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또는 만성염증
총빌리루빈과 포합빌리루빈 상승,
요빌리루빈 상승, 요 urobilinogen 감소 : 황달 : 소양증 : 회색대변 : 비타민 K 흡수장애 → 프로트롬빈 시간 연장
담즙성 산통과 심한 통증으로 인한 전반적인 증상
지방음식 불내성, 소화불량, 트림, 오심 및 구토, 저혈량, 혈압저하, 빈맥, 빈호흡 및 발한, 저칼륨혈증
오한, 발열 및 백혈구 상승
◆ 병태생리
담관의 폐색에 의해 나타나는 급성 결석성 담낭염은 담낭 팽만을 유발한다. 이타적으로 정맥성, 임파성 배액 장애, 세균 증식 유발, 국소적인 피부 자극 또는 침윤, 허혈 부위가 악화될 수도 있다. 염증이 있는 담낭벽은 부종이 있고 딱딱하며, 괴사 되는 경우도 있다. 담낭에 농이 있는 상태를 담낭축농증이라고 하고, 심각한 패혈증이 유발되기도 한다. 급성 담낭염의 재발은 담낭벽의 섬유화를 유발한다. 치료되지 않은 금성 담낭염의 흔한 합병증으로 패혈증이 나타나며, 또한 담낭의 허혈, 염증, 유착, 괴사, 천공, 담낭 주위의 농양, 누공 등이 나타나기도 한다
◆ 담낭염의 종류
1) 급성 담낭염
담도에 염증이 일어나는 병으로 염증이 담낭을 중심으로 일어나는 경우를 담낭염, 담관을 중심으로 일어나는 경우를 담관염이라고 한다. 담낭염, 담관염의 대부분은 세균감염에 의해 일어나며 드물게는 화학물질의 자극이 원인이 되는 경우도 있다. 담낭염은 남녀 모두에게 일어날 수 있으나 여성의 경우 더 많이 일어난다. 또한 성인에게 나타나는 것이 보편적이나 드물게는 어린이나 사춘기의 청소년에게도 나타난다.
2) 만성 담낭염
일반인들에게 \"위경련\"이라 일컫는 증상이 원인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평상시 전혀 증상이 없다가 갑자기 명치끝이나 우상복부에 심한 통증이 나타나며 때로는 우상복부 통증과 함께 오른쪽 어깨 죽지까지 통증이 뻗치면서 환자가 뒹굴 정도로 그 통증이 매우 강하게 나타난다. 짧게는 수분 내지 30분, 길게는 몇 시간씩 통증이 지속된다. 이때의 통증은 일정시간동안 계속 강하게 지속되는 것이 특징이며 열이나 압통의 동반은 없고 가끔 구토를 수반하는 수도 있다. 통증이 없을 때는 언제 아팠던가 할 정도로 멀쩡하며 통증의 발작을 미리 예견할 수는 없으나 가끔 과식이나 지방이 많은 음식을 섭취하였을 때 나타나기도 하므로 음식물 섭취에 주의해야 한다.
3) 급성 비결석성 담낭염
급성 비결석성 담낭염은 담석의 폐쇄작용과 무관하게 발생되는 담낭염으로, 급성 담낭염 중 약 4-8%로 증간하는 추세이다. 비결석성 담낭염은 심한 외상, 화상, 수술, 지연된 출산 후 산욕기와 세균성 래혈증, 심혈관질환, 결핵, 육종증 등과 관련하여 발생되기도 한다. 질병의 진행 과정에 있어서 괴사와 천공의 발병률이 조금 더 높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결석성 담낭염과 큰 차이는 없다.
◆ 원인
담석에 의한 담관의 폐색은 급성
담낭염의 일반적인 원인이다. 그러나
나 대상자의 5-10%는 비결석성 담
낭염으로, 수술시 담관을 폐쇄시키
는 담석은 발견되지 않는다. 급성 담
낭염의 주요 예방 가능한 위험 요인
은 좌식 생활 습관과 비만이다. 대상
자의 활동 정도를 증가시키고 저지방
식이를 한다면 담낭염의 위험 요인이
적어질 수 있다.
◆증상
대부분 오른쪽 윗배가 아픈데, 아파서 데굴데굴 구를 정도의 산통(疝痛)은 2/3 정도의 환자만 경험하고 노인은 상대적으로 증상을 덜 느낀다. 숨쉴 때에 따라서 아픈 정도가 달라지고 밥을 먹으면 더 심해지는 경향이 있다. 열이 나고 식욕이 없어지고 욕지기가 나고 토하기도 하며 황달이 오기도 한다. 그리고 상당수 환자는 그 전에도 이미 비슷한 증상을 여러 번 경험하다. 이와 같은 염증이 심해지면 쓸개에 고름이 많아지고 때로는 구멍이 뚫릴 수도 있다. 균이 온몸에 퍼지는 패혈증이 될 수도 있으므로 이때에는 치료를 서둘러야 한다.
