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4-1. 근대과학 - 과학혁명과 기계론적 자연관
4-2. 기계론적 자연관의 확립
제 5 장 과학계몽의 시대
5-1. 과학혁명의 영향 : 뉴턴 과학과 계몽사조
5-2. 화학혁명: 라부아지에와 근대 화학체계의 형성
5-3. 과학의 전문직업화 : 프랑스혁명기의 과학
5-4. 다윈과 진화론
5-5. 열역학의 성립 : ‘에너지’와 ‘엔트로피’
5-6. 물리학분야의 성립
제 6 장 현 대 과 학
6-1. 미국과학의 발전
6-2. 과학과 산업기술
6-3. 생물학분야의 발전
6-4. 현대물리학의 출현
6-5. 원자탄 : 제2차 세계대전과 과학
6-6. 현대사회의 과학, 기술과 인간
6-7. 첨단과학기술 [High science and technology]
4-2. 기계론적 자연관의 확립
제 5 장 과학계몽의 시대
5-1. 과학혁명의 영향 : 뉴턴 과학과 계몽사조
5-2. 화학혁명: 라부아지에와 근대 화학체계의 형성
5-3. 과학의 전문직업화 : 프랑스혁명기의 과학
5-4. 다윈과 진화론
5-5. 열역학의 성립 : ‘에너지’와 ‘엔트로피’
5-6. 물리학분야의 성립
제 6 장 현 대 과 학
6-1. 미국과학의 발전
6-2. 과학과 산업기술
6-3. 생물학분야의 발전
6-4. 현대물리학의 출현
6-5. 원자탄 : 제2차 세계대전과 과학
6-6. 현대사회의 과학, 기술과 인간
6-7. 첨단과학기술 [High science and technology]
본문내용
하였다. 또한 규소(1823)·지르코늄(1824)·티탄(1825)을 분리했다.
산소의 원자량을 기초로 다른 원소들의 원자량을 결정했으며,
생명의 화학적 과정이 전혀 알려지지 않았던 당시에, 혈액, 유즙(乳汁), 근육, 쓸개즙, 골수 등의 화학성분을 분석하여, 이를 《동물 화학강의》(1806∼1808)에서 정리하였으며,
라틴명(名), 때로는 그리스명의 머리글자를 원자기호로 쓰는 것은 그의 고안이며(1812년 이후), 이성질체현상(1827), 촉매(1835) 등에 관한 견해도 그가 처음으로 밝힌 것이다. 이때부터 스톡홀름의 실험실은 파리와 더불어 당시의 유럽 화학의 중심이 되었다.
저서로는 《화학교과서》 6권(1808∼1820)이 유명하다
● 1820년까지 라부아지에에 의해 시작된 화학 혁명의 완성을 다음과 같이 이야기할 수 있다.
라부아지에 : 質量保存의 法則
프루스트 : 一定成分比의 法則
돌턴 : 倍數比例의 法則
5-3. 과학의 전문직업화 : 프랑스혁명기의 과학
과학 혁명기를 통해 성립된 과학단체들 중 가장 성공적 이였던 두 단체,
런던의 왕립학회(王立學會:Royal Society)와
파리의 王立科學아카데미(Academie royale des sciences)
이들 두 단체는 서로 대조적인 형태로 발전하였다.
5.3.1. 18세기 영국과 프랑스의 과학 활동
[1] 영국 왕립학회의 과학 활동
① 왕실로부터의 재정적 지원이 없었다.
② 과학 활동은 조직적이지 못하고 구심점이 없었으며 회원 개개인의 경비와 기구, 시설 등을 사용해 수행한 실험을 왕립학회에서 발표했다.
③ 런던의 왕립학회와 지방의 여러 학회가 분산되고 협조적 운영체계가 이어지지 못했다.
④ 경험적, 실험적, 산발적인 과학 활동으로 개인적 천재들에게 주로 의존했다.
[2] 프랑스 과학아카데미의 활동
① 왕실로부터 막대한 지원을 받았다. 회원들은 모두 과학적 업적과 능력을 갖춘 과학자들로 충원했다.
② 과학 활동은 조직적, 체계적으로 되었으며, 수학적, 이론적 방법이 중요시되었다.
