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중국 패스트푸드 산업
2. 롯데리아 기업 소개
- 롯데리아 어원
- 롯데리아 기업 정신
- 한국 롯데리아 소개
- 중국 롯데리아 소개
3. 맥도날드의 중국 진출 전략
- 맥도날드 성공 요인
4. 롯데리아 중국 진출 전략
- 롯데리아 실패 요인
- 중국 진출 후 관리
- 롯데리아 중국 진출 배경
5. SWOT 분석
- Strength, Weakness, Opportunity, Treat
6. STP 분석
- Segmentation
- Targeting
- Positioning
7. 마케팅 믹스 (4P)
- 가격 (Place)
- 제품 (Product)
- 유통 (Place)
- 촉진 (Promotion)
2. 롯데리아 기업 소개
- 롯데리아 어원
- 롯데리아 기업 정신
- 한국 롯데리아 소개
- 중국 롯데리아 소개
3. 맥도날드의 중국 진출 전략
- 맥도날드 성공 요인
4. 롯데리아 중국 진출 전략
- 롯데리아 실패 요인
- 중국 진출 후 관리
- 롯데리아 중국 진출 배경
5. SWOT 분석
- Strength, Weakness, Opportunity, Treat
6. STP 분석
- Segmentation
- Targeting
- Positioning
7. 마케팅 믹스 (4P)
- 가격 (Place)
- 제품 (Product)
- 유통 (Place)
- 촉진 (Promotion)
본문내용
즐거운 지역적 특색 때문에 세부항목별 응답율이 낮게 나타나 식사 자체를 즐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2. 기업소개
- 롯데리아의 어원
LOTTERIA(롯데리아):주식회사롯데(LOTTE)카페테리아(CAFETERIA)의 합성어. LOTTE+RIA(롯데리아).
의미: 롯데에서 운영하는 서구식 음식점을 의미.
- 롯데리아의 기업정신
QCST
Quality: 최고품질의 상품
Cleanliness: 청결한 점포환경
Service: 밝은 미소와 아낌없는 친절, 잠깐의 만남을 소중히 여기는 마음
Time: 고객을 기다리시지 않게 하는 빠른 서비스 실현
- 한국 롯데리아 소개
(1)연혁소개
1979년: 첫 매장 개점(국내 최초의 패스트푸드점)
1987년: 매출 100억원 돌파
1992년: 국내최초 가맹점수 100호점 돌파
1994년: 매출 1000억원 돌파
1998년: 국내최초 가맹점수 400호점 돌파
1999년: 일매출 20억 돌파
2002년: 800호점 개점
2003년:업계최초로품질(ISO9001),환경(ISO14001),식품안전(RVA HACCP)에 관한 국제통합 인증획득
1999년~2003년: 브랜드파워 5년연속 1위
(2)한국 롯데리아의 기업 비젼과 그에 대한 노력
2010년에는 가맹점수 1,000호점을 목표로 하고 있다. 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점포개발 가속화로 대량 점포화 시대를 지향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지식경영의 일환으로서 점포 개발지역의 모니터를 통해 수집된 각종 자료와 정보를 본사 전산실의 메인 컴퓨터에 입력, 축적시킨 다음 새로운 가치정보를 추출해 기존 동일상권에 적용시켜서 정확한 매출을 예상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전 종업원을 교육시스템에 따라 쿠킹 에리어, 서빙 에리어, 세일즈 에리어의 3개 구역으로 구분하여 고객에게 친절한 서비스, 신속한 움직임과 아늑한 분위기를 창출해 나가고 있습니다. 롯데리아는 R & D (연구개발), 교육 프로그램 등 완벽한 점포 운영시스템을 확립하고 Q.C.S.T 를 체계적으로 관리하여 경영자에게는 올바른 의사결정을, 근무자에게는 최적의 근무환경을, 고객에게는 최고의 만족을 제공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 중국 롯데리아 소개
(1)중국진출 동기
중국의 패스트푸드업이 2000년 한해 매출액만 2000억을 초과하였으며, 2004년에는 8000억을 초과하였다. 매년 20%이상의 성장속도로 급성장하여 전체 요식업 매출의 40%를 차지한 것으로 발표되었다. 이러한 중국 패스트푸드산업의 급격한 성장은 한국의 여러 외식업계에도 진출의 유혹을 가져왔다.