◆ 진단방법
혈액 검사상 aminotransferase. alkaline phosphatase 및 bromosulfaphalein이 정상 범위에서 약간 벗어난다. 백혈구의 증가는 노인 대상자와 스테로이드 요법을 받고 있는 대상자를 제회하고, 전체 대상자의 85%에서 나타난다. 방사선 검사로는 담낭 촬영법과 담관 조영술이 있다.
A. 담낭 촬영법 - 담낭의 모양과 위치를 보기 위하여 찍는 것이며, 담석은 방사선 불투과성이 거의 없으므로 담낭에 방사선 불투과성 색소를 가득 채워결석이 음영으로 나타나게 한다. (구강 혹은 경정맥으로 조영제 투여)
B. 담관 조영법 - 색소를 담관에 직접 주입한다.
간기능에 무관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담관내에 있는 돌의 위치를 알 수 있고 담관계의 암을 발견하고 진단할 수 있다.
◆ 치료
1) 내과적 치료
급성 담낭염과 그 합병증 치료의 가장 중요한 것은 외과적 처치이지만, 담낭절제술 전에 일정기간의 입원 및 안정이 필요하다. 금식을 시키고 경비위배액법을 시작하며, 세포외액 탈수와 전해질 불균형을 교정한다.
진통제로는 메페리딘(meperidine)이나 펜타조신(pentazocine)등이 주로 사용되고, 항생제로는 ampicillin, cephalosporin, aminoglycosides등이 사용되며, 이는 당뇨병이나 쇠약한 환자의 경우에 더 효과적이다.
2) 외과적 치료
급성 담낭염의 진단이 내려지면, 그 위험 요소에 따라 담낭절제술 시행이 결정된다. 불안정한 협심증, 심각한 경동맥 질환, 울혈성 심부전증, 간경화증 및 대상자가 험에 처하게 될 때는 수술을 미루게 된다. 급성 담낭염시 담낭절제술은 팽창된 담낭 때문에 다소 어렵다. 담낭젤제술이 대상자에게 매우 위험할 때는 담낭 조루술을 시행한다.
◆ 예후
전체사망률은 5~10%로 주로 노인아니 전신상태가 불량한 환자에서 야기되며, 사망원인은 패혈증, 폐렴, 순환계 합병증 등이 있다. 자유천공시는 25%의 사망률을 보이지만, 부분천공때는 조기수술요법으로 잘 치유된다.
◆ 담낭염의 합병증
1) 축농과 수종(Empyema and hydrops)
담낭내 축농은 지속적인 담낭관의 폐쇄로 정체된 담즙에 농형성 세균이 중복 감염되어 급성 담낭염이 진행됨으로써 발생하며, 임상 양상은 고열, 심한 우상복부 동통과 백혈구증다증,
총빌리루빈과 포합빌리루빈 상승,
요빌리루빈 상승, 요 urobilinogen 감소 : 황달 : 소양증 : 회색대변 : 비타민 K 흡수장애 → 프로트롬빈 시간 연장
담즙성 산통과 심한 통증으로 인한 전반적인 증상
지방음식 불내성, 소화불량, 트림, 오심 및 구토, 저혈량, 혈압저하, 빈맥, 빈호흡 및 발한, 저칼륨혈증
오한, 발열 및 백혈구 상승
◆ 병태생리
담관의 폐색에 의해 나타나는 급성 결석성 담낭염은 담낭 팽만을 유발한다. 이타적으로 정맥성, 임파성 배액 장애, 세균 증식 유발, 국소적인 피부 자극 또는 침윤, 허혈 부위가 악화될 수도 있다. 염증이 있는 담낭벽은 부종이 있고 딱딱하며, 괴사 되는 경우도 있다. 담낭에 농이 있는 상태를 담낭축농증이라고 하고, 심각한 패혈증이 유발되기도 한다. 급성 담낭염의 재발은 담낭벽의 섬유화를 유발한다. 치료되지 않은 금성 담낭염의 흔한 합병증으로 패혈증이 나타나며, 또한 담낭의 허혈, 염증, 유착, 괴사, 천공, 담낭 주위의 농양, 누공 등이 나타나기도 한다
◆ 담낭염의 종류
1) 급성 담낭염
담도에 염증이 일어나는 병으로 염증이 담낭을 중심으로 일어나는 경우를 담낭염, 담관을 중심으로 일어나는 경우를 담관염이라고 한다. 담낭염, 담관염의 대부분은 세균감염에 의해 일어나며 드물게는 화학물질의 자극이 원인이 되는 경우도 있다. 담낭염은 남녀 모두에게 일어날 수 있으나 여성의 경우 더 많이 일어난다. 또한 성인에게 나타나는 것이 보편적이나 드물게는 어린이나 사춘기의 청소년에게도 나타난다.
2) 만성 담낭염
일반인들에게 \"위경련\"이라 일컫는 증상이 원인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평상시 전혀 증상이 없다가 갑자기 명치끝이나 우상복부에 심한 통증이 나타나며 때로는 우상복부 통증과 함께 오른쪽 어깨 죽지까지 통증이 뻗치면서 환자가 뒹굴 정도로 그 통증이 매우 강하게 나타난다. 짧게는 수분 내지 30분, 길게는 몇 시간씩 통증이 지속된다. 이때의 통증은 일정시간동안 계속 강하게 지속되는 것이 특징이며 열이나 압통의 동반은 없고 가끔 구토를 수반하는 수도 있다. 통증이 없을 때는 언제 아팠던가 할 정도로 멀쩡하며 통증의 발작을 미리 예견할 수는 없으나 가끔 과식이나 지방이 많은 음식을 섭취하였을 때 나타나기도 하므로 음식물 섭취에 주의해야 한다.
