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고혈압의 정의
2. 고혈압의 종류
3. 고혈압의 증상
4. 고혈압의 진단
5. 고혈압의 치료
6. 고혈압의 예방
2. 고혈압의 종류
3. 고혈압의 증상
4. 고혈압의 진단
5. 고혈압의 치료
6. 고혈압의 예방
본문내용
본이다.
체중 1Kg을 줄이려면 지방조직의 수분함량을 20%라고 할때 7,200Kcal를 소모해야 한다.
따라서 주당 1Kg,월 4Kg의 감량을 기대하려면 하루 1,000Kcal을 덜 먹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체중조절을 위한 감식요법은 남자 1,500 여자 1,200Kcal로 시작하는 것이 좋다.
실제로는 월2Kg정도 감량하는 것이 무난하며 식사요법을 오래 견디려면
하루 200-300Kcal를 더 주어 식사를 즐겁게 하고 그 만큼은 운동으로 소비하도록 한다.
식사의 영양소 구성은 당질 65%,단백질 15%, 지방질 20%가 바람직하다. 향신료는 식욕을 돋구므로 제한하는 것이 좋겠다.
[알콜제한]
과다한 음주자에게 고혈압의 위험이 증대하는 것은 분명하다.따라서 모든 고혈압환자는 알콜 섭취량을 하루 알콜30cc (소주 1/3병,맥주1.5병, 양주 2잔)이하로 줄이도록 한다.
(** 금주가 상책이나 부득이한 경우엔 천천히 그리고 요령껏 적게 마시되 안색이 변하거나 가슴이 뛰고 숨이차면 심장에 무리가 된다는 징조이니 그만 두는것이 좋으며 집에서 약간의 반주로 하는 정도는 무방하다)
[감염식]
중등도의 저염식으로 하루 소금 5mg 내외로 하려면 음식재료로 염분 함량이 극히 적은 것만 쓰고 조리시에 3mg의 소금을 쓸 수있다. 또 경도의 저염식으로 하루 10mg내외로 하려면 조리시에 식염함량이 17%인 간장 6-8mg을 쓸 수 있으나 식탁에서 여분의 간장이나 소금을 쓰면 안된다. 음식은 더울수록, 설탕을 많이 쓸수록 짠 맛이 덜 느껴지기 때문에
조리시 유의해야하며 식초의 사용량을 늘이면 간장을 줄일 수 있다. 양식에서는 식탁에서 별도로 소금을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8mg정도의 목표를 쉽게 달성하나 우리의 식사습관으로는 12mg정도로 줄이는 것이 밥맛을 잃지않는 최소한일 것이다.
식염의 제한은 하루 섭취총량이 문제이므로 한 두가지 조금 짠 음식을 먹었다고
큰일나는 것이 아니라 하루에 얼만큼의 소금이 며칠간이나 계속 들어갔느냐가 중요하다.
따라서 온 식구가 가급적 싱겁게 먹도록 협력해야 한다.
[운동]
운동요법에 대한 관심은 높으나 장기 치료법으로서의 임상적 평가는 아직 이르다. 역기나 밀기, 당기기 등 정적(등척성)운동은 고혈압 환자에게는 해롭다. 규칙적인 동적(등장성)운동이 강압효과가 있다고도 하나 고혈압의 발증을 예방한다는 근거는 없다. 다만 운동을 하고 신체적성이 큰 사람은 보다 건강한 생활태도 즉, 감염식과 절주, 스트레스에 대한 적은 반응 등은 고혈압 발증에 반하는 것이다. 더구나 정기적 동적 운동 프로그램은 체중 조절에 도움이 되며 따라서 주로 앉는 생활양식과 관련된 심혈관 위험을 줄이기 위해서도 운동은 권장할 만하다. 문제는 장기 치료법으로 계속여부와 운동 중 예측 못한 심발작을 예방할 수 있는가에 있다. 주의할 사항은 운동을 하면 오래 산다거나 어떤 병이 낫는다거나 하는 생각으로 자칫 무리하기 쉬우므로 따라서 힘에 겨운 것을 억지로 하는 수가 많아 사고를 일으키기 쉬우므로 주의 해야 한다. 운동의 장기 효
체중 1Kg을 줄이려면 지방조직의 수분함량을 20%라고 할때 7,200Kcal를 소모해야 한다.
따라서 주당 1Kg,월 4Kg의 감량을 기대하려면 하루 1,000Kcal을 덜 먹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체중조절을 위한 감식요법은 남자 1,500 여자 1,200Kcal로 시작하는 것이 좋다.