③ 초기 베이컨의 영향이 줄어들고 데카르트주의와 라이프니츠주의가 오히려 힘을 지니게 되면서 뉴턴역학을 본격적으로 도입하고 해석학의 방법을 사용해서 수학적 체계를 이루었는데, 그 결과 유럽대륙의 과학 활동에 구심점이 되었다.
④ 과학 활동은 이론적, 수학적이었고 조직적, 체계적이었다.
5.3.2. ‘전문직업’과 프랑스 과학
▶프랑스 과학이 우위를 점하고 있던 18세기 말과 19세기 전반을 ‘제2의 과학혁명’이라고 부른다.
㉠ 전문 과학 분야들이 형성되었다 : 물리학, 화학, 생물학, 지질학
㉡ 전문 분야들의 핵심이 되는 과학적 지식의 내용과 독특한 방법들이 확립되었다.
㉢ 그 분야들을 전문으로 하는 전문과학자, 전문학술단체, 학술잡지들이 출현했다.
▶과학이 專門職業化(Professionalization)가 되었다.
▶전문직업을 특징짓는 요소들은 다음과 같다.
① 전문인 : 체계를 갖춘 학문적 지식의 습득을 전제로 하는 優越性이다.
공식기관에서의 정규적, 조직적 교육이 필요하게 되었다.
② 직업인 : 전문직업의 구성원이 그 전문직업에 종사함으로써 얻게 되는 수입으로 생활을 영위할
수 있어야 된다.
③ 전문직업은 그 자체에 대한 배타적 권한을 지녀야 한다.
전문직업의 직업윤리, 규범 및 자격 같은 것도 전문직업 자체가 정한다.
▶따라서 18세기 말까지 프랑스과학은 아직 완전히 ‘전문적 직업’이 되지 못했고, 이 시기에 ‘전문직업’이라고 부를 수 있었던 것은 聖職者, 법률 직, 의사 직뿐이었다.
▶위의 세 분야의 전문직이 있게 된 것은 중세부터 고급 대학에 신학부, 법학부, 의학부가 있었기 때문이다.
5.3.3. 과학과 정부
① 이 시기는 정치적 격동기로서 구체제 말기의 혼란과 실패로 끝난 改革의 움직임, 大革命, 恐怖政治와 共和政, 나폴레옹 執政, 帝政 王政復古의 커다란 정치적 변혁들이 줄을 이었고 유럽 각국과 전쟁을 치렀다.
주목되는 것은 이 같은 정치적 격동기를 통해서 과학자들이 정부와 공공의 정책입안 및 업무수행에 활발히 참여했다.
② 그러한 과학자들은 실제 생산을 담당한 작업자들을 위한 과학의 개요서 들을 집필하고, 소속 강의들을 개설해서 초보적 과학교육을 시키고, 미터법으로의 도량형 개혁, 교육제도 개혁, 선거제도 개혁, 공중보건체제 개혁 등의 일에도 참여했다.
③ 과학자들이 보여 준 힘은 과학지식 자체에 의한 것이 아니라, 오히려 과학자들이 지닌 사고방식, 태도, 그리고 과학적 방법이 발휘한 힘이었다. 과학자들이 실제 업무에서 성공적이고 효과적일 수 있었던 것은 일 추진에 있어서 조직적, 체계적, 합리적이었고 효율과 새로운 것을 중시하는 경향을 지녔기 때문이다.
④ 과학자들을 실제 행정이나 정책업무에 종사시킨 데에는 당시 프랑스 과학의 우수함에 대한 믿음과 신뢰가 있었으며, 정부당국으로부터 신뢰를 받고 업무를 위임받았을 때 생기는 힘이 전문직업화 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5.3.4. 과학 전문교육
① 1780년대부터 특히 대 혁명기 동안, 교육제도 개혁을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전문 과학교육 기관들이 생겨났다. - 가장 성공적인 것은 에콜 폴리테크닉이었다.
② 에콜 폴리테크닉 대학; 처음은 군사 전문교육기관
㉠ 과학과 수학의 전문교육이 행해졌다.
㉡ 졸업 후 조직적, 체계적, 전문적 과학 활동에 종사하기에 적합한 교육을 담당했다.
㉢ 전문 직업화된 과학 활동을 수행할 수 있는 교육을 시켰다.
