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어진 자연형 비오톱과 새롭게 조성한 인공형 비오톱이 있는데, 자연형 비오톱의 생태적 안정성이 더 높다. 그러나 주거단지에서는 여건상 주로 인공형 비오톱이 조성되게 되는데, 이때 최대한으로 자연적인 요소와 특성을 살려주는 계획이 요구된다.
<독일 샤프륄 주거단지> <타마 뉴타운 지구>
5. 펄 리버 타워 (미국 Skidmore, Owings & Merrill사 설계. 중국)
미국 시카고소재 Skidmore, Owings & Merrill (SOM)은 에너지 소비량보다 더 많은 에너지를 자체 생산할 수 있는 69층 높이의 한 기업본사 건물을 설계했으며 이 건물은 지속 가능형 건축의 새로운 표준이 될 것이 확실하다고 11일 발표했다.
중국 광저우에 건설될 펄 리버 타워(Pearl River Tower)라는 이름의 이 건물은 바람과 태양 에너지를 이용할 것이다. 이 건물의 설계는 탁월풍의 방향을 조절하고 관리함으로써 바람은 이 타워를 강화하는데 도움을 주는 일종의 "비가시적 보강제"가 될 수 있다고 SOM 컨설팅 디자인 파트너인 아드리안 D. 스미스는 밝혔다.
펄 리버 타워 설계자인 그는 이어서 "이 건물은 환경과 조화를 맞추도록 설계된 상징적인 고성능 빌딩이다. 이 건물은 신시대의 마천루이다"라고 말했다.
이 혁신적인 설계는 중국의 한 주요 회사의 본사건물을 위한 공모에서 최종 심사대상에 선정된 3건의 설계 가운데 하나다. 광저우는 660만 명의 인구를 가진 아열대 항구도시로 홍콩에서 182km 떨어져 있다. 펄 리버 타워의 조각된 전면은 또한 건물의 기계 층에 있는 한 쌍의 개구부(Opening)로 바람이 향하도록 한다. 이 개구부에 들어가는 바람은 터빈을 돌림으로써 건물의 난방과 환기 및 냉방장치에 사용될 에너지를 생산하게 된다.
SOM의 프로젝트 건축기사 고든 질은 "이 개구부는 또한 건물의 전면에 가하는 바람의 압력을 완화시킨다. 건물의 반대편에 잠재적으로 피해를 줄 수도 있는 부정적인 압력도 완화시켜준다. 따라서 보다 안정적이고 안락한 건물이 될 수 있는 것이다"라고 말했다.
자연광을 최대한 이용하고, 냉방공간의 태양열을 감소시키며, 흐드렛 물 사용을 위해 빗물을 저장하고, 온수공급을 위해 태양열을 이용함으로써 에너지 소비를 줄일 수 있다. 스택 환기, 방사형 슬래브 냉방 및 케이슨 히트싱크는 건물을 식히는 작용을 한다. 교류전류는 건물 전면에 있는 태양 에너지 집열판을 통해서 생산된다.
<독일 샤프륄 주거단지> <타마 뉴타운 지구>
5. 펄 리버 타워 (미국 Skidmore, Owings & Merrill사 설계. 중국)
미국 시카고소재 Skidmore, Owings & Merrill (SOM)은 에너지 소비량보다 더 많은 에너지를 자체 생산할 수 있는 69층 높이의 한 기업본사 건물을 설계했으며 이 건물은 지속 가능형 건축의 새로운 표준이 될 것이 확실하다고 11일 발표했다.
중국 광저우에 건설될 펄 리버 타워(Pearl River Tower)라는 이름의 이 건물은 바람과 태양 에너지를 이용할 것이다. 이 건물의 설계는 탁월풍의 방향을 조절하고 관리함으로써 바람은 이 타워를 강화하는데 도움을 주는 일종의 "비가시적 보강제"가 될 수 있다고 SOM 컨설팅 디자인 파트너인 아드리안 D. 스미스는 밝혔다.
펄 리버 타워 설계자인 그는 이어서 "이 건물은 환경과 조화를 맞추도록 설계된 상징적인 고성능 빌딩이다. 이 건물은 신시대의 마천루이다"라고 말했다.
이 혁신적인 설계는 중국의 한 주요 회사의 본사건물을 위한 공모에서 최종 심사대상에 선정된 3건의 설계 가운데 하나다. 광저우는 660만 명의 인구를 가진 아열대 항구도시로 홍콩에서 182km 떨어져 있다. 펄 리버 타워의 조각된 전면은 또한 건물의 기계 층에 있는 한 쌍의 개구부(Opening)로 바람이 향하도록 한다. 이 개구부에 들어가는 바람은 터빈을 돌림으로써 건물의 난방과 환기 및 냉방장치에 사용될 에너지를 생산하게 된다.
SOM의 프로젝트 건축기사 고든 질은 "이 개구부는 또한 건물의 전면에 가하는 바람의 압력을 완화시킨다. 건물의 반대편에 잠재적으로 피해를 줄 수도 있는 부정적인 압력도 완화시켜준다. 따라서 보다 안정적이고 안락한 건물이 될 수 있는 것이다"라고 말했다.
자연광을 최대한 이용하고, 냉방공간의 태양열을 감소시키며, 흐드렛 물 사용을 위해 빗물을 저장하고, 온수공급을 위해 태양열을 이용함으로써 에너지 소비를 줄일 수 있다. 스택 환기, 방사형 슬래브 냉방 및 케이슨 히트싱크는 건물을 식히는 작용을 한다. 교류전류는 건물 전면에 있는 태양 에너지 집열판을 통해서 생산된다.
추천자료
LED(발광다이오드)의 정의와 특성, LED(발광다이오드)의 전압과 전류, 미래의 조명기구로서 ...
[논설문][논설문 예문][논설문 사례]산불조심 관련 논설문 예문, 에너지 관련 논설문 예문, ...
[무상급식]학교 무상급식 전면 확대, 무엇이 문제인가? - 친환경 무상급식 시행의 장단점과 ...
에너지관리,에너지정책,마케팅,브랜드,브랜드마케팅,기업,서비스마케팅,글로벌,경영,시장,사...
유한킴벌리 친환경 마케팅 사례분석(그린마케팅)
친환경 건축기술을 활용한 서울시의 전력수요 관리
에너지 소비현황 및 선진사례 분석
식량위기,바이오연료,대체에너지,마케팅,브랜드,브랜드마케팅,기업,서비스마케팅,글로벌,경영...
RED BULL “RED BULL GIVES YOU WINGS.” - 레드불,에너지 드링크라는 블루오션 시장의 개척,음...
sk에너지,정유회사,마케팅,브랜드,브랜드마케팅,기업,서비스마케팅,글로벌,경영,시장,사례,sw...
전략적 신 기술혁신 경영 사례(삼성, 카카오톡, 구글, SDI, 하이패스, 타타, 3D 프린팅, 친환...
탄소배출권거래제도,우리나라의 탄소배출권 거래제도, 탄소 거래소, 환경 경제학, 환경부, 기...
종합에너지회관 KEMCO(친환경건축)
현재 한국사회의 에너지 문제는 어떤 상태인지 서술한 후, 문제의 원인을 분석하고, 사회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