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장로교회의 1차분열과 통합과정에서의 길버트테넌트의 역할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서론

Ⅱ.본론
1. 미국 장로교회의 갈등의 기초가 된 서명 논쟁
2. 테넌트가의 장로교 내의 부흥운동
3. 테넌트로 인한 분열의 과정
4. 구파와 신파의 분리
5. 구파와 신파의 재통합

Ⅲ.결론

본문내용

후, 양측은 양측 대표들이 작성한 통일안을 채택했다. 여기서 문제가 된 것은 ① 필라델피아 대회가 1741년에 받아들였던 테넌트파에 대한 항의였고, ② “신앙의 본질적이고 필수적인 조항”이라는 문구에 대한 일치하지 않는 해석이었다.
중복되어 소속되어 있는 노회들을 재조직하기 위해서도 두 대회가 재결합해야만 했는데 이러한 난점들은 1758년의 결합 계획에 의해 모두 조정되었으나 첫 번째 문제는 매우 가슴 아픈 것이었다. 이 문제는 논의된 항의를 대회 전체의 공적 행위라기보다는 테넌트파를 받아들일 것에 서명한 개개 회원의 사적 행위로서 간주하도록 하는 필라델피아 대회의 동의에 의해 해결되었다. 두 번째 문제는 필라델피아 대회에 양보되었는데 이후로는 교회에 들어올 목사는 논의의 여지가 많은 “본질적이고 필수적인 조항”이라는 문구를 뺀 신앙고백서에 서명해야만 한다고 했다. 또한 뉴욕 대회는 테넌트파는 양보하기를 목사들이 다른 회중에 초대받지 않을 것을 강요하지 못한다는 것에 대해 인정했고 또한 교회 임원들의 권위에 대해 더 큰 존경을 인정했다. 이로서 뉴욕 및 필라델피아 대회(the Synod of New York and Philadelphia)가 탄생했다. 타협안은 하나님의 사역으로 대각성 운동을 승인함과 동시에 부흥의 과도한 측면도 인정했다. 타협안은 웨스트민스터 표준을 받아들이는데 약간의 여유를 허용했으며, 안수권은 노회에 있다는 견해를 받아들였다. Ibid., p.52.
Ⅲ.결론
지금까지 살펴본 것 같이 미국장로교회 내의 부흥운동에 가장 영향을 미친 사람은 길버트 테넌트이다. 그는 신앙과 열정으로 출신 지역을 넘어 신대륙 전체에 널리 알려진 전형적인 인물이다. 그로 인해 장로교내에서는 큰 각성운동이 일어나게 되었다.
또한 그의 열정과 열심으로 인해 신파와 구파가 나눠지는 아픔을 겪게 된다. 찰스 핫지가 주장하는 것처럼 단순히 테넌트가 지나친 열심만을 강조하고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을 무시한 자인지는 깊은 연구가 있어야 하겠다. 하진만 여전히 그의 과격한 설교와 행동이 분열을 초래했음은 누구도 부인하지 못할 것이다.
하지만 하나님의 섭리적 차원에서 테넌트를 비롯한, 조지 휫필드, 조나단 에드워즈의 1차 대각성운동을 통해 이들은 전국의 종교를 하나로 묶어주는 가교 역할을 했던 것은 틀림없다. 종교적인 측면에서 하나로 연결됨으로써 미국각성운동은 직접적이든 간접적이든 미국독립 정치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치게 된다.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8.02.15
  • 저작시기2007.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5108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