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성숙도 사정(Maturity Rate)
-고위험 신생아의 특수 간호-
- 고위험 신생아 현황판 정리 -
-미숙아 특수질환 및 sick baby질환-
-고위험 신생아의 특수한 진단적 검사 및 치료-
- 고위험 신생아에게 사용되는 약물-
*참고문헌*
-고위험 신생아의 특수 간호-
- 고위험 신생아 현황판 정리 -
-미숙아 특수질환 및 sick baby질환-
-고위험 신생아의 특수한 진단적 검사 및 치료-
- 고위험 신생아에게 사용되는 약물-
*참고문헌*
본문내용
호흡 증상이 자주 나타난다. 또한 호흡곤란으로 인하여 장기간 인공 호흡기를 사용함으로써 폐의 만성적인 이상 형성을 초래하기도 한다. 그러므로 아기들의 적절한 호흡 기능 유지를 위하여 신생아 중환자실에서 여러 기계로 계속적이고 집중적인 감시와 치료가 필요하다.
③ 두개내 출혈
미숙아에 있어서 가장 심한 합병증 중의 하나는 두개내 출혈이다.
두개내 출혈의 원인은 뇌혈관과 주위 조직의 발달 부족, 저산소증 그리고 뇌의 자동조절 기능의 부족으로 발생되는 것으로 추측되고 있습니다. 진단은 머리 초음파 검사나 컴퓨터 촬영등으로 이루어지며 출혈 정도와 부위에 따라 신경학적인 예후와 관리 방법이 달라지므로 계속적인 추후 관찰이 요구된다.
④ 황달
미숙아는 만삭아에 비해서 간 기능의 미성숙으로 황달이 더 많이 발생된다.
황달은 신경학적인 후유증을 남길 수 있으므로 증상이 나타나면 적절한 치료가 요구된다.
⑤ 위장 관계
미숙아는 위의 용적이 적고 장 운동이 느리며 소화 기능도 미숙하여 수유 초기에 각별한 주의를 해야 한다. 임신 34주 이하의 미숙아들은 튜브를 통해서 영양공급을 해야 하는데, 특히 32주 이하의 미숙아는 괴사성 장염등의 합병증이 잘 오므로 수유와 관련된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⑥ 비뇨기계
미숙아는 콩팥 기능이 불완전하여 혈액을 통해 운반되어온 노폐물을 걸러내는 기능이 미숙 할 뿐 아니라 노폐물들 중 우리 몸에 유용한 영양소를 재 흡수하는 능력도 떨어져 있다. 따라서 소변량, 소변 성분, 뇨비중등이 관찰되어야 하며 수액 주입이나 체액 성분의 균형에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⑦ 감염
임신 말기에 엄마로부터 면역 물질을 충분히 전달받지 못했고, 면역 기능이 불완전하여 국소 감염이 전신적으로 퍼질 위험이 높다. 또 아기의 치료를 위해서 각종 시술과 처치를 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 세균들이 체내에 침입될 기회가 많아집니다. 그러므로 감염으로부터 아기를 보호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⑧ 영양
일반적으로 신생아들은 태어나기 전 마지막 3개월간에 많은 영양분이 몸에 저장되는데 미숙아는 이 기간을 채우지 못하고 태어나므로 여러가지 영양분이 부족한 상태이다. 또 출생 후에도 호흡 곤란이나 괴사성 장염, 위장관 미숙 그리고 각종 소화효소 부족으로 영양 공급이 잘 되지 않아서 체중 증가에 어려움이 많다. 아기들은 출생 후 얼마동안 정상적으로 생리적 체중 감소가 있는데 미숙아 경우는 만삭아보다 더 심하며 상태가 나쁠수록 적절한 영양보충이 어렵기 때문에 체중 감소가 많다.
⑨ 출혈성 경향과 빈혈
미숙아는 간 기능이 미숙하고 감염 조절이 어려우며 잦은 시술과 처치로 출혈성 경향 이 높아집니다. 또한 적절한 영양 공급(특히 비타민과 무기질)이 어렵고 아기의 치료를 위해 서 혈액 검사를 자주하게 되므로 빈혈이 올 수 있습니다.