그랑 제콜(Grandes Ecoles)이 프랑스의 유일하고 독특한 교육 시스템이다. 그랑 제콜 이란 대학을 대신하는 특수고등교육기관 과정이다.
5.3.5. 과학의 전문직업화의 진행과 전파
① 프랑스에서 처음 시작되었으며, 19세기 중엽쯤에는 각각 다른 과정을 거쳐서 독일과 영국의 과학도 이를 뒤쫓았다.
② 독일에서는 과학연구가 대학에 확고하게 자리를 잡게 되었다. 大學敎授가 강의만이 아니라 과학의 연구를 중요시하게 되었고, 학생교육도 단순히 지식의 전수가 아니라 연구방법의 훈련에 치중하게 되었다.
③ 과학의 전문직업화와 과학연구의 제도적 정착은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초까지 미국과 유럽에서 이루어졌고 이후 일본, 러시아도 이를 뒤
산소의 원자량을 기초로 다른 원소들의 원자량을 결정했으며,
생명의 화학적 과정이 전혀 알려지지 않았던 당시에, 혈액, 유즙(乳汁), 근육, 쓸개즙, 골수 등의 화학성분을 분석하여, 이를 《동물 화학강의》(1806∼1808)에서 정리하였으며,
라틴명(名), 때로는 그리스명의 머리글자를 원자기호로 쓰는 것은 그의 고안이며(1812년 이후), 이성질체현상(1827), 촉매(1835) 등에 관한 견해도 그가 처음으로 밝힌 것이다. 이때부터 스톡홀름의 실험실은 파리와 더불어 당시의 유럽 화학의 중심이 되었다.
저서로는 《화학교과서》 6권(1808∼1820)이 유명하다
● 1820년까지 라부아지에에 의해 시작된 화학 혁명의 완성을 다음과 같이 이야기할 수 있다.
라부아지에 : 質量保存의 法則
프루스트 : 一定成分比의 法則
돌턴 : 倍數比例의 法則
5-3. 과학의 전문직업화 : 프랑스혁명기의 과학
과학 혁명기를 통해 성립된 과학단체들 중 가장 성공적 이였던 두 단체,
런던의 왕립학회(王立學會:Royal Society)와
파리의 王立科學아카데미(Academie royale des sciences)
이들 두 단체는 서로 대조적인 형태로 발전하였다.
5.3.1. 18세기 영국과 프랑스의 과학 활동
[1] 영국 왕립학회의 과학 활동
① 왕실로부터의 재정적 지원이 없었다.
② 과학 활동은 조직적이지 못하고 구심점이 없었으며 회원 개개인의 경비와 기구, 시설 등을 사용해 수행한 실험을 왕립학회에서 발표했다.
③ 런던의 왕립학회와 지방의 여러 학회가 분산되고 협조적 운영체계가 이어지지 못했다.
④ 경험적, 실험적, 산발적인 과학 활동으로 개인적 천재들에게 주로 의존했다.
[2] 프랑스 과학아카데미의 활동
① 왕실로부터 막대한 지원을 받았다. 회원들은 모두 과학적 업적과 능력을 갖춘 과학자들로 충원했다.
② 과학 활동은 조직적, 체계적으로 되었으며, 수학적, 이론적 방법이 중요시되었다.
③ 초기 베이컨의 영향이 줄어들고 데카르트주의와 라이프니츠주의가 오히려 힘을 지니게 되면서 뉴턴역학을 본격적으로 도입하고 해석학의 방법을 사용해서 수학적 체계를 이루었는데, 그 결과 유럽대륙의 과학 활동에 구심점이 되었다.
④ 과학 활동은 이론적, 수학적이었고 조직적, 체계적이었다.
5.3.2. ‘전문직업’과 프랑스 과학
▶프랑스 과학이 우위를 점하고 있던 18세기 말과 19세기 전반을 ‘제2의 과학혁명’이라고 부른다.
㉠ 전문 과학 분야들이 형성되었다 : 물리학, 화학, 생물학, 지질학
㉡ 전문 분야들의 핵심이 되는 과학적 지식의 내용과 독특한 방법들이 확립되었다.
㉢ 그 분야들을 전문으로 하는 전문과학자, 전문학술단체, 학술잡지들이 출현했다.
