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목 차 ★
Ⅰ. 통합교육의 정의
Ⅱ. 통합교육의 배경
Ⅲ. 통합교육과 분리교육의 장.단점
Ⅳ. 통합교육의 당위성
Ⅴ. 통합교육의 조건
Ⅵ. 통합교육의 유형과 방법
Ⅶ. 통합교육의 효과
Ⅷ. 통합교육의 현황
Ⅸ. 통합교육의 문제점
Ⅹ. 통합교육의 해결방안
Ⅺ. 결론
*참고자료
관련기사 - 1) 통합교육의 현실
2) 통합교육의 효과
3) 통합교육의 성공사례
4) 통합교육을 위한 국가적 지지
Ⅰ. 통합교육의 정의
Ⅱ. 통합교육의 배경
Ⅲ. 통합교육과 분리교육의 장.단점
Ⅳ. 통합교육의 당위성
Ⅴ. 통합교육의 조건
Ⅵ. 통합교육의 유형과 방법
Ⅶ. 통합교육의 효과
Ⅷ. 통합교육의 현황
Ⅸ. 통합교육의 문제점
Ⅹ. 통합교육의 해결방안
Ⅺ. 결론
*참고자료
관련기사 - 1) 통합교육의 현실
2) 통합교육의 효과
3) 통합교육의 성공사례
4) 통합교육을 위한 국가적 지지
본문내용
합교육 여건미비로 차별사례 빈발
- ’06년 통합교육을 받는 특수교육 대상학생 중 특수교육보조원 수요가 3,270명이며,
현재 배치된 보조원은 1,843명임(배치율 56.4%)
- 통합학급 교원 26,469명 중 60시간 이상 특수교육관련 연수이수자 5,310명(이수율 20%)
- 4,171개 특수학급 설치학교 중 1,050개 학교에 장애인 편의시설 미설치(설치율 78.2%)
2. 특수교육 대상학생 현황
구 분
특수학교
일 반 학 교
계
특수학급
일반학급
특수교육 대상학생
23,291
32,506
6,741
62,538
학
생
수
장
애
영
역
별
시각장애
1,504
252
146
1,902
청각장애
1,526
728
552
2,806
정신지체
14,099
17,309
2,550
33,958
지체부자유
3,039
2,543
1,375
6,957
정서장애
3,054
4,797
1,001
8,852
언어장애
23
127
151
301
학 습 장 애
0
6,131
607
6,738
건강장애
46
619
359
1,024
계
23,291
32,506
6,741
62,538
과
정
별
유치원
1,114
538
1,591
3,243
초등학교
8,203
21,700
2,360
32,263
중학교
6,246
6,598
1,128
13,972
고등학교
7,728
3,670
1,662
13,060
계
23,291
32,506
6,741
62,538
학 교 수
143
4,171
3,347
7,661
학 급 수
3,166
5,204
5,763
14,133
특수학교(급)교원수
5,911
5,348
-
11,259
특수교육보조원 배치수
1,516
3,074
569
5,159
3. 특수학급 및 통합학교 현황
<특수학급 현황>
과 정 별
학급수
학교수
학생수
교원수
비 고
유 치 원
151
130
538
151
초등학교
3,645
2,930
21,700
3,645
중 학 교
986
831
6,598
1,046
고등학교
422
280
3,670
506
계
5,204
4,171
32,506
5,348
3,645
70.0%
특수학급수
986
계:5,204
19.0%
422
151
8.1%
2.9%
유치원
초등학교
중 학 교
고등학교
<통합학급 현황>
학 교 급
학 교 수
학 급 수
학 생 수
유 치 원
1,013
1,270
1,591
초등학교
1,072
2,075
2,360
중 학 교
520
885
1,128
고등학교
742
1,533
1,662
계
3,347
5,763
6,741
4. 특수학교수 및 특수학급 변화 추이
- 최근 장애학생의 통합교육 확산으로 특수학교 수는 크게 증가하지 않으나, 특수학급은 계속 늘어나는 추세임
- 특수학교(급)의 신증설로 인하여 특수교육 수혜율이 증가
* 특수학급 : (’05) 4,697학급 → (’06) 5,204학급 507학급 증설↑
* 특수교육 수혜율 : (’02)51.1% → (’03)53.6% → (’04)58.1% → (’05)62.5% → (’06)70.2%
<특수교육 변화 추이> (교,학급,명)
구분
’98
’99
’00
’01
’02
’03
’04
’05(A)
’06(B)
B-A
특수학교수
118
123
129
134
136
137
141
142
143
1
특수학급수
3,728
3,764
3,802
3,846
3,953
4,102
4,366
4,697
5,204
507
학
생
수
계
48,518
50,270
54,732
53,896
54,470
53,404
55,374
58,362
62,538
4,176
유치원
1,416
1,646
1,745
1,765
1,809
1,932
2,677
3,057
3,243
186
초등학교
30,549
31,322
33,936
32,178
32,006
30,838
30,329
31,064
32,263
1,199
중학교
10,143
10,178
10,968
11,086
11,356
11,055
11,326
12,493
13,972
1,479
고등학교
6,410
7,124
8,083
8,867