⑩ 미숙아 망막증
미숙아는 호흡곤란 증상 때문에 불가피하게 고농도의 산소나 인공 호흡기 치료를 받게 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아기들 중에서 고농도의 산소가 발육 도중에 있는 망막의 혈관을 변화시켜서 시력에 손상을 주는 미숙아 망막증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므로 산소 치료를 받았던 미숙아들은 생후 4-6주경에 안과 검사를 받아서 이상 유무를 확인하고 미숙아 망막증의 정도에 따라 추후 관찰 및 치료가 필요하다.
-고위험 신생아의 특수한 진단적 검사 및 치료-
1. 페니알라린 선별 검사
phenylketonuria(PKU)의 진단을 내리기 위한 선별 검사이다.
PKU환아는 출생시 phenylalanine치는 정상이나 모유나 우유섭취후 간에서 phenylalanine을 tyrosine으로 전환시켜 주는 효소의 결핍으로 그 수준이 상승된다.
모유나 우유 섭취 후 3일이 지난 다음에 검사하는 것이 정확한 결과를 볼수 있다.
(1)검사 목적
PKU환아를 선별 한다.
(2)검사절차
①heelstick으로 발뒤꿈치에서 3방울의 혈액을 filter paper에 떨어 뜨린다.
②검사지에 환아 성명, 출생 년 월일, 수유시작 날짜를 기록하여 검사실로 보낸다.
(3)검사결과
음성은 페니알라닌 수준이 정상임을 의미한다.(2mg/dl이하)
(4)검사결과의 의미
①positive는 filter paperdp 있는 B. subtilis 가 성장한 것으로 phenylalanine 수준이 너무 높아서 phenylalanine 길항물질 작용을 이겨낸 것으로 PKU의 가능 성을 암시하므로 phenylalanine level의 정확한 검사와 소변 검사를 해야한다.
②간질환, 갈락토스혈증, 효소장에 시에도 positive로 나타난다.
(5)영향 요인
3일 이상 수유하지 않고 시행한 검사결과는 음성으로 나올 수 있다.
◈페닐 케톤 뇨증 의 치료 및 간호 :
페닐케톤 뇨증의 치료는 식이요법이나 phenylalanine은 성장에 필수적인 아미노산이므로 식이요법식 다음과 같은 2가지 기준을 충족시켜야 한다.
→아동의 적절한 성장에 필요한 영양공급이 되어야 한다.
→안전한 수준 이내의 혈중 phenylalanine이 유지되어야 한다.
간호는
-가족에게 질환에 대한 이해와 질환의 경과에 대한 설명을 제공한다.
-가족 중, 특히 어머니에게 식이요법을 교육한다. 채소, 과일, 주스, 일부 곡류, 빵 등 저 phenylalanine 식품을 소개 한다. 인공 감미료 중 아스타팜을 체내에서 phenylalanine으로 전환되므로 피한다. 특히 특수 조제분유는 독특한 맛과 냄새로 인해 어려움이 있으므로, 코코아나 콜라 등과 혼합하여 주어도 된다.
-이러한 유전 질환을 가지고 있는 가족에게
2.혈청 빌리루빈
혈청bilirubin은 세망내피계에서 처리된 헤모글로빈에서 유래된다. 이때 생성된 bilirubin은 간접bilirubin으로 albumin과 결합하여 간으로 보내어 진다.
간접bilirubin은 간세포에서 giucuronyl transferase에 의해 glucuronic acid포함을 받아 직접bilirubin으로 전환되어 담즙 중으로 배설 된다.
bilirubin의 배설은 간담도계의 기능 과 RBC의 파괴율에 따른다.
총 bilirubin과 간접bilirubin, 직접bilirubin 측정은
③ 두개내 출혈
미숙아에 있어서 가장 심한 합병증 중의 하나는 두개내 출혈이다.
