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 경제 정책의 현황 및 전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인도의 경제 현황
2. 인도의 경제 정책
3. 인도 경제의 강약점
4. 인도 경제의 성장 가능성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향후 지속적인 개혁개방 정책을 통해 중장기적으로 7~8%의 지속적인 성장을 추구
ㅇ 서비스/지식기반 산업의 중심국으로 부상 가능성
- 중국이 세계 제조업의 중심이라면 인도는 세계 지식기반 산업의 중심국으로 부상할 가능성
ㅇ 안정적인 경제 체제
- 개도국임에도 불구 3~4%대의 안정적인 물가, 약 1,300억불의 외환보유고, 안정된 은행시스템 등으로 안정된 경제기반 확보
- 세계 최대의 민주주의 국가로서 각종 국가정책의 수립.시행이 ‘느리지만 부작용이 없다는 강점
2) 인도 경제의 약점
ㅇ 열악한 사회간접자본(인프라 시설)
- 전력, 용수, 도로, 공항.항만 등 인프라 전반이 아직 취약
ㅇ 관료주의 및 공무원의 부패가 심각
- 행정 절차의 번잡성
- 2003년 국가 청렴도 지수(국제투명성기구 조사)에서 인도는 세계 83위로 브라질(54위), 중국(66위)보다 훨씬 뒤짐
* 러시아 86위
ㅇ 과다한 재정적자 및 대외부채
- GDP의 10%에 육박하는 재정적자 비율
(중앙정부 및 지방정부 부채 합산)
- 1,000억불을 넘는 대외부채
(2003년 총외채는 1,126억불로 GDP의 17.7%)
ㅇ 절대빈곤/극빈 계층 다수 존재
- 전체 인구의 25%가 기아선(poverty line) 이하의 극빈층으로 경제성장 및 재정에 부담
ㅇ 신분(카스트 제도) 및 종교적 갈등 상존
- 헌법에서는 폐지된 신분제도가 실생활에 여전히 상존, 힌두무슬림간에 내재된 종교적 갈등도 성장 저해 요인
ㅇ 파키스탄과의 국경 분쟁(케시미르 분쟁)
- 2002년 인도-파키스탄 대립시 각국 공관 및 기업주재원 철수, 케시미르 지역에서의 잦은 무력 충돌이 분쟁의 불씨로 작용
4. 인도 경제의 성장 가능성
1) 지식기반산업(IT) 분야
인도는 세계 지식기반산업의 중심국이다. 이처럼 인도의 IT 산업은 인도의 성장 동력으로서 소프트웨어 수출은 미국에 이어 세계 2위 (2003년 125억불)를 차지하였고 세계 IT 기업들의 인도 내 거점설치 지속하고 있다.
컨텐츠 개발, R&D센터, 고객관리, 지불(payment)관리, 인력개발 서비스, 금융, 인적자원서비스 등을 중심으로 인도 IT시장은 10년 뒤(2012년) 1,500억불 시장으로 부상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2004년 KPMG 전망 보고서 중 발췌)
이러한 인도 IT 분야의 성장은 매년 35%의 고속 성장을 이어갈 것으로 전망된다.
현재까지 인도의 IT산업은 에플리케이션 개발, 유지관리 등이 주축을 이루고 있으나, 향후 고객관리, 지불 관리, 인적 자원 관리 등의 부문이 성장을 주도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2) 생명공학(BT) 분야
제약 등 생명공학(BT) 분야에서 인도의 잠재력을 살펴보면 미국 FDA에 등록된 제품 수에서 인도는 미국 외에 최다 등록국가이다. 2003년 의약품 분야 FDA 등록건수, 인도는 126건을 등록하여 미국을 제외한 국가가운데 최다 등록국가로 기록되고 있다.
또한, 세계 의약품시장에서 인도는 세계전체 생산량의 8%를 차지하여 세계 4위국가를 차지하고 있다. 인도의 BT산업의 잠재력을 살펴보면, 매년 대학원 졸업생 70만명, 박사인력 3,000명을 배출하여 엘리트 인력을 확보하고 있고 축적된 기초과학 지식을 보유하고 있으며 풍부한 동식물 종을 보유(세계 포유동물종의 7.6%, 조류의 12.6%, 어류의 11.7%, 꽃식물종의 6%)하고 있다.
인도의 주요 BT 분야는 다음과 같다.
구분
내용
비 고
의약품
인슐린, 바이러스 억제물질, 적혈구 생성물질, 혈액응고 물질 등
농업 및 식물
유전자 조작을 통한 연료, 섬유, 식량, 의약품 개발
기타
계약 조사 연구
3) 우주 항공 분야
인도는 우주항공 등 여타 분야에서도 풍부한 기초과학 기술 보유하여 1960~70년대에 제트기 생산, 핵실험 성공, 인공위성 발사 등을 성공하였으며, 2003년 세계경쟁력보고서는 과학자/엔지니어 조달 용이성‘에서 인도를 세계 1위국으로 평가하고 있다.
Ⅲ. 결 론
인도의 경제 구조를 살펴보면 인도의 주요 경제 성장률은 농업(몬순)에 의해 좌우되어 농업 생산의 증가는 인도의 GDP성장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반면에 인도는 제조업 비중이 상대적으로 낮은 경제 구조이자만, 최근에 제조업의 성장률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추이를 보이고 있다.
인도 최근의 집권 정부(UPA)의 경제 정책은 공산당과 협력하여 하류 계층의 지원과 분배에 주력하면서 개혁과 개방을 유도하고 있다. 이러한 ‘분배’정책은 정부 재정적자를 더욱 악화시킬 가능성과 연정세력인 공산당에 의해 개혁과 개방 정책에 발목을 잡힐 우려가 있었지만 현 정부 집권이후의 관세 인하, 외국인투자(FDI) 확대, 자유무역협정(FTA) 등과 같은 개혁개방 정책을 가속화하면서 인도의 주가 지수(BSE Sensex)가 최고치를 상회하면서, 인도 정부의 성장과 개혁개방정책에 대한 의구심은 완전 해소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경제 성장력의 원동력은 지식기반산업(IT)분야와 생명공학(BT) 분야를 주축으로한 기술력이다. 이러한 기술력을 통해 향후의 인도 경제는 무한한 성장 가능성을 지니며 꾸준한 경제 부흥이 일어나게 될 것으로 사료된다.
인도의 경제 성장을 위해서는 최대의 걸림돌인 인프라 개발을 위해 향후에 대대적인 투자를 유치하고 투자환경 개선에 주력해야 할 것이다. 또한, 개발 도상국으로서 도약하는 인도의 경제 성장을 위한 우리나라의 투자도 기대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인도 경제의 이해, 박종수, 경상대학교 출판부
인도를 읽는다, 사카키바라에이스케 외 지음, 황금나침반
내가 알고 싶은 인도, 백좌흠 이광수 김경학, 한길사
인도 투자 가이드, 신한종합연구소
인도 투자 전략, 일본무역진흥회(스즈키 고지), FIDI
외환관리, 경문사
세계경제 10월호, 1999, pp.89-99
한국경제의 새로운 미래 BRICs, 2005, 현대 경제 연구원
http://www.embkoreain.org/ko/index_ko.htm (인도대사관 홈페이지)
http://www.donga.com/docs/dict/stock.html(경제용어 사전)
http://www.koreaexim.go.kr
http://lias sun.ac.kr
  • 가격1,5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8.02.14
  • 저작시기2008.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5092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