이런 상황은 당시 중국 프랜차이즈경영협회도 인지하고 있었다. 당시 자료에 따르면 잠재투자자들은 중국 요식업에 가장 큰 관심을 보이고 있으며, 특히 서양식 패스트푸드점의 경쟁이 가장 치열하다고 하였다. 2000년에는 맥도널드의 매출액이 중식 패스트푸드점 전체의 160배에 달했고, 중국내 400개 점포를 보유한 최대 패스트푸드점인 KFC는 연간 20억의 매출을 올렸다. 자연스럽게 당시 서양식 패스트푸드점의 경쟁이 가장 치열한 곳은 소비규모가 큰 베이징, 텐진, 상하이와 동부연해지역이었다. 롯데리아도 이런 당시상황에 맞춰 가장 먼저 베이징으로의 진출을 시도하였던 것이다.
(2) 연혁소개
1993년 9월: 중국 북경진출 합작사 설립
세부내용: ‘북경 낙천리 식품 유한 공사’(이하 북경 롯데리아)라는 다소 긴 이름의 합작회사를 설립하였다. 설립에는 한국 롯데리아와 일본 롯데리아가 투자 총액의 80%인 100만 달러를 각각 50만 달러씩 출자하기로 하고, 중국측 에서는 나머지 20%인 25만 달러를 투자키로 하였다. 북경 롯데리아의 경영은 한국 롯데리아와 중국측이 공동 운영키로 결정되었다.
1994년 11월: 베이징에 중국롯데리아 1호점 개점
1996년: 중국롯데리아 사업전략 발표
세부내용: 당시 중국의 패스트푸드 시장은 선발업체인 맥도날드와 KFC 가 각각 28개점, 13개점의 점포망을 구축, 이미지를 상당히 높인 상태였다. 후발업체인 북경롯데 리아에서는 선발업체들을 따라잡기 위한 사업전략을 발표하였다. 첫째, 점포개 발 확대 둘째, 고객 다양화를 위한 판촉전략 강화 셋째, 햄버거의 품질향상에 노력 넷째, 신제품 개발 도입 전개 다섯째, 매니저 기초교육 재정립 여섯째, 고 객서비스 강화를 위한 QCST이념 교육 강화 등을 사업전략으로 설정하였다.
1996년 9월 : 하얼빈의 ‘롯데식품 유한공사’와 설립계약 체결
1997년: 하얼빈에 두개의 점포 개점 (5월과 9월)
2000년: \'북경낙천유한공사\'(베이징 롯데리아) 라는 현지법인을 설립하 고 중국인들을 가맹점주로 계약했다.
세부내용: 롯데리아는 중국인들을 가맹점주로 계약하기 위해 1999년 현지에 본사팀을 중국으로 파견했으며, 50평 크기의 시범 점포를 가동시켜 중국인들에게 롯데 리아 창업에 따른 우수한 실적을 홍보하려고 하였습니다. 현지 인을 가맹점주 로 한 프랜차이즈 사업이 직영점포를 운영하는 것 보다 단시일 내에 점포망을 늘리는 데 유리하다고 판단했다고 롯데리아 관계자는 밝혔다.
2003년 2월: 북경에 3개, 하얼빈에 2개의 점포를 운영중 철수
3.맥도날드의 중국 진출 전략
(1) 철저한 사전준비 : 시장의 다양성을 이해하고 유연하게 대응
다른 나라에 진출할 때보다 사전관찰과 계획수립에 충실 ,정부의 관리 소흘, 정책 이행의 비일관성, 사회··정치적 압력 등으로 인해 여타 국가들과는 시장여건이 크게 다르다. 그렇기 때문에 중국을 하나의 거대한 시장으로 보지 않고, 진출대상 지역별로 특징을 집중 관찰, 자원의 현지조달 가능성, 인프라 구축 수준, 지방정부의 특성 등을 중점적으로 고려하였다. 또 지역에 따라 우수 인력의 분포, 사회적 안정성, 자원 조달 코스트, 기술지원 필요성 등에서 현격한 차이를 나타냈다.
