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고전문학 - 흥부전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고전문학 - 흥부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1) 흥부전이란?
[1]근원설화
[2]<흥부전>줄거리
[3]당대의 시대상황
(2) 자본주의 관점으로 바라본<흥부전>
[1]자본주의 관점으로 바라보게 된 계기
[2]자본주의 관점으로 재평가 된 흥부와 놀부
(3) ‘제비’로 바라본 생태학적 관점의 <흥부전>
[1]흥부와 제비
[2]놀부와 제비
(4) ‘박’으로 바라본 창조혁신적 관점의<흥부전>
(5) <태평천하>에 나타난 놀부의 현대적 수용과 변용
[1]<태평천하>줄거리
[2]<태평천하>의 윤직원과 <흥부전>의 놀부

3. 결론

4. 참고 : 흥부축제

5. 참조

본문내용

비\'를 통해 새롭게 현대적 관점으로 다시 해석해 보고 참고로 채만식의 <태평천하>를 통해 놀부라는 인물형상이 현대소설에서 어떻게 수용되고 변용되었는지도 알아보자.
2. 본론
(1) 흥부전이란?
[1] 근원설화
여러 가지 근원설화들이 있지만 <흥부전> 근원 설화의 요건으로는
①어느 한쪽이 다른 한쪽을 흉내 내다 실패한다는 모방담의 성격
②악하고 착한 형제가 나오는 선악형제담
③동물이 사람에게 은혜를 입으면 반드시 보답한다는 동물보은담
④어떤 물건에서 한없는 재물을 쏟아내는 무한재보담
을 갖추고 있어야 한다. 이러한 조건들을 통해 그나마 가장 적절한 근원설화로 꼽을 수 있는
것은 <방이설화>와 <박타는 처녀>이다.
<방이설화>와 <박타는 처녀>의 줄거리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방이설화> 신라 시대 김방이라는 인물이 살았는데, 그 동생이 악독해 동생에게 재산을 다 빼앗겼다. 어느 날 동생에게 보리와 누에를 꾸었지만 동생은 그것을 삶아서 주었다. 방이는 삶은 사실을 모르는 것으로 되어있긴 하나 동생의 행위가 악행으로 규정될 만 한 것이기 때문에 결과적으로는 보은과 선행의 요소를 갖추는 것이 된다고 볼 수 있다.
누에를 치자 누에가 황소만해졌고 이를 시샘한 아우가 누에를 죽였더니 사방에서 누에가 날라들었다. 또 보리를 밭에 심으니 하나의 보리 싹이 나와 정성껏 가꾸었는데 노랑새 한 마리가 날아와 쪼아 먹었다.슬퍼하자 노랑새는 방이에게 원하는 물건을 무엇이든 나오게 하는 금방망이를 선물하였다. 방이가 부자가 되자 동생이 시샘하여 방이가 한 대로 따라 해서 금방망이를 얻었지만 동생의 금방망이에서는 온갖 나쁜 것들이 나와 동생을 해쳤다. 동생이 재산을 다 잃고 죽을 지경이 되었을 때 방이가 와 구해 주었고 동생도 잘못을 뉘우쳤다.
<박타는 처녀> 어떤 처녀가 제비 다리를 치료해 주었다. 떠났던 제비가 다시 돌아와 박씨 를 물어다 주어, 심었더니 큰 부자가 되었다. 이웃집 처녀가 이를 부러워해서 일부러 제비 다리를 꺾어서 치료해 주었다. 제비가 역시 박씨를 물어다 주어, 심었으나 망하고 말았다.
[2] <흥부전> 줄거리
충청·전라·경상도 접경에 살던 연생원은 놀부와 흥부 두 형제를 두고 죽었는데, 형인 놀부는 부모의 유산을 독차지하고 동생인 흥부를 내쫓는다. 흥부는 아내와 여러 자식을 거느리고 움집에서 헐벗고 굶주린 채 갖은 고생을 하면서 묵묵히 살아간다. 그리고 온갖 궂은일을 도맡아 하여도 흥부의 살림은 여전히 가난하기만 하였다. 그런 어느 날 흥부는 땅에 떨어져 다리가 부러진 새끼제비를 주워 다가 정성껏 돌본 끝에 날려 보낸다. 이듬해 에 그 제비는 흥부에게 보은하고자 박씨 한 개를 물어다가 주었는데, 가을이 되자 잘 여문 박을 거두어 켜게 되었다. 그런데 뜻밖에도 박 속에서는 온갖 눈부신 보물들이 끝없이 쏟아져 나와 흥부는 하루아침에 벼락부자가 되었다. 그것을 안 놀부가 흥부에게 달려와 벼락부자가 된 자초지종을 듣고는 자기도 새끼제비 한 마리를 잡아다가 다리를 부러뜨린 뒤 실로 동여매어 날려 보낸다. 그 제비 또한 이듬해 봄에 박씨를 물어다 주었 다. 그러나 놀부가 심어서 거둔 박 속에서는 온갖 괴물이 나타나 그의 재산은 눈 깜짝할 사이에 모두 없어지고 그의 집은 수라장이 되었다. 마음씨 고운 흥부는 그래도 놀부를 지성으로 섬겨서 함께 행복을 누렸다.
[3] 당대의 시대 상황
조선 후기 임진·병자 양난을 계기로 사회전반에 급격한 변화를 겪으며 근대 사회로의 전환기 를 맞았다. 전쟁으로 인한 국가 제도의 문란과 혼란해진 사회구조 속에서 신분제도가 해이해 졌고, 상업경제체제와 화폐경제의 발달로 인한 부유한 중인 계층(신흥 천부 놀부)이 대두되었 다. 놀부가 흥부를 내
  • 가격1,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8.02.29
  • 저작시기2008.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5261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