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방송산업 및 산업별 개선 방안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의 방송산업 및 산업별 개선 방안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제1장. 서론
1 연구 목적
2 연구 범위 및 방법

제2장. 방송 산업의 개괄
1 산업으로서 방송
2 방송 산업의 분류

제3장. 방송 산업 분야별 특징 및 문제점
1 지상파 방송
2 케이블 방송
3 위성 방송
4 DMB
5 IPTV

제4장. 방송 산업별 개선 방안
1 지상파 방송
2 케이블 방송
3 위성 방송
4 DMB
5 IPTV

본문내용

방송시장 창출을 통해 방송 산업 활성화에 기여
- 신규 컨텐츠 개발과 유통을 통한 방송영상산업 활성화에 기여
- 인프라 구축, 서비스제공, 단말기 제조, 유통 등 관련 산업 활성화 및 고용창출에 기여
- 시청자들의 증대로 광고주의 광고와 기업가의 투자를 활발히 유도할 수 있음.
(2) 지상중계기 갭필러(Gap Filler) 설치: 서비스의 안정화 및 보편성의 강조
가. 지하철과 옥내까지 지상중계기를 구축하려면 수도권에서만 약 300~500억이 소요 ->
파 DMB사업자가 부담하기 어려움 -> 정부 및 이동통신사의 원조 필요
나. 통신사업자, 방송사업자의 상호협력으로 인프라 조기구축
3) 사업자 측면
(1) 킬러 컨텐츠의 개발
- 킬러 컨텐츠란?: 매체의 특성을 십분 살려 경쟁력을 극대화한 컨텐츠.
- 따라서 DMB가 제공하는 킬러 컨텐츠란? DMB의 매체 특성에 부합하는, 경쟁력을 갖춘 컨텐츠 또는 서비스.
- 시청자의 시청행태 파악이 성공의 요소라고 판단하고 연령별, 성별, 직업별, 지역별 등 다양한 층에 맞는 선호프로그램과 채널을 파악해 프로그램을 제작함.
- 이동방송의 특성에 맞는 질 높은 컨텐츠를 개발하여 방송함으로써 DMB에 우호적인 초기 시청자를 확보해야 함.
- 컨텐츠의 질이 사업의 성패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므로 투자를 확대해야 함.
- 따라서 정부 및 기업투자가의 지원이 매우 중요.
○ 차별화 된 컨텐츠 개발이 필요
예) 직장인들의 출퇴근 및 학생의 등하교 이동시간에 맞는 어학 학습 컨텐츠 및 입시교육 컨텐츠 등의 틈새시장 개발을 통한 차별화 된 휴대 이동 시청에 적합한 서비스의 제공이 요구
4) 광고 문제의 해결
가. 사업초기 과다한 투자비 및 정상화 지연, 이동방송의 매체특성 및 시청행태, 위성 DMB 와의 형평성 등을 고려하여 수익성 확보를 위해 광고 관련 각종 규제
를 완화하는 방안을 검토해야 함.
나. 중간 광고 허가로 인한 광고수익 극대화: TV프로그램 중간에 들어가는 광고. 미국, 유 럽, 일본 등 선진국에서 운용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중간광고는 1974년 3월 폐지됐으 며, 현재 케이블TV와 위성방송에서만 허용되고 있다. 현행 방송법 시행령은 지상파 방 송의 경우 프로그램 중간에 광고를 하지 못하도록 규정하고 있으며(운동경기, 문화ㆍ예 술행사 등 중간에 휴식 또는 준비시간이 있는 프로그램 제외), 프로그램 광고시간은 프 로그램의 10%(토막광고 등 포함하면 전체의 16.7%) 이내로 제한하고 있다.
5. IPTV
1) IPTV 수익성 창출 전략
(1) 다 채널과 양방향 서비스
IPTV의 가장 큰 특징은 다채널과 양방향서비스이다. 여기에 디지털 화질과 음향을 제공한다는 점이 강점이다. 하지만 다채널의 특성은 소비자 선택권을 강화한다는 장점을 갖는 대신 콘텐츠제공업계에서는 시청률을 기반으로 하는 경쟁이 더욱 가속화 될 전망이다. 따라서 무엇보다도 콘텐츠에 대한 사업전략이 IPTV 사업의 경쟁력을 좌우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또한 양방향서비스는 다양한 결합 서비스를 창출하여 광고시장의 활성화가 가장 주목되며, VOD 서비스, T-commerce 등 다양한 연동 서비스가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2) 콘텐츠 확보를 위한 전략적 제휴
다채널에 따른 콘텐츠확보를 위해서는 지상파 방송사는 물론 CATV PP와의 전략적 제휴를 통해 프로그램의 원활한 확보와 독점적 프로그램 사업권 확보가 중요하다. 또한 해외방송 콘텐츠 확보에도 노력해야 할 것이다. 이와 더불어 향후 높은 수요가 예상되는 엔터테인먼트 콘텐츠 춥고에 주력해야 할 것이다. 스포츠, 영화, 음악, 게임업체와의 콘텐츠 제휴를 통해 경쟁력 확보가 시급할 것으로 보인다. 여기에 검색 기능에 대한 적극적인 접근이 요구된다. 다채널 다프로그램을 원하는 시간에 소비자가 선택하기 때문에 IPTV 시청자의 검색에 따른 노출이 시청률에 영향을 줄 것으로 예측되며, 이에 따라 광고수익이 증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즉 타겟팅을 확실하게 할 수 있는 IPTV 특성상 기업들의 광고 지행이 증가할 것이며, 이와 연동된 T-commerce가 활성화 될 것으로 전망된다. 즉 리모콘 하나로 프로그램을 시청하며 상품을 구매하고 대금 역시 결제할 수 있는 시장이 형성될 것이다. 이에 따라 전자결제 시장의 IPTV 진출이 전망된다.
결론적으로 IPTV의 성공전략은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IPTV 네트워크 사업자와 콘텐츠 제공업체, IPTV STB 업체간의 전략적 제휴관계를 강화하여 풍부한 콘텐츠를 시청자에게 안정적으로 공급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며, 소비자 접근성 및 프로그램 노출에 대한 차별화 4전략으로 광고 및 T-commerce와 연계한 수익 창출이 동반되어야 ks다. 또한 현재 통신사업자들의 상품판매의 주요 형태인 TPS(전화, 인터넷, TV)에 이동통신이 결합하는 QPS가 시장의 주류가 될 것으로 전망되어 방송을 신 컨버젼스 최대 매체로서 IPTV의 시장영역 확대가 주목된다.
IPTV 기술워크샵
구분
핵심 성공 요소
내용
Service
Service
기존방송매체와의 차별성 부각
서비스 기능 대비 가격 차별성 확보
Bundle SVC를 통한 Value Positioning
Contents
Contents sourcing을 통한 Market window 확보
인터넷 영역의 Contents Packaging을 통한 차별화 추구
쌍방향 Contents를 활용한 Biz-Model 확대
Marketing
Positioning
인터넷을 통한 Personal Multi-Media(TV 활용도 확장)
High end Market 지향
Integrated Service package
Marketing Drive
Push Marketing 정책 추구
기존 방송과 차별화된 Brand Identity 구축
Customer Care
기존 Telco Product 수준의 Customer Loyalty 확보
Technical
Network
Musticast, QoS 확보
Standard
Cost 인하 요인 확보를 위한 표준화/규격화
Relation
Regulation
제도에 의한 서비스 제약성 해소

키워드

  • 가격3,000
  • 페이지수30페이지
  • 등록일2008.03.17
  • 저작시기2008.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5580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