그리고 본격적인 사업 시작에 앞서 현지 사무소를 설치, 현지 사무소를 통해 자사의 존재를 홍보하고 정부 관련자들과 관계를 형성하였다. 현지 조사기관이나 컨설팅 업체 등 제 3자에게 시장조사를 의뢰하여 중국 시장에 대한 이해도가 높은 전문가들이 관시 형성에도 도움을 제공하였다.
(2)현지 기업과의 파트너십 구축 : 국영기업 합작 등으로 \'
2. 기업소개
- 롯데리아의 어원
LOTTERIA(롯데리아):주식회사롯데(LOTTE)카페테리아(CAFETERIA)의 합성어. LOTTE+RIA(롯데리아).
의미: 롯데에서 운영하는 서구식 음식점을 의미.
- 롯데리아의 기업정신
QCST
Quality: 최고품질의 상품
Cleanliness: 청결한 점포환경
Service: 밝은 미소와 아낌없는 친절, 잠깐의 만남을 소중히 여기는 마음
Time: 고객을 기다리시지 않게 하는 빠른 서비스 실현
- 한국 롯데리아 소개
(1)연혁소개
1979년: 첫 매장 개점(국내 최초의 패스트푸드점)
1987년: 매출 100억원 돌파
1992년: 국내최초 가맹점수 100호점 돌파
1994년: 매출 1000억원 돌파
1998년: 국내최초 가맹점수 400호점 돌파
1999년: 일매출 20억 돌파
2002년: 800호점 개점
2003년:업계최초로품질(ISO9001),환경(ISO14001),식품안전(RVA HACCP)에 관한 국제통합 인증획득
1999년~2003년: 브랜드파워 5년연속 1위
(2)한국 롯데리아의 기업 비젼과 그에 대한 노력
2010년에는 가맹점수 1,000호점을 목표로 하고 있다. 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점포개발 가속화로 대량 점포화 시대를 지향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지식경영의 일환으로서 점포 개발지역의 모니터를 통해 수집된 각종 자료와 정보를 본사 전산실의 메인 컴퓨터에 입력, 축적시킨 다음 새로운 가치정보를 추출해 기존 동일상권에 적용시켜서 정확한 매출을 예상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전 종업원을 교육시스템에 따라 쿠킹 에리어, 서빙 에리어, 세일즈 에리어의 3개 구역으로 구분하여 고객에게 친절한 서비스, 신속한 움직임과 아늑한 분위기를 창출해 나가고 있습니다. 롯데리아는 R & D (연구개발), 교육 프로그램 등 완벽한 점포 운영시스템을 확립하고 Q.C.S.T 를 체계적으로 관리하여 경영자에게는 올바른 의사결정을, 근무자에게는 최적의 근무환경을, 고객에게는 최고의 만족을 제공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 중국 롯데리아 소개
(1)중국진출 동기
중국의 패스트푸드업이 2000년 한해 매출액만 2000억을 초과하였으며, 2004년에는 8000억을 초과하였다. 매년 20%이상의 성장속도로 급성장하여 전체 요식업 매출의 40%를 차지한 것으로 발표되었다. 이러한 중국 패스트푸드산업의 급격한 성장은 한국의 여러 외식업계에도 진출의 유혹을 가져왔다.
이런 상황은 당시 중국 프랜차이즈경영협회도 인지하고 있었다. 당시 자료에 따르면 잠재투자자들은 중국 요식업에 가장 큰 관심을 보이고 있으며, 특히 서양식 패스트푸드점의 경쟁이 가장 치열하다고 하였다. 2000년에는 맥도널드의 매출액이 중식 패스트푸드점 전체의 160배에 달했고, 중국내 400개 점포를 보유한 최대 패스트푸드점인 KFC는 연간 20억의 매출을 올렸다. 자연스럽게 당시 서양식 패스트푸드점의 경쟁이 가장 치열한 곳은 소비규모가 큰 베이징, 텐진, 상하이와 동부연해지역이었다. 롯데리아도 이런 당시상황에 맞춰 가장 먼저 베이징으로의 진출을 시도하였던 것이다.
