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성별 대상어의 특성
2. 화용적 특성
3. 성차별 표현의 양상
3.1 여성 차별 표현
3.2 남성 차별 표현
3.3 동일 형식의 성차별 표현
3.4 대중문화를 통해 나타난 성별어의 변화양상
4. 결론
2. 화용적 특성
3. 성차별 표현의 양상
3.1 여성 차별 표현
3.2 남성 차별 표현
3.3 동일 형식의 성차별 표현
3.4 대중문화를 통해 나타난 성별어의 변화양상
4. 결론
본문내용
이성관을 갖는다.
3) 언어표현에 자신감이 결여된다.
4) 모순적, 양면적, 이중적 생활태도를 지닌다.
5) 자신감 결여로 사회적응을 두려워하게 된다.
⇒ 성차별적 표현은 추방되어야 한다.
3.4 대중문화를 통해 나타난 성별어의 변화양상
*** 드라마 부분 ***
① 사랑이 뭐길래 (1991)
가부장적인 아버지와 남편인 아버지(이순재), 현모양처지만 가끔 반항적인(?) 행동을 하는 어머니(김혜자)와 그의 아들 대발(최민수) 그리고 그에게 시집온 개방적인 아내(하희라)가 만들어 가는 한 가족의 좌충우돌 스토리. 극중 김혜자가 느끼는 여성 성차별에 대한 울분과 심경을 토로한 김국환의 ‘타타타’가 인기를 얻음.
② 아들과 딸(1992)
“아들과 딸” - 가부장적 이데올로기를 당연지사로 보는 것이 아닌 변화의 대상으로 본 최초의 드라마. 이 드라마의 가장 큰 영향은 곳곳에서 “남아선호사상”에 대한 논의를 펼치게 만들었다는 것. 딸만 있던 한 집안에 쌍둥이가 태어남 (男:귀남, 女 :후남) “후남”은 귀남을 위해서 많은 걸 포기하게 됨. 학창시절 귀남의 수학여행을 위해 자신의 수학여행은 포기해야 했고, 부모 몰래 대학시험을 치고 합격을 해도, 귀남이 대학에 떨어지자 인생을 가로 막는다며 구박을 받아야 했는데 이때 어머니는 이런 말을 한다. “내가 그럴줄 알았어. 나올 때부터 먼저 나오더니, 귀남이 앞길을 막지!”
③ 내이름은 김삼순(2005)
* 촌스러운 이름은 콤플렉스에 억눌린 현대인-자학에서 자존심회복으로 나아가는 드라마
* 자기 정체성에 대한 사랑이자 자신감으로 가득 찬 여자로 묘사
* 은어와 쌍말과 성질부리기-①잘난 척 하는 사장 현진헌에게 ‘미지왕같은게...’②헤어진 남자친구가 어이없는 소리를 하자 “너 지금 뭐라고 씨부렁거리는 거냐?” ③이 새끼 저 새끼는 기본이고, 이년 저년은 보통 ④현진헌의 옛 여자친구와의 첫 만남. 커피 잘 마셨다고 쪽지를 남겨둔 예쁜 글씨를 보고 삼순이가 칭찬하는 말. “얼굴도 이쁜 년이 글씨도 잘 써요.” ⑤뻑이가요~ 뻑이가~
* 전문 분야 여성으로서의 성실함과 능력 표출
*** 영화 부분 ***
① 싱글즈
남자에 종속되지 않고 자기 일을 갖고 사는 현대 여성의 모습이 드러난다. 극 중 나난(장진영)과 동미(엄정화)는 남자 후배나 친구, 직장상사에게도 거침없이 말한다. 여성의 언어에서도 적극적, 논리적인 특성이 나타난다. 직장에서 자기 의견을 논리적으로 말하기도 하고 부정한 직장 상사에게 “씨봉새야.” 욕을 하며 창피를 주기도 한다. 남자 후배에게 적극적으로 애정표현을 하며 장난치고 수동적이라는 여성의 언어 특성은 찾아보기 힘들다.
② 결혼은 미친 짓이다
21세기 젊은이들의 결혼관에 대해 나타낸 영화이다. 영화의 주인공 엄정화와 감우성은 서로 결혼관이 달라 결국 이들은 사랑하지만 결혼을 하지 않게 된다. 엄정화는 재력있는 의사와 결혼하고 감우성과도 사랑을 하는 이중 살림을 차린다. 이런 상황에서도 엄정화는 자신의 사랑에 대해 자신있게 말한다. “난 자신있어. 안들키고 사랑할 자신.” 이젠 여성들도 자신의 가치관에 대해 적극적으로 표현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4. 결론
위에서 알아본 성차이어, 성차별어는 계속해서 변화한다. 이런 언어들은 시대에 영향을 받는다. 가부장적 질서 속에서 커온 지금의 중장년층의 언어와 여권 신장과 남녀 평등 사상을 배운 지금 젊은 세대의 언어는 분명히 다르다. 그리고 앞으로의 세대와 또 다를 것이다. 계속 변화하는 시대의 흐름에 따라 남녀가 쓰는 언어도 변화하고 성별에 따른 언어 차이도 좁혀질 것이다. 언어 변화를 뚜렷이 관찰하려면 어느 정도의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꾸준히 관찰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3) 언어표현에 자신감이 결여된다.
4) 모순적, 양면적, 이중적 생활태도를 지닌다.
5) 자신감 결여로 사회적응을 두려워하게 된다.
⇒ 성차별적 표현은 추방되어야 한다.
