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광고의 정의
2. 광고 매체의 종류
3. 광고 매체별 특성
4. TV광고의 문제점
5. 우리나라 광고의 문제점
6. 과장광고 (deceptive advertising)
1) 과장광고의 정의
2) 과장광고 관련 기사
3) 과장광고 피해 사례
7. 허위광고 (false advertising)
1) 허위광고의 정의
2) 허위광고 관련 기사
3) 과장, 허위광고의 예
8. 선정적 광고
1) 선정적 광고의 정의
2) 선정적 광고 관련 기사
3) 선정적 광고의 예
2. 광고 매체의 종류
3. 광고 매체별 특성
4. TV광고의 문제점
5. 우리나라 광고의 문제점
6. 과장광고 (deceptive advertising)
1) 과장광고의 정의
2) 과장광고 관련 기사
3) 과장광고 피해 사례
7. 허위광고 (false advertising)
1) 허위광고의 정의
2) 허위광고 관련 기사
3) 과장, 허위광고의 예
8. 선정적 광고
1) 선정적 광고의 정의
2) 선정적 광고 관련 기사
3) 선정적 광고의 예
본문내용
를 열거해본다.
광고는 인쇄 형태를 한 판매 술이다. (제임스.E.케네디, 1894)
광고는 광고주의 이익에 따라 행동을 하게 하기위한 아이디어, 서비스, 상품에 관한 정보의 전달이다. (AD.Age 광고정의 컨테스트 입선, 1932)
명시된 광고주가 행하는 아이디어, 상품, 서비스에 관한 유료행태의 비인적 설명, 촉진 활동의 모두이며 다음의 매체의 이용을 포함한다. 잡지, 신문의 스페이스, 영화, 옥외(포스터, 사인, 스카이라이딩 기타), DM, 점두사인, 노벨티(캘린더 기타)라디오, TV, 카드(자동차, 버스, 기타), 카다로그, 연감, 프로그램, 메뉴, 전단 등 이상 리스트는 예시적인 것으로 모두를 포함한 것이 아니다. (미국 마케팅협회의 정의, 1948)
이 밖에 광고의 정의를 내리면 다음과 같다.
가. 광고의 송신자
: 광고에는 광고주의 이름이나 브랜드명이 나타나야만 한다. 브랜드명이 광고주를 금방알 수 있는 힘이 있으면 브랜드가 광고주의 이름을 대신 할 수도 있다.
나. 광고의 수신자
: 최종 소비자, 일반의 상업용품이나 업무용품의 이용자, 유통업자 기타가 수신자가 되나 광고매체를 통해 전달되는 내용을 수용하는 사람들에 한해 제한된다.
다. 광고가 되는 것
: 광고주의 상품, 서비스, 송신자의 주장(사고), 방침(아이디어)이 광고의 대상이 된다.
라. 광고의 매체
: 신문, 잡지, 라디오, TV, 옥외 간판 등 비인적매체(세일즈맨과 같은 것)가 광고 매체이며 여기에는 제작비와는 별도의 광고 요금의 지불이 뒤따른다. 매체 측의 의도에 따라 광고주의 활동이 신문 등 매스미디어의 기사가 되는 경우가 있다.(퍼블리시티) 이는 언뜻 광고와 같아 보이나 광고주는 매체요금을 지불하지 않기 때문에 광고가 아니다. 퍼블리시티는 PR이나 판매촉진의 일부로 처리된다.
마. 광고의 목적
: 광고의 목적은 기업목표의 달성, 소비자 또는 이용자의 만족, 나아가 사회적 경제적 복지의 증대 등에 있다. 광고는 기업이 마케팅의 하나의 수단으로써 기업목표의 달성을 위해 쓰이는 것이나 그렇다고 기업 측 마음대로 하는 것이 아니다. 기업 활동에는 사회적인 책임이 뒤따르는 것으로서 사회적, 경제적 복지에 상반되는 광고는 시장에서 비판의 대상이 되어 오래 견디지 못한다.
이상을 정리하여 광고를 정의하면, 광고란 광고주가 소정의 사람을 대상으로 광고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행하는 상품, 서비스, 아이디어(사고, 방침, 의견 등)에 대해서의 정보전달 활동이며 그 정보는 광고주의 관리 가능한 광고매체를 통하여 흩어지는 것이다. 광고는 기업의 광고 목적의 수행은 물론, 소비자 또는 이용자의 만족, 나아가 사회적, 경제적 복지의 증대화 등의 기능을 수반한다.