(2) 연혁소개
1993년 9월: 중국 북경진출 합작사 설립
세부내용: ‘북경 낙천리 식품 유한 공사’(이하 북경 롯데리아)라는 다소 긴 이름의 합작회사를 설립하였다. 설립에는 한국 롯데리아와 일본 롯데리아가 투자 총액의 80%인 100만 달러를 각각 50만 달러씩 출자하기로 하고, 중국측 에서는 나머지 20%인 25만 달러를 투자키로 하였다. 북경 롯데리아의 경영은 한국 롯데리아와 중국측이 공동 운영키로 결정되었다.
1994년 11월: 베이징에 중국롯데리아 1호점 개점
1996년: 중국롯데리아 사업전략 발표
세부내용: 당시 중국의 패스트푸드 시장은 선발업체인 맥도날드와 KFC 가 각각 28개점, 13개점의 점포망을 구축, 이미지를 상당히 높인 상태였다. 후발업체인 북경롯데 리아에서는 선발업체들을 따라잡기 위한 사업전략을 발표하였다. 첫째, 점포개 발 확대 둘째, 고객 다양화를 위한 판촉전략 강화 셋째, 햄버거의 품질향상에 노력 넷째, 신제품 개발 도입 전개 다섯째, 매니저 기초교육 재정립 여섯째, 고 객서비스 강화를 위한 QCST이념 교육 강화 등을 사업전략으로 설정하였다.
1996년 9월 : 하얼빈의 ‘롯데식품 유한공사’와 설립계약 체결
1997년: 하얼빈에 두개의 점포 개점 (5월과 9월)
2000년: \'북경낙천유한공사\'(베이징 롯데리아) 라는 현지법인을 설립하 고 중국인들을 가맹점주로 계약했다.
세부내용: 롯데리아는 중국인들을 가맹점주로 계약하기 위해 1999년 현지에 본사팀을 중국으로 파견했으며, 50평 크기의 시범 점포를 가동시켜 중국인들에게 롯데 리아 창업에 따른 우수한 실적을 홍보하려고 하였습니다. 현지 인을 가맹점주 로 한 프랜차이즈 사업이 직영점포를 운영하는 것 보다 단시일 내에 점포망을 늘리는 데 유리하다고 판단했다고 롯데리아 관계자는 밝혔다.
2003년 2월: 북경에 3개, 하얼빈에 2개의 점포를 운영중 철수
3.맥도날드의 중국 진출 전략
(1) 철저한 사전준비 : 시장의 다양성을 이해하고 유연하게 대응
다른 나라에 진출할 때보다 사전관찰과 계획수립에 충실 ,정부의 관리 소흘, 정책 이행의 비일관성, 사회··정치적 압력 등으로 인해 여타 국가들과는 시장여건이 크게 다르다. 그렇기 때문에 중국을 하나의 거대한 시장으로 보지 않고, 진출대상 지역별로 특징을 집중 관찰, 자원의 현지조달 가능성, 인프라 구축 수준, 지방정부의 특성 등을 중점적으로 고려하였다. 또 지역에 따라 우수 인력의 분포, 사회적 안정성, 자원 조달 코스트, 기술지원 필요성 등에서 현격한 차이를 나타냈다.
그리고 본격적인 사업 시작에 앞서 현지 사무소를 설치, 현지 사무소를 통해 자사의 존재를 홍보하고 정부 관련자들과 관계를 형성하였다. 현지 조사기관이나 컨설팅 업체 등 제 3자에게 시장조사를 의뢰하여 중국 시장에 대한 이해도가 높은 전문가들이 관시 형성에도 도움을 제공하였다.
(2)현지 기업과의 파트너십 구축 : 국영기업 합작 등으로 \'
추천자료
중국진출 마케팅 사례
중국진출 성공전략기(이마트, 삼성전자, 신라면, 쵸코파이)
한국기업의 중국진출사례[ 한국IT기업, 이마트, 삼성전자, 농심 신라면 ]
초코파이중국진출성공전략
폭스바겐의중국진출
중국진출기업의 경영환경 및 투자만족도 조사
CJ홈쇼핑의 중국진출 성공사례에 관한 조사
우리나라 기업의 해외진출 (놀부(주) 중국진출) ppt =A+자료=
이마트의 중국진출
농심신라면중국시장진출전략
한국타이어의 중국진출 사례
한국타이어 중국진출
제일모직 SPA시장진출 경영전략제안 PPT (제일모직 기업분석과 제일모직 경영전략제안과 중국...
Rakuten 중국진출 실패사례 분석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