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국제약 복합마데카솔의 마케팅 전략에 관한 조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회사소개 『동국제약』
▣ 동국제약 기업이념 “Human & Life"
▣ 동국제약 회사개요
▣ 동국제약 회사연혁

2. 복합 마데카솔
▣ 복합 마데카솔 제품설명
▣ 복합 마데카솔 임상결과

3. 한국인의 정서 “끝없는 자식 사랑의 부모”
컨셉을 이용한 광고 전략

4. 경쟁제품 후시딘

5. 복합 마데카솔의 swot분석

6. 동국제약의 4P분석

7. 동국제약의 STP

8. 결론

본문내용

드 및 항생제 의약품 개발에도 힘쓰고 있다.
* 유기합성부 : 새로운 원료의약품의 합성과 광학활성기술(Chirotechnology)을 이용한 고부가가치 원료의 약품개발을 목표로, 축적된 Know-how를 바탕으로 신공정 창출을 통한 경쟁우위의 고품질 원료의약품을 개발하는 전략을 최우선으로 추진하고 있습니다. 또한 KG-Lab 운영 및 자체 분석 시스템 가동 등을 바탕으로 합성공정의효율성 극대화를 이루기 위한 노력도 병행하고 있다.
4) Place (유통)
미국, 네덜란드. 러시아, 중국, 호주, 이집트, 독일 등 전세계에 걸쳐 Streptokinase , Neurocolin, Pofol injection 등을 수출하고 있다.
7. 동국제약의 STP
1) 시장의 세분화 (Market Segmentation)
국내 상처치료제 시장에서 화상, 찰과상, 궤양 등에 효과가 있는 연고형태로 종합적인 상처치료제로 세분화 한다. 심하지 않은 상처나 화상에 쉽고 빠르게 대처 할 수 있는 치료로 모든 연령층을 대상으로 브랜드의 인지도를 높여 제품을 알린다.
2) 표적시장(Market Targeting)
모든 연령층이 대상이 되긴 하지만 특히 가벼운 찰과상이 많은 아이들에게 약을 사줄 수 있는 부모들을 주 타켓으로 설정한다.
또한 브랜드 인지도를 높이기 위해 소비자들에게 소독이 필요 없는 상처치료제, 식물성분으로 피부재생 기능이 뛰어난 치료제로서 제품의 차별화된 점을 강조하여 뛰어난 제품력을 내세워 적극적인 마케팅활동으로 ‘대한민국 대표 상처치료제’로써 브랜드 이미지를 높인다.
3) 포지셔닝(Positioning)
차별화 된 브랜드 이미지와 제품력을 내세워 브랜드 인지도를 높인다.
* 일동제약 메디폼(붙이는 형태의 상처치료제)
밴드 시장의 고급화로 인해 연고를 바르지 않아도 치료가 가능하다는 인식이 소비자들의 뇌리에 조금씩 심어지고 있다. 메디폼은 지난 2002년 매출 16억에서 작년 120억을 달성하는 등 가파른 성장을 보여왔고 흉터 억제용 실리콘 젤시트인 스카클리닉과 연계한 마케팅을 추진한다면 매출이 더 증가할 수 있어 상처치료제 시장이 재편될 가능성도 없지 않다. 그러나 메디폼의 매출 증가가 직접 후시딘이나 마데카솔의 매출 감소로 이어지지는 않아 의약외품인 메디폼이 상처치료제 시장과는 거의 상관이 없다는 의견도 만만치 않다
8. 결론
해마다 광고를 바꿔가면서 시장점유율 2위를 지키고 있다. 부모의 자식 사랑을 나타내는 광고 컨셉으로 내 자식의 흉터를 남지 않게 복합 마데카솔을 바르자는 내용을 줄 곧 지켜왔다. 또한 “새살이 솔~솔” 이라는 문구를 매 광고마다 꼭 넣어 마데카솔의 이미지를 부각시키고 있다. 이런 광고로 동국제약은 친숙한 브랜드 이미지를 만들었고 식물성분 “마데카솔”로 피부재생이 뛰어난 차별화된 제품으로 제품의 이미지를 구축해하고 있다.
그러나 계속 2위의 자리로 먼저 나온 후시딘에 브랜드 이미지나 선호도가 부족하고 또, 새로운 형태의 상처치료제도 많이 나오는 상황으로 좀 더 자극적이고 차별화된 제품으로 발전해 나가야 할 것이다.
  • 가격2,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8.03.17
  • 저작시기2008.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5562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