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과학] 국가에 대한 기본정보 - 세네갈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인문과학] 국가에 대한 기본정보 - 세네갈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개괄적 이해

2. 세네갈 국기

3. 대외관계

4. 세네갈의 언어

5. 세네갈의 종교

6. 딸리베

7. 세네갈의 종족

8. 세네갈의 전통악기

9. 세네갈의 축제일

10. 세네갈의 관광지

11. 세네갈 여행 시 유의사항

12. 세네갈 사람들의 관습

13. 해야 할 일과 하지 말아야 할 일

14. 세네갈축구
※ 참고자료

본문내용

~15세기 월로프 왕들이 졸로프(Djolof)라고 불리는 커다란 지역을 통치하기 시작했는데 16세기에 여러 군주로 분활되었다. 그들은 Walo, Baol, Cayor, Sine, Saloum이다. 이 왕국들은 19세기에 프랑스에 의해 무너졌다. 마지막 월로프 왕은 랏 디오르(Lat Dior)로 전장에서 전사하였다. 월로프 왕국때부터 현재까지 그들 사회는 강한 혈맹의 관계가 있으며 크게 세 개의 카스트 계급이 존재하고 있다. 자유인인 고르 혹은 잠부(gor, jambur), 노예 계급인 잠(jaam)과 세공 기술자 네노(neeno)가 있다. 계급간에 결혼은 불가능 했다. 월로프는 다른 종족들 보다 유럽 열강과 먼저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면서 15~19세기 동안 유럽인들과 숨은 거대한 노예무역에 관련되었다.
주요 가치관과 관습 - 월로프 종족은 \'접대\'를 잘 하는 것으로 잘 알려진 종족이다. 접대라는 말은 타랑가(taranga)라고 말한다. 어느 손님이건 그 집에 들어가 유할 수 있으며 돌아갈 것을 권유받지 않으면서 식사까지 할 수 있다. 또한 후한 인심도 이들의 덕목이다. 여행에서 돌아온 사람은 많은 사람들로부터 선물을 요구받을 수 있는 문화이다. 대화에서 \'나\'라는 일인칭 보다는 \'우리\'라는 말을 사용한다. 공동체에서 결정을 할 때에는 많은 사람들이 관여해서 결정한다. 공동체 안에서의 가장 큰 징계는 \'사회격리\'이다. 사회에서의 격리를 두려워하는 것 때문에 복음을 전하는데 커다란 장애가 되어왔다. \'존경\'을 중요하게 받아들이기 때문에 존경받지 못하는 것에 대해서도 두려움을 가지고 있다. 그리스도인이 되는 것이 불명예스럽다는 것이 전도에 방해가 된다. 월로프 사회의 가장 핵심적인 목표는 David Maranz 책의 \"peace is everything\"에서 설명되었듯이 \'평화\'가 그들의 핵심적인 목표이다. 이 평화로 그들의 재산을 유지할 수 있으며 사람들과 영적인 존재들과 자연의 능력들과 관계를 세워갈 수 있다고 생각한다. 이런 평화를 위해 그들은 영적인 힘을 의지하거나 우주적인 힘을 찾으려고 한다. 그래서 이들에게는 많은 미신적인 조항들을 가지고 있다. 외모를 중요시 한다. 월로프는 자신의 품위와 집안의 자존심을 유지하기 위해 막대한 빚들을 지고 있다. 또한 그들은 다른 사람들의 시기로 인한 저주를 막기 위해서 \'악마의 주문\'이나 \'악마의 눈\'을 사용하여 두려움을 이기려고 한다. 돈에 대해서는 서양 사람들과 다른 시각을 가지고 있다. 아프리카 문화에서 가장 중요한 세 가지 가치 중의 하나이다. 하지만 서양인들과 다르게 최소한의 생존만을 위해 사용된다. 돈을 주고받는 것은 사회 내에서 아주 밀접한 관계로 유지하게 해 준다. 이들은 예화들과 시를 사용하기를 좋아한다. 그것들을 통해서 교훈을 얻기를 즐기기 때문에 선교사가 이 수천가지의 예화들 중에서 인용하는 것은 효과적일 것이다. 또한 이들의 예술적인 감각은 마스크와 색칠에 잘 나타나 있다. 특히 북소리를 즐기며 이야기들을 좋아한다.
