이면 이뇨제를 복용하는 것이 체중조절에 도움이 된다. 그러나 소변이 없을 경우에는 먹어도 약의 부작용만 커지게 되므로 주의 하여야 한다.
예) lasix, aldacton, torem, 자록소린 등
◎ 칼슘 및 인조절제
만성신부전의 경우, 신장을 통한 인의 배설이 감소되어 고인산혈증이 나타날 수 있다. 그러면 우리 몸은 평형유지를 위해 칼슘농도가 감소하여 저칼슘혈증이 생긴다. 이런 현상이 지속되면 뼈의 이상이 생기게 된다. 따라서 인결합제를 식중에 복용하여 섭취한 음식내의 인을 장에서 배설을 촉진 시키도록 하고, 칼슘은 식간에 복용하는것이 효과적이다.
예) 탄산칼슘(CaCo3), bonky, 암포젤, phoslo
◎ 철분제제
철분은 헤모글로빈을 구성하는 성분이며 철분부족으로 인한 빈혈이 있을 때 철분제를 복용해야한다. 특히 조혈호르몬을 주사하는 환자의 경우는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 철분제제를 복용해야 한다.
예) hemocontin
◎ 조혈호르몬제제
에리스로포이에틴은 신장에서 분비되는 조혈호르몬으로 만성신부전증 환자의 빈혈치료에 가장 효과적인 치료제이다. 헤모글로빈치 10g/㎗이하, 헤마토크릿치 30% 이하일 때만 일부 보험혜택을 받을수 있다.
경제적인 문제가 있어 충분한 양을 투여하기 힘들때에는 수혈을 할 수도 있으며 용량 조절은 검사 결과에 따라 주치의의 지시를 따르면 된다.
예) espogen, ananesp
◎ 칼륨저하제
신기능이 떨어지면 신장을 통한 칼륨의 배설이 감소되는데, 카리메트는 칼륨이 장으로 배설되는 것을 증가시켜 고칼륨혈증을 교정 및 예방한다.
◎ 항혈전제
혈관루 수술후에 혈관의 혈전형성을 방지하는 약제로서 바늘 삽입시 혈관파열을 막기위해 투석당일은 복용하지 않는 것이 원칙이나, 개인에 따라 다르므로 의사의 지시를 따르는 것이 좋다.
예) A-P 100, plavix
◎ 지질저하제
고지혈증이 지속되면 신장질환 진행이 가속화될 수 있으며, 심근경색이나 뇌졸중의 위험이 증가한다. 지질저하제는 몸에서 콜레스테롤이 생성되는 것을 차단하여 고지혈증을 예방한다.
예) lipitor, lipidil
◎ 요산 조절제
만성신부전의 경우 신장을 통한 요산 배설이 저하되어 고요산혈증이 나타날 수 있으며 심한 경우 통풍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알로퓨리놀은 체내에서 요산이 만들어 지는 것을 막아 요산수치를 정상화 시킨다.
◎ 영양제
투석 환자들이 부족해 지기 쉬운 수용성 비타민B,C,엽산을 보충해 주는 약
예) F-A, B-com
◎ 저혈압 예방제
투석 중에 흔히 발생하는 저혈압을 예방하기 위한 약물로서 투석 직전에 한 알 내지 두 알을 복용함.
예) resumic
Ⅴ. 투석치료
< 정의 >
투석은 확산, 삼투, 여과 작용에 의해 선택적 투과성을 지닌 반투막을 이용하여 신부전 대상자의 혈액 중에 쌓인 대사성 노폐물과 과다한 전해질 및 과잉 수분을 제거하는 방법이다.
이때 사용되는 반투막이란 현미경으로 볼 수 있을 만한 통로나 구멍을 가진 아주 단순한 물질로 된 얇은 판이나 관이다. 용매, 즉 물은 자유로히 통과하나 용질은 반투막의 구멍보다 작은 물질만 통과 가능하다. 혈액 투석시 사용되는 반투막은 인공신장기에 있는 투석기막이며 복막투석에서는 복강을 둘러싸고 있는 복막이 반투막으로 이용된다.
< 목적 >
① 혈액내 요소와 creatinine 등의 단백질 최종 대사산물과 체내의 과잉 수분을 제 거
② 전해질 및 산, 염기 균형을 조절
③ 고혈압 조절 및 빈혈상태 개선
④ 요독증상의 완화와 영양 상태의 호전을 통해 사회적 재활을 가능케하고
  • 가격2,000
  • 페이지수19페이지
  • 등록일2008.02.11
  • 저작시기2006.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4989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