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의 개념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편집의 개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편집의 개념
1.1 영상편집의 개념
1.2 편집(Editing, Cutting)
2.2 운율적 연결 (Rhythmic relation)
2.3 공간적 연결(Spatial relation)
2.4 시간적 연결(Temporal relation)
2) 생략의 3가지 방법

본문내용

이 자연스럽게 보이는 것을 말한다. 텔레비젼과 영화의 영상메시지는 대부분 편집과정을 거쳐야 완성된다. 시청자는 완성 프로그램으로써 영상을 볼 뿐 한 쇼트, 한 쇼트 분리해서 생각하지 않는다. 완성된 프로그램이란 서로 다른 영상을 일정한 법칙에 따라 연결해 놓은 것인데 연속적인 사고로 한 쇼트와 그 다름 쇼트를 끊임없이 연결지어 보면서 내용을 파악하는 것이다.
1.2 편집(Editing, Cutting)
TV 프로그램은 어떤 형식이든 하나의 쇼트로 이루어지지는 않는다. 여러 개의 각도에서 촬영되어진 다양하게 촬영된 쇼트 중에서 가장 적절한 것을 선택하여 연결된다. 이러한 \"연결\"(linkage)작업이 편집(editing)이다. 쇼트들을 연결하여 이어 붙이는 데는 일종의 약속이 있기 마련이다. 이 약속은 관습에 따를 수도 있고, 반면 관습을 깨는 창의적인 사고를 따를 수도 있다. 편집은 쇼트를 단순히 물리적으로 이어붙이는 것으로 이해할 수도 있지만, 영상 텍스트에서 한 쇼트에서 다른 쇼트로 이어지는 순간은 시간과 공간을 영상의 시간과 공간으로 \"재편\"하는 주된 수단이기도 하다. 서로 다른 시간과 장소에서 벌어지고 있는 일들을 우리는 동시에 발생하는 일로 생각하기도 하고, 몇 년 동안의 세월이 단 2시간이나 심지어는 단 몇 분으로 압축되기도 하지만 우리는 전혀 당황해하지 않는다. 영상텍스트(TV 프로그램을 총칭)의 시공간을 소설이나 연극의 시공간처럼 우리가 사는 시공간과는 다른 차원으로 이미 인식하고 받아들이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보는 순간만큼은 사실이거나 아니거나에 관계없이 현실과 동일시하게 만드는 것이 편집이다. 영상커뮤니케이션의 기본구성(constructuion) 단위는 하나의 쇼트(single shot)이며 이를 통해 시청자와 의사소통이 이루어진다. 이동촬영(traveling shots),장시간 촬영(lengthy take)같은 기법들은 단하나의 쇼트와는 달리 독자적 의미를 가질 수 있다. 편집은 다른 쇼트와 병치(juxtaposed)할 때, 독자적인 편집 시퀀스(edited sequence)를 형성할 때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비디오 편집은 물리적으로는 한 쇼트에 해당하는 전기신호를 다른 테이프에 옮기는(Dubbing) 작업과정이다. 이로써 한 쇼트는 다른 하나의 쇼트와 가장 단순히 방법으로 접합 (joining)된다. Shot 가 Scene이 되고 , Scene이 Sequence로 발전하고, Sequence는 다시 완성된 Text로 연결되는 것이다. 기계적인 편집(mechanical level)이란 불필요한 시간(time)과 공간(space)을 1차적으로 제거하는 것을 말하고, 좀 더 발전된 편집이란 \"관념들 간의 결합 association of ideas\"을 통해, 쇼트+쇼트,씬+씬,시퀀스+시퀀스로 발전하는 것을 의미한다. 단순한 듯한 이러한 편집의 전통이 영상예술의 첫 번째 토대를 제공했다.
Terry Ramsay(Critic)는 \"편집은 영상의 \'통사론 syntax\'이며, grammatical language(문법언어)로서, 언어학적 통사론(linguistic sytax)처럼, 편집의 통사론(the syntax of editing)이 존재한다.\" 라고 말했다. 편집이란 언어와 마찬가지로 배우고, 학습(learn)되어져야 하는 것이지 선천적(innate)으로 태어나면서부터 가지고 나오는 것은 아니다. 편집 작업은 선천적으로 체득되는 것이 아니라 후천적인 교육과 노력을 통해 배우는 것이다.
2. 편집의 유형
2.1 시각적 결합 (Graphic relation)
영상에 나타나는 모든 시각적 형태, 선, 색등을 적절히 활용하는 연결기법이다. 빛과 어둠, 윤곽과 형태, 부피와 깊이, 운동과 정지의 패턴들은 쇼트들이 스토리의 시간과 공간에 대하여 갖는 관계와는 독립적인이다. 이들 요소들의 시각적 짜임새, 구성요소로 고찰하여. 균일하게 조명이 비치는 쇼트와 어둠에 싸인 쇼트가 연결된다거나 프레임 왼쪽 윗부분의 인물 쇼트와 프레임의 아랫부분 오른쪽에 부수적인 저장소가 위치한 쇼트로 커트하는 식으로 편집을 진행하는 기법이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색채변화(色彩變化) 대비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방법도 생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머리카락과 의상이 노랑과 초록의 두드러지는 여자의 쇼트가 있다면, 주변의 건물쇼트는 붉은 기운에 의해 돋보이는 칙칙한 청회색으로 꾸민다면 묘한 대비가 이루어져 훨씬 다양한 이미지를 전달할 수 있다. 다시 인물들의 쇼트를 전환하는 경우에는 비슷한 색채로 이루어진 다른 인물들과 커트하여 하는 방법이다. 쇼트에서의 움직임 또한 조형적인 요소이다. 정지된 영상(靜)에서 동적인 영상(動)으로 동적인 영상(動)에서 정지된 영상(靜)으로 움직임의 연속적인 디졸브(다이내믹성 추구)등도 움직임을 활용한 조형적인 편집의 한 예이다. 속도(speed)나 방향(direction), 프레임 배치 안에서의 인물의 움직임을 다음 쇼트에서의 그 움직임을 중복적으로 되풀이 하는 것도 자연스러운 움직임의 연결을 위해서는 필수적인 조형적 편집이다. 어떤 두 쇼트를 연결지어며 편집하는 작업은 그 두 쇼트들의 순수하고 회화적인 성질이 갖는 유사점과 차이점을 상호작용 하도록 하는 것이 시각적 편집의 1차적 목표이다. 다시 말해 미장센(mise en scene)의 모든 면들(조명,세팅,의상,시간 및 공간 안에서의 인물들의 행동)과 가장 영상적인 속성들(촬영,프레임 구성,카메라 움직임등) 모두가 잠재적인 시각적 요소들을 갖추고 있는 셈이다. 모든 쇼트는 순수하게 시각적인 편집에 대한 가능성 제공하며, 추상적 개념 편집에서도 이러한 시각적인 편집에 상당히 의존하고 있다. 대부분 제작에서 시각적 연결은 다른 영역에 비해 단순하여 부차적으로 취급되는 수도 있다. 우리는 모든 영상물들이 시각적인 소재들을 바탕으로 하여 그것을 화면 내에 배치한 것으로 생각하고 있으며, 모든 영화는 시각적 짜임새들을 근간으로 한다. 순수한 추상 영화가 아니더라도 쇼트들의 시각적 연결은 제작자와 관객에게 많은 흥미를 제공한다. 화상들은 유연한 연속이나 갑작스런 대비를 얻기 위해 편집되며 영상작가는 시각적 유사성을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08.03.03
  • 저작시기2008.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5307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