9,299
9,579
11,042
11,748
13,060
1,312
교원수
6,143
6,509
8,201
8,376
8,695
9,175
9,846
10,429
11,259
830
※ 특수교육 대상학생 : 장애학생 중 특수교육 대상자로 선정되어 특수학교, 특수학급, 통합학급에 재학하고 있는 학생을 의미함
<자료출처 : 교육인적자원부 특수교육정책과 2006.08.29 보도자료>
Ⅸ. 통합교육의 문제점
1. 조기통합교육의 현안
우리 사회가 장애와 비장애의 장벽을 허물고 통합사회로 나아가기 위해 가장 근간이 되는 것이 \'통합교육\'이라면 이 통합교육의 시발점은 아동이 가정을 떠나 집단생활에 발을 딛기 시작할 때부터 이루어지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고 바람직할 수 있는 것이다. 그렇기에 유치원, 어린이집 등 영유아보육시설이나 교육시설에서의 통합이 가장 기본적이고 중요하다 할 수 있으며, 이 시기부터의 아주 자연스럽게 통합이 이루어진다면 차후 아동이 성장하면서도 장애아동과 비장애아동의 통합사회는 우리 부모들이 현재 바라보는 시각보다 훨씬 진보할 수 있다. 그러나 조기교육에서부터의 통합의 중요성을 교육현장이나 부모들 모두 알고는 있지만 현재 조기교육기관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통합은 극히 저조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현재 장애아동들이 이용하는 서비스 기관 중 치료교실이나 복지관내 조기교실은 특별한 서비스를 요하는 곳이므로 통합/ 비통합 여부의 논의는 불필요하다 할 수 있다. 하지만 다른 영유아보육시설이나 특수학교, 그리고 일반 초, 중 고등학교에서의 분리 정책이 무상교육을 제공하기 위한 행정편의를 위한 정책일 수는 있으나 가장 중요한 시기에 통합을 무상교육을 위해 저해할 수는 없는 것이다.
2. 초중고 통합교육의 현안
(1) 통합교육에 대한 사회인식과 자세
□ 사례 1
성명 : 김정현(가명), 10세, 남 학년 : 초등학교 3학년 장애유형: 다운증후군
입학식 다음 날 원반 선생님이 \'안 맡겠다\'며 아이를 노골적으로 차별하기 시작했으며, 아이가 이상행동을 하자 원반 학생들에게 일제히 아이를 쳐다보게 한 후 \'나가\' 라고 소리치며 복도 밖으로
- ’06년 통합교육을 받는 특수교육 대상학생 중 특수교육보조원 수요가 3,270명이며,
현재 배치된 보조원은 1,843명임(배치율 56.4%)
- 통합학급 교원 26,469명 중 60시간 이상 특수교육관련 연수이수자 5,310명(이수율 20%)
- 4,171개 특수학급 설치학교 중 1,050개 학교에 장애인 편의시설 미설치(설치율 78.2%)
2. 특수교육 대상학생 현황
구 분
특수학교
일 반 학 교
계
특수학급
일반학급
특수교육 대상학생
23,291
32,506
6,741
62,538
학
생
수
장
애
영
역
별
시각장애
1,504
252
146
1,902
청각장애
1,526
728
552
2,806
정신지체
14,099
17,309
2,550
33,958
지체부자유
3,039
2,543
1,375
6,957
정서장애
3,054
4,797
1,001
8,852
언어장애
23
127
151
301
학 습 장 애
0
6,131
607
6,738
건강장애
46
619
359
1,024
계
23,291
32,506
6,741
62,538
과
정
별
유치원
1,114
538
1,591
3,243
초등학교
8,203
21,700
2,360
32,263
중학교
6,246
6,598
1,128
13,972
고등학교
7,728
3,670
1,662
13,060
계
23,291
32,506
6,741
62,538
학 교 수
143
4,171
3,347
7,661
학 급 수
3,166
5,204
5,763
14,133
특수학교(급)교원수
5,911
5,348
-
11,259
특수교육보조원 배치수
1,516
3,074
569
5,159
3. 특수학급 및 통합학교 현황
<특수학급 현황>
과 정 별
학급수
학교수
학생수
교원수
비 고
유 치 원
151
130
538
151
초등학교
3,645
2,930
21,700
3,645
중 학 교
986
831
6,598
1,046
고등학교
422
280
3,670
506
계
5,204
4,171
32,506
5,348
3,645
70.0%
특수학급수
986
계:5,204
19.0%
422
151
8.1%
2.9%
유치원
초등학교
중 학 교
고등학교
<통합학급 현황>
학 교 급
학 교 수
학 급 수
학 생 수
유 치 원
1,013
1,270
1,591
초등학교
1,072
2,075
2,360
중 학 교
520
885
1,128
고등학교
742
1,533
1,662
계
3,347
5,763
6,741
4. 특수학교수 및 특수학급 변화 추이
- 최근 장애학생의 통합교육 확산으로 특수학교 수는 크게 증가하지 않으나, 특수학급은 계속 늘어나는 추세임