두개내 출혈의 원인은 뇌혈관과 주위 조직의 발달 부족, 저산소증 그리고 뇌의 자동조절 기능의 부족으로 발생되는 것으로 추측되고 있습니다. 진단은 머리 초음파 검사나 컴퓨터 촬영등으로 이루어지며 출혈 정도와 부위에 따라 신경학적인 예후와 관리 방법이 달라지므로 계속적인 추후 관찰이 요구된다.
④ 황달
미숙아는 만삭아에 비해서 간 기능의 미성숙으로 황달이 더 많이 발생된다.
황달은 신경학적인 후유증을 남길 수 있으므로 증상이 나타나면 적절한 치료가 요구된다.
⑤ 위장 관계
미숙아는 위의 용적이 적고 장 운동이 느리며 소화 기능도 미숙하여 수유 초기에 각별한 주의를 해야 한다. 임신 34주 이하의 미숙아들은 튜브를 통해서 영양공급을 해야 하는데, 특히 32주 이하의 미숙아는 괴사성 장염등의 합병증이 잘 오므로 수유와 관련된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⑥ 비뇨기계
미숙아는 콩팥 기능이 불완전하여 혈액을 통해 운반되어온 노폐물을 걸러내는 기능이 미숙 할 뿐 아니라 노폐물들 중 우리 몸에 유용한 영양소를 재 흡수하는 능력도 떨어져 있다. 따라서 소변량, 소변 성분, 뇨비중등이 관찰되어야 하며 수액 주입이나 체액 성분의 균형에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⑦ 감염
임신 말기에 엄마로부터 면역 물질을 충분히 전달받지 못했고, 면역 기능이 불완전하여 국소 감염이 전신적으로 퍼질 위험이 높다. 또 아기의 치료를 위해서 각종 시술과 처치를 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 세균들이 체내에 침입될 기회가 많아집니다. 그러므로 감염으로부터 아기를 보호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⑧ 영양
일반적으로 신생아들은 태어나기 전 마지막 3개월간에 많은 영양분이 몸에 저장되는데 미숙아는 이 기간을 채우지 못하고 태어나므로 여러가지 영양분이 부족한 상태이다. 또 출생 후에도 호흡 곤란이나 괴사성 장염, 위장관 미숙 그리고 각종 소화효소 부족으로 영양 공급이 잘 되지 않아서 체중 증가에 어려움이 많다. 아기들은 출생 후 얼마동안 정상적으로 생리적 체중 감소가 있는데 미숙아 경우는 만삭아보다 더 심하며 상태가 나쁠수록 적절한 영양보충이 어렵기 때문에 체중 감소가 많다.
⑨ 출혈성 경향과 빈혈
미숙아는 간 기능이 미숙하고 감염 조절이 어려우며 잦은 시술과 처치로 출혈성 경향 이 높아집니다. 또한 적절한 영양 공급(특히 비타민과 무기질)이 어렵고 아기의 치료를 위해 서 혈액 검사를 자주하게 되므로 빈혈이 올 수 있습니다.
⑩ 미숙아 망막증
미숙아는 호흡곤란 증상 때문에 불가피하게 고농도의 산소나 인공 호흡기 치료를 받게 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아기들 중에서 고농도의 산소가 발육 도중에 있는 망막의 혈관을 변화시켜서 시력에 손상을 주는 미숙아 망막증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므로 산소 치료를 받았던 미숙아들은 생후 4-6주경에 안과 검사를 받아서 이상 유무를 확인하고 미숙아 망막증의 정도에 따라 추후 관찰 및 치료가 필요하다.
-고위험 신생아의 특수한 진단적 검사 및 치료-
1. 페니알라린 선별 검사
phenylketonuria(PKU)의 진단을 내리기 위한 선별 검사이다.
PKU환아는 출생시 phenylalanine치는 정상이나 모유나 우유섭취후 간에서 phenylalanine을 tyrosine으로 전환시켜 주는 효소의 결핍으로 그 수준이 상승된다.
모유나 우유 섭취 후 3일이 지난 다음에 검사하는 것이 정확한 결과를 볼수 있다.
(1)검사 목적
PKU환아를 선별 한다.
(2)검사절차
①heelstick으로 발뒤꿈치에서 3방울의 혈액을 filter paper에 떨어 뜨린다.