2. 광고 매체의 종류
광고 매체는 기술의 발달에 따라, 정치와 사회의 변화에 따라 바뀐다. 개괄적으로 보면, 15세기 인쇄 기술의 발달로 신문과 잡지가 생겼으며, 이에 따라 인쇄 매체 광고가 생겼다. 사진 기술이 발달하자 흑백 광고에서 컬러 광고로 발전하였으며, 전기가 발명되자 네온사인 광고가 등장하였다. 또한 라디오 광고, 영화 광고, TV 광고는 기술의 발달로 생겨났으며, 컬러 TV의 개발로 다양한 광고의 형태가 제시되었다. 기술의 발달에 따라 광고 매체도 늘어났다. 국내의 경우 1960년대의 주요 매체는 라디오와 TV이었으며, 이후인 최근에는 신문, 잡지의 광고비와 라디오, TV의 광고비가 거의 비슷하게 되었다.
정치 체제와 사회의 변화, 이밖에도 경제의 발전, 교육수준의 향상에 따르는 문맹율의 저하 따위에 의해 변한다. 예를 들어 1980년대 초의 컴퓨터 관련 잡지의 등장, 1980년대 후반 증권 관련 잡지, 신문의 등장이 있다. 이 밖에도 그러한 예는 많이 있다. 그렇다면 상기 내용들에서 여러 가지 과정 중 나타나게 된 매체의 종류는 무엇이 있으며, 특성은 어떠한가를 살펴보기로 한다.
1) 인쇄매체(Print) 광고
(1) 신문
(2) 일반잡지 : 발행부수와 관계없이 유료광고를 게재하는 모든 정기간행물을 말한다. 다만 협회지, 또는 회원에게 무료로 배포되는 잡지 등은 제외한다.
(3) 전문지 : 전문지나 협회 또는 회원에게 배포되는 잡지이다. 각종연감은 제외된다.
2) 옥외, 교통광고
(1) 교통광고 : 지하철, 철도, 버스 등에 게재하는 광고.
(2) 옥외광고 : 모든 옥외 광고물로서, 고속 도로변의 간판이나, 도시건물의 간판.
(3) 기타옥외 광고 : 여기에는 주로 상점 건물 외에 있는 광고물로서, 상점자체의 광고용으로 사용되며, 전기료 또는 그밖에 비용을 지불하는 것을 포함한다. 따라서 건물 내의 광고물이나 광고료 지불을 하지 않는 것은 제외된다.
3) 극장광고
: 극장에서 영화를 상영할 때 하는 광고.
4) 라디오 광고
5) 텔레비전 광고
6) DM(direct mail)
: 이 광고물은 태반이 우송되는데 여기에 포함되는 것은 사보, 팸플릿, 전단, 카다로그, 브로쉬어, 판매용 서신 등이다. 또한 순전히 광고 수입에만 의존하여 무료로 독자에게 배포되는 간행물도 포함된다. 호텔 등에 가면 흔히 이런 간행물을 볼 수 있다. 관광객 상대로 내는 주간지 따위로서 누구든지 돈을 내지 않고도 집어볼 수 있게 되어있다.
7) 전시, 안내소
: 정확히 말하자면 전시, 시범, 안내소등으로 자동차 회사가 시내곳곳에 전시장을 두고 있는 것이나 관광 안내소 따위 그리고 서울에 있는 거대한 코엑스 전시장에 여러 기업이나 단체가 주최하는 전시회 등을 말한다. 박람회도 여기에 포함된다.
