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도 입
2. 박정희의 리더쉽에 관한 사례
1) 철저한 친인척 관리
2) 주변인을 압도하는 인간 박정희
3) 경제위기 극복과 근검절약
3. 엇갈린 평가
1) 긍정적 견해
2) 부정적 견해
4. 결 론
참고자료
2. 박정희의 리더쉽에 관한 사례
1) 철저한 친인척 관리
2) 주변인을 압도하는 인간 박정희
3) 경제위기 극복과 근검절약
3. 엇갈린 평가
1) 긍정적 견해
2) 부정적 견해
4. 결 론
참고자료
본문내용
군동료.후배도 많았고 이중엔 가신 (家臣)급도 있었지만 朴대통령은 70년대 경제개발이라는 공익(公益) 앞에선 얼음처럼 차가웠다. 그는 능력있는 테크노크라트를 중용했다. 발탁과정은 실사구시 (實事求是)였고 사조직의 천거는 끼어들지 못했다고 한다.
3. 엇갈린 평가
1) 긍정적 견해
현재 노무현 정부의 정치 위기상황과 맞물려 박정희의 카리스마적인 정치 리더쉽에 대한 평가는 더욱더 높게 평가되고 있다. 현재 노무현 정권과 비교해 볼 때 두 정권의 초기상황은 상당히 비슷한 점이 많이 있다. 대통령이 되기까지 우여곡절이 많았고, 실제로 대통령직을 수행할 준비가 되지 않았다는 면에서는 비슷한 점이 많지만 집권후 두명의 대통령은 상당히 다른 길을 간 것같다.
첫째, 박정권은 사회 각계 각층에서 실력있는 사람들을 다 끌어 모았다. 계획없이 시작한만큼 일 잘하는 사람 찾는 일에 비중을 많이 두었다. 그것이 경제발전에 큰 힘이 되었다. 그러나 노무현정권은 코드가 맞는 사람만 찾다보니 경험없는 인사기용으로 정권초기부터 흔들리며 결국은 대통령 재신임이라는 최악의 상황까지 이르게 되었다.
둘째, 60년대는 박정희라는 강력한 리더쉽를 중심으로 국민들이 강하게 결집했다. 지금 리더쉽 부재의 노무현 대통령은 국민을 결집시키지 못하고 있다.
셋째, 박정희 정권당시는 자의든 타이든 간에 국민들은 \'잘 살아보자\'는 구호아래 똘똘 뭉쳤고, 이념적으로 통일되어 일사분란한 체계로 경제발전을 성공적으로 이룩하였다. 하지만 지금은 국민소득 2만 달러라는 구호를 외치며 선진국 진입을 시도하고 있지만 이러한 외침은 국민들에게 공허하게 받아들여지고 있으며 이념적으로 혼란스러운 상황이다.
그동안 많은 한국의 정치 지도자들은 어려운 조건하에서도 그들만의 「리더쉽」을 발휘해 왔다. 어떤 인물의 리더쉽에 대해서 연구하려면 먼저 그 자신의 성품을 알아 보는 것이 중요하다. 박정희는 앞으 사례에서도 보았듯이 추진력과 결단력, 청렴결백 등의 성품을 소유하고 있었다. 자신의 생각에 옳다는 판단이 서면 꼭 해내고 마는 성품은, 그 자신에게 때로는 좋지 않은 결과를 가져 온 때도 있었으나, 그의 생애를 통해 일관되게 실천되어졌다. 박정희가「리더쉽」에 관해 어떠한 생각을 가졌는지 단정하기는 어려우나, 5.16 직후에 그가 쓴「지도자도」에 보면, 그는 지도자의 자격요건으로서 탁월성과 공정성을 강조하고 있다. \"지도자라는것은 무엇보다 그 지도의 역량이 다른 여러 사람보다 뛰어나야
3. 엇갈린 평가
1) 긍정적 견해
현재 노무현 정부의 정치 위기상황과 맞물려 박정희의 카리스마적인 정치 리더쉽에 대한 평가는 더욱더 높게 평가되고 있다. 현재 노무현 정권과 비교해 볼 때 두 정권의 초기상황은 상당히 비슷한 점이 많이 있다. 대통령이 되기까지 우여곡절이 많았고, 실제로 대통령직을 수행할 준비가 되지 않았다는 면에서는 비슷한 점이 많지만 집권후 두명의 대통령은 상당히 다른 길을 간 것같다.
첫째, 박정권은 사회 각계 각층에서 실력있는 사람들을 다 끌어 모았다. 계획없이 시작한만큼 일 잘하는 사람 찾는 일에 비중을 많이 두었다. 그것이 경제발전에 큰 힘이 되었다. 그러나 노무현정권은 코드가 맞는 사람만 찾다보니 경험없는 인사기용으로 정권초기부터 흔들리며 결국은 대통령 재신임이라는 최악의 상황까지 이르게 되었다.
둘째, 60년대는 박정희라는 강력한 리더쉽를 중심으로 국민들이 강하게 결집했다. 지금 리더쉽 부재의 노무현 대통령은 국민을 결집시키지 못하고 있다.
셋째, 박정희 정권당시는 자의든 타이든 간에 국민들은 \'잘 살아보자\'는 구호아래 똘똘 뭉쳤고, 이념적으로 통일되어 일사분란한 체계로 경제발전을 성공적으로 이룩하였다. 하지만 지금은 국민소득 2만 달러라는 구호를 외치며 선진국 진입을 시도하고 있지만 이러한 외침은 국민들에게 공허하게 받아들여지고 있으며 이념적으로 혼란스러운 상황이다.
그동안 많은 한국의 정치 지도자들은 어려운 조건하에서도 그들만의 「리더쉽」을 발휘해 왔다. 어떤 인물의 리더쉽에 대해서 연구하려면 먼저 그 자신의 성품을 알아 보는 것이 중요하다. 박정희는 앞으 사례에서도 보았듯이 추진력과 결단력, 청렴결백 등의 성품을 소유하고 있었다. 자신의 생각에 옳다는 판단이 서면 꼭 해내고 마는 성품은, 그 자신에게 때로는 좋지 않은 결과를 가져 온 때도 있었으나, 그의 생애를 통해 일관되게 실천되어졌다. 박정희가「리더쉽」에 관해 어떠한 생각을 가졌는지 단정하기는 어려우나, 5.16 직후에 그가 쓴「지도자도」에 보면, 그는 지도자의 자격요건으로서 탁월성과 공정성을 강조하고 있다. \"지도자라는것은 무엇보다 그 지도의 역량이 다른 여러 사람보다 뛰어나야
추천자료
박정희 정부 경제성장의 경제정책으로 볼수있는지에 대해서요..급한디...
리더십이란 [사회과학]
박정희의 리더십 평가(A+레포트)
박정희와 김일성의 리더십 비교
우리나라 역대 대통령의 정치 시대상황을 통한 리더십 완벽분석
알몸 박정희
역대 대통령의 리더십 분석(외국 article 이용, 자체 분석)
[정치학A+]장면정권 성립배경과 장면정부의 정치적 한계 분석 및 장면의 리더십 분석
박정희의 성공적인 리더십 사례
[디지털시대의 리더십개발] 비전 리더십(Vison Leadership)에 대해서
박정희와 오바마.ppt
[서번트리더십 사례] 서번트리더십의 개요, 서번트 리더의 사례 분석 - 서번트 리더십 사례
등소평, 등소평의 생애, 등소평의 개혁, 개방정책의 내용, 등소평의 개혁에 뒷받침되는 사상,...
박정희 대통령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