실제로는 월2Kg정도 감량하는 것이 무난하며 식사요법을 오래 견디려면
하루 200-300Kcal를 더 주어 식사를 즐겁게 하고 그 만큼은 운동으로 소비하도록 한다.
식사의 영양소 구성은 당질 65%,단백질 15%, 지방질 20%가 바람직하다. 향신료는 식욕을 돋구므로 제한하는 것이 좋겠다.
[알콜제한]
과다한 음주자에게 고혈압의 위험이 증대하는 것은 분명하다.따라서 모든 고혈압환자는 알콜 섭취량을 하루 알콜30cc (소주 1/3병,맥주1.5병, 양주 2잔)이하로 줄이도록 한다.
(** 금주가 상책이나 부득이한 경우엔 천천히 그리고 요령껏 적게 마시되 안색이 변하거나 가슴이 뛰고 숨이차면 심장에 무리가 된다는 징조이니 그만 두는것이 좋으며 집에서 약간의 반주로 하는 정도는 무방하다)
[감염식]
중등도의 저염식으로 하루 소금 5mg 내외로 하려면 음식재료로 염분 함량이 극히 적은 것만 쓰고 조리시에 3mg의 소금을 쓸 수있다. 또 경도의 저염식으로 하루 10mg내외로 하려면 조리시에 식염함량이 17%인 간장 6-8mg을 쓸 수 있으나 식탁에서 여분의 간장이나 소금을 쓰면 안된다. 음식은 더울수록, 설탕을 많이 쓸수록 짠 맛이 덜 느껴지기 때문에
조리시 유의해야하며 식초의 사용량을 늘이면 간장을 줄일 수 있다. 양식에서는 식탁에서 별도로 소금을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8mg정도의 목표를 쉽게 달성하나 우리의 식사습관으로는 12mg정도로 줄이는 것이 밥맛을 잃지않는 최소한일 것이다.
식염의 제한은 하루 섭취총량이 문제이므로 한 두가지 조금 짠 음식을 먹었다고
큰일나는 것이 아니라 하루에 얼만큼의 소금이 며칠간이나 계속 들어갔느냐가 중요하다.
따라서 온 식구가 가급적 싱겁게 먹도록 협력해야 한다.
[운동]
운동요법에 대한 관심은 높으나 장기 치료법으로서의 임상적 평가는 아직 이르다. 역기나 밀기, 당기기 등 정적(등척성)운동은 고혈압 환자에게는 해롭다. 규칙적인 동적(등장성)운동이 강압효과가 있다고도 하나 고혈압의 발증을 예방한다는 근거는 없다. 다만 운동을 하고 신체적성이 큰 사람은 보다 건강한 생활태도 즉, 감염식과 절주, 스트레스에 대한 적은 반응 등은 고혈압 발증에 반하는 것이다. 더구나 정기적 동적 운동 프로그램은 체중 조절에 도움이 되며 따라서 주로 앉는 생활양식과 관련된 심혈관 위험을 줄이기 위해서도 운동은 권장할 만하다. 문제는 장기 치료법으로 계속여부와 운동 중 예측 못한 심발작을 예방할 수 있는가에 있다. 주의할 사항은 운동을 하면 오래 산다거나 어떤 병이 낫는다거나 하는 생각으로 자칫 무리하기 쉬우므로 따라서 힘에 겨운 것을 억지로 하는 수가 많아 사고를 일으키기 쉬우므로 주의 해야 한다. 운동의 장기 효
추천자료
고혈압에 대하여
고혈압이란 무엇인가
[고혈압][심막염][부정맥][폐동맥혈전증][동맥경화증][심장천식][심장판막증]고혈압, 심막염,...
[뇌졸중][중풍]뇌졸중(중풍)의 개념, 뇌졸중(중풍)의 원인, 뇌졸중(중풍)의 종류, 뇌졸중(중...
[중풍][뇌졸중]중풍(뇌졸중)의 원인과 위험인자, 중풍(뇌졸중)의 종류, 중풍(뇌졸중)의 증상,...
고혈압의 원인과 운동처방
고혈압(Hypertension)
고혈압의 정의
고혈압 그리고 식사조절 과 나트륨의 관계
당뇨병과고혈압
고혈압ppt발표
고혈압에 대한 발표자료
[간호학논문][발반사마사지가 고혈압 환자의 혈압에 미치는 효과][고혈압환자 중재]
NSICU(신경외과중환자실) S-ICH on Lt B.G Spontaneous IntraCellural hemorrhage on Lt. Bas...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