8) Display and POP
: 상점이란 파는 사람의 입장에서 보면 판매장소이다. 그래서 미국에서는 Point - of - Sales라고도 하는데 소비자의 입장에서 보면 상점은 구매 장소에 속한다. 그렇기 때문에 Point-of-Purchase라고도 한다. 일본 광고업계에서는 구매 시점 광고라고 번역하는데 POP라고 원어의 준말을 흔히 쓴다. 이 매체의 구분은 좀 모호한 점이 있으나 원칙적으로 생산업자나 상점측이 창문 진열용이나 상점 내 진열용으로 특별히 만든 광고물 및, 임대료를 지불하지 않지만 광고용으로 쓰이는 광고물이 포함된다. 가까운 예를 들자면 코카콜라카
광고는 인쇄 형태를 한 판매 술이다. (제임스.E.케네디, 1894)
광고는 광고주의 이익에 따라 행동을 하게 하기위한 아이디어, 서비스, 상품에 관한 정보의 전달이다. (AD.Age 광고정의 컨테스트 입선, 1932)
명시된 광고주가 행하는 아이디어, 상품, 서비스에 관한 유료행태의 비인적 설명, 촉진 활동의 모두이며 다음의 매체의 이용을 포함한다. 잡지, 신문의 스페이스, 영화, 옥외(포스터, 사인, 스카이라이딩 기타), DM, 점두사인, 노벨티(캘린더 기타)라디오, TV, 카드(자동차, 버스, 기타), 카다로그, 연감, 프로그램, 메뉴, 전단 등 이상 리스트는 예시적인 것으로 모두를 포함한 것이 아니다. (미국 마케팅협회의 정의, 1948)
이 밖에 광고의 정의를 내리면 다음과 같다.
가. 광고의 송신자
: 광고에는 광고주의 이름이나 브랜드명이 나타나야만 한다. 브랜드명이 광고주를 금방알 수 있는 힘이 있으면 브랜드가 광고주의 이름을 대신 할 수도 있다.
나. 광고의 수신자
: 최종 소비자, 일반의 상업용품이나 업무용품의 이용자, 유통업자 기타가 수신자가 되나 광고매체를 통해 전달되는 내용을 수용하는 사람들에 한해 제한된다.
다. 광고가 되는 것
: 광고주의 상품, 서비스, 송신자의 주장(사고), 방침(아이디어)이 광고의 대상이 된다.
라. 광고의 매체
: 신문, 잡지, 라디오, TV, 옥외 간판 등 비인적매체(세일즈맨과 같은 것)가 광고 매체이며 여기에는 제작비와는 별도의 광고 요금의 지불이 뒤따른다. 매체 측의 의도에 따라 광고주의 활동이 신문 등 매스미디어의 기사가 되는 경우가 있다.(퍼블리시티) 이는 언뜻 광고와 같아 보이나 광고주는 매체요금을 지불하지 않기 때문에 광고가 아니다. 퍼블리시티는 PR이나 판매촉진의 일부로 처리된다.
마. 광고의 목적
: 광고의 목적은 기업목표의 달성, 소비자 또는 이용자의 만족, 나아가 사회적 경제적 복지의 증대 등에 있다. 광고는 기업이 마케팅의 하나의 수단으로써 기업목표의 달성을 위해 쓰이는 것이나 그렇다고 기업 측 마음대로 하는 것이 아니다. 기업 활동에는 사회적인 책임이 뒤따르는 것으로서 사회적, 경제적 복지에 상반되는 광고는 시장에서 비판의 대상이 되어 오래 견디지 못한다.
이상을 정리하여 광고를 정의하면, 광고란 광고주가 소정의 사람을 대상으로 광고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행하는 상품, 서비스, 아이디어(사고, 방침, 의견 등)에 대해서의 정보전달 활동이며 그 정보는 광고주의 관리 가능한 광고매체를 통하여 흩어지는 것이다. 광고는 기업의 광고 목적의 수행은 물론, 소비자 또는 이용자의 만족, 나아가 사회적, 경제적 복지의 증대화 등의 기능을 수반한다.
2. 광고 매체의 종류
광고 매체는 기술의 발달에 따라, 정치와 사회의 변화에 따라 바뀐다. 개괄적으로 보면, 15세기 인쇄 기술의 발달로 신문과 잡지가 생겼으며, 이에 따라 인쇄 매체 광고가 생겼다. 사진 기술이 발달하자 흑백 광고에서 컬러 광고로 발전하였으며, 전기가 발명되자 네온사인 광고가 등장하였다. 또한 라디오 광고, 영화 광고, TV 광고는 기술의 발달로 생겨났으며, 컬러 TV의 개발로 다양한 광고의 형태가 제시되었다. 기술의 발달에 따라 광고 매체도 늘어났다. 국내의 경우 1960년대의 주요 매체는 라디오와 TV이었으며, 이후인 최근에는 신문, 잡지의 광고비와 라디오, TV의 광고비가 거의 비슷하게 되었다.
