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틴 부버(Martin Buber)의 교육 철학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마틴 부버(Martin Buber)의 교육 철학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부버의 생애

2. 부버사상의 배경

3. 부버의 교육철학

4. 부버철학의 현대 교육적 평가

5. 부버로부터 배운점

본문내용

4. 부버철학의 현대 교육적 평가
(1) 부버철학의 공헌점
첫째, 인간이해의 새로운 지평을 열어 주었다는 점이다.
둘째, 살아있는 인격적 신(하나님)을 발견한 것이다.
셋째, 하시디즘을 재발견하고 그것을 철학적으로 승화 발전시킨 점이다.
넷째, 신학 영역에서 교량역할을 한 점을 들 수 있다.
(2) 부버의 교육철학이 오늘날의 교육에 주는 시사점
첫째, 학생을 수단적 도구적 존재로 보지 말고 목적적 인격적 존재로 보되, 학생의 전체성에 관여하는 교육, 전인교육이 이루어져야한다.
둘째, 교육의 주요 과업은 학생들의 인격적 책임을 각성시키는 일이 되어야한다.
셋째, 교육의 목적은 인간다운 인간을 양성하는 데 두어야 한다.
넷째, 현대사회의 위기극복을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 평화교육이 적극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다섯째, 교사와 학생간의 관계는 어느 한 편이 주도권을 잡는 일방적 관계가 아닌 양자가 상호작용하는 관계 이어야한다.
여섯째, 교육가의 모범이 가장 좋은 교육방법으로 권장되어야한다.
일곱째, 학생의 삶 그 자체를 가장 중요한 교육내용으로 직시해야한다.
5. 부버로부터 배운점
종교사상가이자 철학자인 마틴 부버는 비록 유대 중심적 한계를 벗어나지 못하였다는 평을 듣지만 편견 없는 만남의 철학을 통해 서로 양극에 있는 타자들을 한 테이블 앞에 마주 앉아 대화할 수 있도록 만든 철학자 이다. 그는 다른 종교, 다른 민족, 다른 성(남, 여)등등 절대 타자간의 편견 없는 만남을 통한 대화의 깊이를 강조하였다. 바로 그러한 대화가 인류 평화의 첫 출발점이라고 본 것이다.
부버의 ‘만남’의 관계에서처럼 교사와 학생과의 관계를 우열적 상하관계로 보지 않고 진리와 삶 앞에 적나라하게 서있는 동등한 구도자의 관계로 봐야 한다.
교육을 지식전달로만 생각한다면 학생이 수단이 되어서 교사와 학생의 관계는 ‘나-그것’의 비인격적 관계로 전락하고 만다.
부버 교육의 핵심인 관계의 개념은 교사와 학생 상호간의 신뢰와 애정- 즉, 인격적 관계의 형성은 교육력을 극대화하는 원동력이다.
바로 이것을 가능하게 해주는 것이 교사와 학생간의 상호 인격적 ‘만남’ 즉 ‘관계’인 것이다.
이를 실천할 수 있는 방법은 교사는 학생들의 다양한 문제에 관심을 가지고 그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도록 노력하는 일이야말로 가장 중요한 일이다.
자유롭게 사고하고 대화를 통해 스스로 깨닫는 관계를 통한 교육이 진정으로 필요한 바로 지금이다.
  • 가격1,3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8.03.02
  • 저작시기2008.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5277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