3.4 대중문화를 통해 나타난 성별어의 변화양상
*** 드라마 부분 ***
① 사랑이 뭐길래 (1991)
가부장적인 아버지와 남편인 아버지(이순재), 현모양처지만 가끔 반항적인(?) 행동을 하는 어머니(김혜자)와 그의 아들 대발(최민수) 그리고 그에게 시집온 개방적인 아내(하희라)가 만들어 가는 한 가족의 좌충우돌 스토리. 극중 김혜자가 느끼는 여성 성차별에 대한 울분과 심경을 토로한 김국환의 ‘타타타’가 인기를 얻음.
② 아들과 딸(1992)
“아들과 딸” - 가부장적 이데올로기를 당연지사로 보는 것이 아닌 변화의 대상으로 본 최초의 드라마. 이 드라마의 가장 큰 영향은 곳곳에서 “남아선호사상”에 대한 논의를 펼치게 만들었다는 것. 딸만 있던 한 집안에 쌍둥이가 태어남 (男:귀남, 女 :후남) “후남”은 귀남을 위해서 많은 걸 포기하게 됨. 학창시절 귀남의 수학여행을 위해 자신의 수학여행은 포기해야 했고, 부모 몰래 대학시험을 치고 합격을 해도, 귀남이 대학에 떨어지자 인생을 가로 막는다며 구박을 받아야 했는데 이때 어머니는 이런 말을 한다. “내가 그럴줄 알았어. 나올 때부터 먼저 나오더니, 귀남이 앞길을 막지!”
③ 내이름은 김삼순(2005)
* 촌스러운 이름은 콤플렉스에 억눌린 현대인-자학에서 자존심회복으로 나아가는 드라마
* 자기 정체성에 대한 사랑이자 자신감으로 가득 찬 여자로 묘사
* 은어와 쌍말과 성질부리기-①잘난 척 하는 사장 현진헌에게 ‘미지왕같은게...’②헤어진 남자친구가 어이없는 소리를 하자 “너 지금 뭐라고 씨부렁거리는 거냐?” ③이 새끼 저 새끼는 기본이고, 이년 저년은 보통 ④현진헌의 옛 여자친구와의 첫 만남. 커피 잘 마셨다고 쪽지를 남겨둔 예쁜 글씨를 보고 삼순이가 칭찬하는 말. “얼굴도 이쁜 년이 글씨도 잘 써요.” ⑤뻑이가요~ 뻑이가~
* 전문 분야 여성으로서의 성실함과 능력 표출
*** 영화 부분 ***
① 싱글즈
남자에 종속되지 않고 자기 일을 갖고 사는 현대 여성의 모습이 드러난다. 극 중 나난(장진영)과 동미(엄정화)는 남자 후배나 친구, 직장상사에게도 거침없이 말한다. 여성의 언어에서도 적극적, 논리적인 특성이 나타난다. 직장에서 자기 의견을 논리적으로 말하기도 하고 부정한 직장 상사에게 “씨봉새야.” 욕을 하며 창피를 주기도 한다. 남자 후배에게 적극적으로 애정표현을 하며 장난치고 수동적이라는 여성의 언어 특성은 찾아보기 힘들다.
② 결혼은 미친 짓이다
21세기 젊은이들의 결혼관에 대해 나타낸 영화이다. 영화의 주인공 엄정화와 감우성은 서로 결혼관이 달라 결국 이들은 사랑하지만 결혼을 하지 않게 된다. 엄정화는 재력있는 의사와 결혼하고 감우성과도 사랑을 하는 이중 살림을 차린다. 이런 상황에서도 엄정화는 자신의 사랑에 대해 자신있게 말한다. “난 자신있어. 안들키고 사랑할 자신.” 이젠 여성들도 자신의 가치관에 대해 적극적으로 표현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4. 결론
위에서 알아본 성차이어, 성차별어는 계속해서 변화한다. 이런 언어들은 시대에 영향을 받는다. 가부장적 질서 속에서 커온 지금의 중장년층의 언어와 여권 신장과 남녀 평등 사상을 배운 지금 젊은 세대의 언어는 분명히 다르다. 그리고 앞으로의 세대와 또 다를 것이다. 계속 변화하는 시대의 흐름에 따라 남녀가 쓰는 언어도 변화하고 성별에 따른 언어 차이도 좁혀질 것이다. 언어 변화를 뚜렷이 관찰하려면 어느 정도의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꾸준히 관찰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추천자료
[여성학자료]여성교육에 있어서의 성차별문제의 연구(남녀문제)
여성 및 여성적글쓰기와 여성작가들에 대한 성차별주의적 문학
[성폭력][성폭력예방]성폭력의 유형, 요인과 실태 및 예방을 위한 교육 고찰(성폭력의 유형, ...
드라마 '아들과 딸'로 본 성차별
독일어에 나타난 성차별
대중매체(매스미디어) 책무성과 교육적 기능, 대중매체(매스미디어) 이론, 대중매체(매스미디...
[여성흡연] 우리나라 여성흡연에 대한 부정적 인식, 원인, 여성 성차별에 대한 고정관념시각 ...
신문, 잡지 등 인쇄매체와 영화, 드라마, 대중가요 등에 나타난 성역할 고정관념이나 성차별...
성차별. 여성차별. 남녀평등.남녀차별.성차별사례,젠더분석
군가산점,군가산점제도,남녀차별,남녀불평등.성차별사례
게임하는 여자를 바라보는 불편한 시선 (성차별문제, 성차별, 불평등)
현대사회신드롬_신드롬속성차별,성차별문제,남녀차별,현대사회의성차별
남녀차별_남녀불평등,성차별사례,남성화장품,화장의의미,남성의화장
[성고정관념] 성 고정관념 - 남성성과 여성성(성집중화현상, 성차별), 성역할 스트레스(남성...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