정치 체제와 사회의 변화, 이밖에도 경제의 발전, 교육수준의 향상에 따르는 문맹율의 저하 따위에 의해 변한다. 예를 들어 1980년대 초의 컴퓨터 관련 잡지의 등장, 1980년대 후반 증권 관련 잡지, 신문의 등장이 있다. 이 밖에도 그러한 예는 많이 있다. 그렇다면 상기 내용들에서 여러 가지 과정 중 나타나게 된 매체의 종류는 무엇이 있으며, 특성은 어떠한가를 살펴보기로 한다.
1) 인쇄매체(Print) 광고
(1) 신문
(2) 일반잡지 : 발행부수와 관계없이 유료광고를 게재하는 모든 정기간행물을 말한다. 다만 협회지, 또는 회원에게 무료로 배포되는 잡지 등은 제외한다.
(3) 전문지 : 전문지나 협회 또는 회원에게 배포되는 잡지이다. 각종연감은 제외된다.
2) 옥외, 교통광고
(1) 교통광고 : 지하철, 철도, 버스 등에 게재하는 광고.
(2) 옥외광고 : 모든 옥외 광고물로서, 고속 도로변의 간판이나, 도시건물의 간판.
(3) 기타옥외 광고 : 여기에는 주로 상점 건물 외에 있는 광고물로서, 상점자체의 광고용으로 사용되며, 전기료 또는 그밖에 비용을 지불하는 것을 포함한다. 따라서 건물 내의 광고물이나 광고료 지불을 하지 않는 것은 제외된다.
3) 극장광고
: 극장에서 영화를 상영할 때 하는 광고.
4) 라디오 광고
5) 텔레비전 광고
6) DM(direct mail)
: 이 광고물은 태반이 우송되는데 여기에 포함되는 것은 사보, 팸플릿, 전단, 카다로그, 브로쉬어, 판매용 서신 등이다. 또한 순전히 광고 수입에만 의존하여 무료로 독자에게 배포되는 간행물도 포함된다. 호텔 등에 가면 흔히 이런 간행물을 볼 수 있다. 관광객 상대로 내는 주간지 따위로서 누구든지 돈을 내지 않고도 집어볼 수 있게 되어있다.
7) 전시, 안내소
: 정확히 말하자면 전시, 시범, 안내소등으로 자동차 회사가 시내곳곳에 전시장을 두고 있는 것이나 관광 안내소 따위 그리고 서울에 있는 거대한 코엑스 전시장에 여러 기업이나 단체가 주최하는 전시회 등을 말한다. 박람회도 여기에 포함된다.
8) Display and POP
: 상점이란 파는 사람의 입장에서 보면 판매장소이다. 그래서 미국에서는 Point - of - Sales라고도 하는데 소비자의 입장에서 보면 상점은 구매 장소에 속한다. 그렇기 때문에 Point-of-Purchase라고도 한다. 일본 광고업계에서는 구매 시점 광고라고 번역하는데 POP라고 원어의 준말을 흔히 쓴다. 이 매체의 구분은 좀 모호한 점이 있으나 원칙적으로 생산업자나 상점측이 창문 진열용이나 상점 내 진열용으로 특별히 만든 광고물 및, 임대료를 지불하지 않지만 광고용으로 쓰이는 광고물이 포함된다. 가까운 예를 들자면 코카콜라카
추천자료
광고 매체로서 위성방송
성의 상품화 -영화와 광고 등등의 언론매체를 통해 본 성의 상품화
아시아나 항공사의 광고 마케팅 기획서(상황 분석, 기본 전략 단계, 크리에이티브 전략, 매체...
KTF기업 이미지 광고 매체 전략
광고매체에서 노인의 역할과 이미지
영상매체에서 나타난 포스트모더니즘 -영화, TV광고, 뮤직비디오를 중심으로-
[PPL, 간접광고 사례] 대중매체 속 PPL
매체별 광고 분석
광고예산결정, 광고메시지결정, 광고매체결정
광고기획 - 매체전략, 소비자, 제품, 시장, 경쟁 상황 분석,시장 세분화
[매스커뮤니케이션의 이해] 대중매체와 소비자본주의사회의 여성성과 남성성 -광고를 중심으로
대중매체 방송 광고언어 분석, 특징
나가사끼 짬뽕 [광고커뮤니케이션 제안서] 환경분석, 광고 기본 전략, 크리에이티브전략, 광...
[PPL] 대중매체 속에서의 간접광고(PPL) 정의, 사례, 이해와 장단점 및 나의 견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