3) 급성 비결석성 담낭염
급성 비결석성 담낭염은 담석의 폐쇄작용과 무관하게 발생되는 담낭염으로, 급성 담낭염 중 약 4-8%로 증간하는 추세이다. 비결석성 담낭염은 심한 외상, 화상, 수술, 지연된 출산 후 산욕기와 세균성 래혈증, 심혈관질환, 결핵, 육종증 등과 관련하여 발생되기도 한다. 질병의 진행 과정에 있어서 괴사와 천공의 발병률이 조금 더 높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결석성 담낭염과 큰 차이는 없다.
◆ 원인
담석에 의한 담관의 폐색은 급성
담낭염의 일반적인 원인이다. 그러나
나 대상자의 5-10%는 비결석성 담
낭염으로, 수술시 담관을 폐쇄시키
는 담석은 발견되지 않는다. 급성 담
낭염의 주요 예방 가능한 위험 요인
은 좌식 생활 습관과 비만이다. 대상
자의 활동 정도를 증가시키고 저지방
식이를 한다면 담낭염의 위험 요인이
적어질 수 있다.
◆증상
대부분 오른쪽 윗배가 아픈데, 아파서 데굴데굴 구를 정도의 산통(疝痛)은 2/3 정도의 환자만 경험하고 노인은 상대적으로 증상을 덜 느낀다. 숨쉴 때에 따라서 아픈 정도가 달라지고 밥을 먹으면 더 심해지는 경향이 있다. 열이 나고 식욕이 없어지고 욕지기가 나고 토하기도 하며 황달이 오기도 한다. 그리고 상당수 환자는 그 전에도 이미 비슷한 증상을 여러 번 경험하다. 이와 같은 염증이 심해지면 쓸개에 고름이 많아지고 때로는 구멍이 뚫릴 수도 있다. 균이 온몸에 퍼지는 패혈증이 될 수도 있으므로 이때에는 치료를 서둘러야 한다.
◆ 진단방법
혈액 검사상 aminotransferase. alkaline phosphatase 및 bromosulfaphalein이 정상 범위에서 약간 벗어난다. 백혈구의 증가는 노인 대상자와 스테로이드 요법을 받고 있는 대상자를 제회하고, 전체 대상자의 85%에서 나타난다. 방사선 검사로는 담낭 촬영법과 담관 조영술이 있다.
A. 담낭 촬영법 - 담낭의 모양과 위치를 보기 위하여 찍는 것이며, 담석은 방사선 불투과성이 거의 없으므로 담낭에 방사선 불투과성 색소를 가득 채워결석이 음영으로 나타나게 한다. (구강 혹은 경정맥으로 조영제 투여)
B. 담관 조영법 - 색소를 담관에 직접 주입한다.
간기능에 무관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담관내에 있는 돌의 위치를 알 수 있고 담관계의 암을 발견하고 진단할 수 있다.
◆ 치료
1) 내과적 치료
급성 담낭염과 그 합병증 치료의 가장 중요한 것은 외과적 처치이지만, 담낭절제술 전에 일정기간의 입원 및 안정이 필요하다. 금식을 시키고 경비위배액법을 시작하며, 세포외액 탈수와 전해질 불균형을 교정한다.
진통제로는 메페리딘(meperidine)이나 펜타조신(pentazocine)등이 주로 사용되고, 항생제로는 ampicillin, cephalosporin, aminoglycosides등이 사용되며, 이는 당뇨병이나 쇠약한 환자의 경우에 더 효과적이다.
2) 외과적 치료
급성 담낭염의 진단이 내려지면, 그 위험 요소에 따라 담낭절제술 시행이 결정된다. 불안정한 협심증, 심각한 경동맥 질환, 울혈성 심부전증, 간경화증 및 대상자가 험에 처하게 될 때는 수술을 미루게 된다. 급성 담낭염시 담낭절제술은 팽창된 담낭 때문에 다소 어렵다. 담낭젤제술이 대상자에게 매우 위험할 때는 담낭 조루술을 시행한다.
◆ 예후
전체사망률은 5~10%로 주로 노인아니 전신상태가 불량한 환자에서 야기되며, 사망원인은 패혈증, 폐렴, 순환계 합병증 등이 있다. 자유천공시는 25%의 사망률을 보이지만, 부분천공때는 조기수술요법으로 잘 치유된다.
◆ 담낭염의 합병증
1) 축농과 수종(Empyema and hydrops)
담낭내 축농은 지속적인 담낭관의 폐쇄로 정체된 담즙에 농형성 세균이 중복 감염되어 급성 담낭염이 진행됨으로써 발생하며, 임상 양상은 고열, 심한 우상복부 동통과 백혈구증다증,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