②검사지에 환아 성명, 출생 년 월일, 수유시작 날짜를 기록하여 검사실로 보낸다.
(3)검사결과
음성은 페니알라닌 수준이 정상임을 의미한다.(2mg/dl이하)
(4)검사결과의 의미
①positive는 filter paperdp 있는 B. subtilis 가 성장한 것으로 phenylalanine 수준이 너무 높아서 phenylalanine 길항물질 작용을 이겨낸 것으로 PKU의 가능 성을 암시하므로 phenylalanine level의 정확한 검사와 소변 검사를 해야한다.
②간질환, 갈락토스혈증, 효소장에 시에도 positive로 나타난다.
(5)영향 요인
3일 이상 수유하지 않고 시행한 검사결과는 음성으로 나올 수 있다.
◈페닐 케톤 뇨증 의 치료 및 간호 :
페닐케톤 뇨증의 치료는 식이요법이나 phenylalanine은 성장에 필수적인 아미노산이므로 식이요법식 다음과 같은 2가지 기준을 충족시켜야 한다.
→아동의 적절한 성장에 필요한 영양공급이 되어야 한다.
→안전한 수준 이내의 혈중 phenylalanine이 유지되어야 한다.
간호는
-가족에게 질환에 대한 이해와 질환의 경과에 대한 설명을 제공한다.
-가족 중, 특히 어머니에게 식이요법을 교육한다. 채소, 과일, 주스, 일부 곡류, 빵 등 저 phenylalanine 식품을 소개 한다. 인공 감미료 중 아스타팜을 체내에서 phenylalanine으로 전환되므로 피한다. 특히 특수 조제분유는 독특한 맛과 냄새로 인해 어려움이 있으므로, 코코아나 콜라 등과 혼합하여 주어도 된다.
-이러한 유전 질환을 가지고 있는 가족에게
2.혈청 빌리루빈
혈청bilirubin은 세망내피계에서 처리된 헤모글로빈에서 유래된다. 이때 생성된 bilirubin은 간접bilirubin으로 albumin과 결합하여 간으로 보내어 진다.
간접bilirubin은 간세포에서 giucuronyl transferase에 의해 glucuronic acid포함을 받아 직접bilirubin으로 전환되어 담즙 중으로 배설 된다.
bilirubin의 배설은 간담도계의 기능 과 RBC의 파괴율에 따른다.
총 bilirubin과 간접bilirubin, 직접bilirubin 측정은
추천자료
[간질환][간]간경화(간경변증, 간경변)의 의미와 유형, 간경화(간경변증, 간경변)의 병태생리...
간호이론3D) 핸더슨의 이론을 적용하여 작성하시오. 주요 개념에 대해 간략히 정리, 만성질환...
[성인간호학][ESRD][만성신부전][말기신장질환]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End-stage rena...
[기초간호과학] 1.면역에 관여하는 3가지 세포, 면역계 질환 중 4가지 형태의 과민반응의 특...
면역에 관여하는 3가지 세포, 면역계 질환 중 4가지 형태의 과민반응 특징과 사례 & 악성...
핸더슨 이론 개념을 정리 만성질환자 1인 선정하여 인구사뢰적 생활습관특성 기술 및 14개 기...
간호학과) COPD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만성 폐쇄성 폐질환 케이스 입니다...
[[간호학특론 B형]]서치만이 제시한 단계적 질병과정모형에 대해 설명하고 중산층과 빈곤층의...
오렘의 자기간호이론 - 오렘의 간호이론과 8개 보편적 자기간호필수요소를 적용한 만성질환자...
(2016년 간호학특론B형) 서치만이 제시한 단계적 질병과정모형 설명, 중산층과 빈곤층 만성질...
[간호이론2017] 매슬로의 욕구위계론과 관련해 작성. 주변의 만성질환자 1인을 선정하여 인구...
[간호이론 B형] 스트레스이론과 관련해 작성. 1) 주변의 만성질환자 1인을 선정하여 인구사회...
[간호이론 A형] 매슬로의 욕구위계론과 관련해 작성. 1) 주변의 만성질환자 1인을 선정하여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