- 특수학교(급)의 신증설로 인하여 특수교육 수혜율이 증가
* 특수학급 : (’05) 4,697학급 → (’06) 5,204학급 507학급 증설↑
* 특수교육 수혜율 : (’02)51.1% → (’03)53.6% → (’04)58.1% → (’05)62.5% → (’06)70.2%
<특수교육 변화 추이> (교,학급,명)
구분
’98
’99
’00
’01
’02
’03
’04
’05(A)
’06(B)
B-A
특수학교수
118
123
129
134
136
137
141
142
143
1
특수학급수
3,728
3,764
3,802
3,846
3,953
4,102
4,366
4,697
5,204
507
학
생
수
계
48,518
50,270
54,732
53,896
54,470
53,404
55,374
58,362
62,538
4,176
유치원
1,416
1,646
1,745
1,765
1,809
1,932
2,677
3,057
3,243
186
초등학교
30,549
31,322
33,936
32,178
32,006
30,838
30,329
31,064
32,263
1,199
중학교
10,143
10,178
10,968
11,086
11,356
11,055
11,326
12,493
13,972
1,479
고등학교
6,410
7,124
8,083
8,867
9,299
9,579
11,042
11,748
13,060
1,312
교원수
6,143
6,509
8,201
8,376
8,695
9,175
9,846
10,429
11,259
830
※ 특수교육 대상학생 : 장애학생 중 특수교육 대상자로 선정되어 특수학교, 특수학급, 통합학급에 재학하고 있는 학생을 의미함
<자료출처 : 교육인적자원부 특수교육정책과 2006.08.29 보도자료>
Ⅸ. 통합교육의 문제점
1. 조기통합교육의 현안
우리 사회가 장애와 비장애의 장벽을 허물고 통합사회로 나아가기 위해 가장 근간이 되는 것이 \'통합교육\'이라면 이 통합교육의 시발점은 아동이 가정을 떠나 집단생활에 발을 딛기 시작할 때부터 이루어지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고 바람직할 수 있는 것이다. 그렇기에 유치원, 어린이집 등 영유아보육시설이나 교육시설에서의 통합이 가장 기본적이고 중요하다 할 수 있으며, 이 시기부터의 아주 자연스럽게 통합이 이루어진다면 차후 아동이 성장하면서도 장애아동과 비장애아동의 통합사회는 우리 부모들이 현재 바라보는 시각보다 훨씬 진보할 수 있다. 그러나 조기교육에서부터의 통합의 중요성을 교육현장이나 부모들 모두 알고는 있지만 현재 조기교육기관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통합은 극히 저조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현재 장애아동들이 이용하는 서비스 기관 중 치료교실이나 복지관내 조기교실은 특별한 서비스를 요하는 곳이므로 통합/ 비통합 여부의 논의는 불필요하다 할 수 있다. 하지만 다른 영유아보육시설이나 특수학교, 그리고 일반 초, 중 고등학교에서의 분리 정책이 무상교육을 제공하기 위한 행정편의를 위한 정책일 수는 있으나 가장 중요한 시기에 통합을 무상교육을 위해 저해할 수는 없는 것이다.
2. 초중고 통합교육의 현안
(1) 통합교육에 대한 사회인식과 자세
□ 사례 1
성명 : 김정현(가명), 10세, 남 학년 : 초등학교 3학년 장애유형: 다운증후군
입학식 다음 날 원반 선생님이 \'안 맡겠다\'며 아이를 노골적으로 차별하기 시작했으며, 아이가 이상행동을 하자 원반 학생들에게 일제히 아이를 쳐다보게 한 후 \'나가\' 라고 소리치며 복도 밖으로
추천자료
장애아동교육
청각 장애아동의교육
[지적장애아동특수교육] 정신지체아 특수교육,장애아동 교육의 중요성,특수교육의 목적,정신...
장애아동(특수아동)의 교육, 언어장애아동의 교육, 학습장애아동의 교육, 발달장애아동의 교...
장애아동(특수아동)의 정의, 분류, 특성 및 언어장애아동의 교육, 시각장애아동의 교육, 정신...
장애인통합교육의 개념, 장애인통합교육의 목표, 장애인통합교육의 성공요건과 교육전략, 장...
장애아동학습계획안.장애아동교육지도안,종이로 만들어진 물체 알아보기 교수학습과정안
통합교육(장애인통합교육)의 개념과 배경, 통합교육(장애인통합교육)의 필요성과 효과, 통합...
장애아동교육과지도방법
장애인통합교육의 개념, 장애인통합교육의 배경과 장애인통합교육의 준비, 장애인통합교육의 ...
학습장애아동의이해와교육요약(5~9장)
특수교육의 이해, 학습장애아동교육, 학습장애 아동 정의 특성 교육,학습장애 교육의 역사,학...
일반교사로서 일반학급에 장애아동교육 중 가장 우선 시 해야 할 것이 무엇인지 본인의 의견...
시각청각장애아동의교육, 시각장애, 시각장애아동의특성, 시각장애아동의교육, 청각장애, 청...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