▶과학이 專門職業化(Professionalization)가 되었다.
▶전문직업을 특징짓는 요소들은 다음과 같다.
① 전문인 : 체계를 갖춘 학문적 지식의 습득을 전제로 하는 優越性이다.
공식기관에서의 정규적, 조직적 교육이 필요하게 되었다.
② 직업인 : 전문직업의 구성원이 그 전문직업에 종사함으로써 얻게 되는 수입으로 생활을 영위할
수 있어야 된다.
③ 전문직업은 그 자체에 대한 배타적 권한을 지녀야 한다.
전문직업의 직업윤리, 규범 및 자격 같은 것도 전문직업 자체가 정한다.
▶따라서 18세기 말까지 프랑스과학은 아직 완전히 ‘전문적 직업’이 되지 못했고, 이 시기에 ‘전문직업’이라고 부를 수 있었던 것은 聖職者, 법률 직, 의사 직뿐이었다.
▶위의 세 분야의 전문직이 있게 된 것은 중세부터 고급 대학에 신학부, 법학부, 의학부가 있었기 때문이다.
5.3.3. 과학과 정부
① 이 시기는 정치적 격동기로서 구체제 말기의 혼란과 실패로 끝난 改革의 움직임, 大革命, 恐怖政治와 共和政, 나폴레옹 執政, 帝政 王政復古의 커다란 정치적 변혁들이 줄을 이었고 유럽 각국과 전쟁을 치렀다.
주목되는 것은 이 같은 정치적 격동기를 통해서 과학자들이 정부와 공공의 정책입안 및 업무수행에 활발히 참여했다.
② 그러한 과학자들은 실제 생산을 담당한 작업자들을 위한 과학의 개요서 들을 집필하고, 소속 강의들을 개설해서 초보적 과학교육을 시키고, 미터법으로의 도량형 개혁, 교육제도 개혁, 선거제도 개혁, 공중보건체제 개혁 등의 일에도 참여했다.
③ 과학자들이 보여 준 힘은 과학지식 자체에 의한 것이 아니라, 오히려 과학자들이 지닌 사고방식, 태도, 그리고 과학적 방법이 발휘한 힘이었다. 과학자들이 실제 업무에서 성공적이고 효과적일 수 있었던 것은 일 추진에 있어서 조직적, 체계적, 합리적이었고 효율과 새로운 것을 중시하는 경향을 지녔기 때문이다.
④ 과학자들을 실제 행정이나 정책업무에 종사시킨 데에는 당시 프랑스 과학의 우수함에 대한 믿음과 신뢰가 있었으며, 정부당국으로부터 신뢰를 받고 업무를 위임받았을 때 생기는 힘이 전문직업화 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5.3.4. 과학 전문교육
① 1780년대부터 특히 대 혁명기 동안, 교육제도 개혁을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전문 과학교육 기관들이 생겨났다. - 가장 성공적인 것은 에콜 폴리테크닉이었다.
② 에콜 폴리테크닉 대학; 처음은 군사 전문교육기관
㉠ 과학과 수학의 전문교육이 행해졌다.
㉡ 졸업 후 조직적, 체계적, 전문적 과학 활동에 종사하기에 적합한 교육을 담당했다.
㉢ 전문 직업화된 과학 활동을 수행할 수 있는 교육을 시켰다.
그랑 제콜(Grandes Ecoles)이 프랑스의 유일하고 독특한 교육 시스템이다. 그랑 제콜 이란 대학을 대신하는 특수고등교육기관 과정이다.
5.3.5. 과학의 전문직업화의 진행과 전파
① 프랑스에서 처음 시작되었으며, 19세기 중엽쯤에는 각각 다른 과정을 거쳐서 독일과 영국의 과학도 이를 뒤쫓았다.
② 독일에서는 과학연구가 대학에 확고하게 자리를 잡게 되었다. 大學敎授가 강의만이 아니라 과학의 연구를 중요시하게 되었고, 학생교육도 단순히 지식의 전수가 아니라 연구방법의 훈련에 치중하게 되었다.
③ 과학의 전문직업화와 과학연구의 제도적 정착은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초까지 미국과 유럽에서 이루어졌고 이후 일본, 러시아도 이를 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