종교
① 이슬람 - 모든 월로프족은 크게 두가지 수피 이슬람을 믿고 있다. 하지만 이 수피 이슬람은 정통이슬람과는 다른 양상의 자체 이슬람에서도 이단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간주된다. 두 개의 큰 부류인 수피 이슬람은 60%의 인구를 차지하는 띠얀(Tijaniyya)과 30%를 차지하는 무리(Mourides)이다. 이슬람은 세네갈에 11세기에 전해졌다. 하지만 이슬람의 종교 지도자인 마라부들의 영향력 행사는 17세기부터 시작되었다. 프랑스 식민통치로 이슬람은 민족주의 경향을 띠고 18,19세기에 급속히 확장되었다. 그들은 이슬람의 성스러운 전쟁이라는 지하드를 선포하였다. 특별히 마라부를 조상으로 둔 아마두 밤바(Sheikh Amadou Bamba)의 정항운동의 그의 신비주의 경향의 띠얀 수피 이슬람이 20세기에 월로프족 사이에 퍼져나갔다. 이 두 개의 이단성을 가진 또다른 형태의 이슬람은 마라부를 우상화하고 신성시하였다. 마라부의 가르침을 따르는 것이 구원의 보증으로 인식되었고 마라부는 또한 신과 인간 사이를 중재한다고 믿게 하였다. 또한 각자의 기도문을 가지고 있으며 다른 방식의 주문방법으로 서로 견재하며 포교를 하였다.
② 에니미즘 신앙 - 월로프족 사회는 그 형태는 이슬람이지만 내면에는 정령신앙이 자리잡고 있다. 보이는 형태의 삶의 단계는 정통적으로 이슬람이다. 그래서 그들은 기도도 하며 금식도 하고 그리고 수피이슬람의 신비주의를 따라 주문도 밤새도록 외운다. 하지만 그 신앙의 중심에는 민속신앙인 정령숭배적인 미신들로 채워져 있다. 그래서 그들은 실재적인 질병이나 의문점들을 가졌을 때는 검은 마술들을 사용한다. 마라부들도 직접 무당 역할을 하기도 한다. 가족의 우상을 따로 가지고 있거나 혹은 그것을 통해서 질병을 치료하는 행위도 하고 있다. 많은 미신적인 이야기들을 믿고 있으며 대부분의 월로프족들이 신생아를 악한 영으로 부터 보호하기 위해, 여인의 첫 생산을 보호하기 위해, 일터에서의 안전을 위해 칼을 곁에 두는 것등의 미신적인 행위들을 유지하고 있다.
2) 풀라족(the Fulas)
개요 - 세네갈 남부 베링가라 지역에는 두 풀라 종족이 존재하고 있다. 풀라쿤다(Fulacoundas)와 풀라푸타(Fula Futas)족이다. 풀라쿤다족은 말리 지역에서 들어 왔고 풀라푸타족은 기니 비사우와 기니로부터 들어온 것으로 믿어지고 있는데 인구는 많지 않으나 중요한 일이나 국경 무역에 종사하고 있다.
가족 생활 - 일부다처제는 보편적이다. 그래서 함께 협력하고 토론하며 계획을 세울 수 없는 사고들을 가지고 있다. 남편은 생산을 하고 아내는 가정 일과 아이를 돌본다. 비록 남편이 가족과 시간을 보내지 않더라도 모아놓고 이야기를 하는 편이다.
결혼 -통상 여성은 15세가 되면 결혼을 하나 마을에서는 보통 13,14세부터 결혼을 시작한다. 결혼 결정은 부모가 딸이 어릴 때에 결정한다. 콜라콩을 가지고 결혼 의식을 성사시키는데 신랑이 콜라콩을 신부 부모에게 주면 신부 부모가 콜라를 전달 받고 깬다면 결혼을 승인한다는 의미를 갖는다. 신부쪽에 지참금이 주어지는데 소나 가축, 오두막이나 침대, 카
  • 가격2,0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08.03.05
  • 저작시기2008.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5350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