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머리말
2. 본론
(1) 속요의 장르명칭 및 개념
(2) 기록문헌과 작품
- 익재 및 급암 소악부
- 高麗史樂志(고려사악지)
- 樂學軌範(악학궤범)
- 時用鄕樂譜(시용향악보)
- 樂章歌詞(악장가사)
- 樂學便考(악학편고)
- 大樂後譜(대악후보)
(3) 속요의 음악과 형식
- 속요의 음악
- 속요의 형식상의 특징
- 속요의 내용상의 특징
(4) 작품감상
(5) 작가와 향유층 및 시대
(6) 속요의 장르적 특성과 정서
3. 맺음말
2. 본론
(1) 속요의 장르명칭 및 개념
(2) 기록문헌과 작품
- 익재 및 급암 소악부
- 高麗史樂志(고려사악지)
- 樂學軌範(악학궤범)
- 時用鄕樂譜(시용향악보)
- 樂章歌詞(악장가사)
- 樂學便考(악학편고)
- 大樂後譜(대악후보)
(3) 속요의 음악과 형식
- 속요의 음악
- 속요의 형식상의 특징
- 속요의 내용상의 특징
(4) 작품감상
(5) 작가와 향유층 및 시대
(6) 속요의 장르적 특성과 정서
3. 맺음말
본문내용
크게 대우를 받던 속요는 조선왕조가 들어서던 건국 초기부터 문제성이 있는 노래로 지목된다. 이른바 비리, 망탄하고 남녀상열의 음사라 하여 사리부재의 가혹한 평가가 내려진다. 그리하여 청산별곡이며 만전춘 등은 조선왕조의 이른 시기에 이미 비판의 대상이 되었다. 그 결과 곡조는 들을 만하다고 하여 그대로 남겨 두고 노랫말만 근엄한 것으로 새로 지어서 대체시킨 이른바 개사곡이 편법으로 사용되었다. 일부 노래는 궁중 밖으로 추방당하는 경우도 있었다.
2)격정적이고 비관적인 정서
우리 시가사(詩歌史)의 전체적인 흐름위에 놓고 볼때 속요의 정서는 매우 특이하다. 그 정서 표출 양상은 앞 시대의 향가나 뒷시대의 평시조와는 판이하게 다르다. 향가가 평담(平淡)을, 시조가 절제(節制)를 중심축으로 하여 감정의 정서화를 꾀했다면, 속요는 그런 여과의 과정을 거의 생략한 채 시적 화자의 원초적인 ‘격정’의 상태를 그대로 토로하는 양상을 보여준다.
[이상곡]의 줄거리는 님에 대한 불변의 마음이고 [정석가]또한 사연은 다르지만 님과의 영원한 사랑을 희원하는 노래다. 그러니 둘 다 일종의 연가(戀歌)라 할 수 있다. 사랑을 고백하고 다짐하는 방식도 예나 이제나 여러 가지일 터이지만 이 두 노래는 참으로 특이하다. 전자는 변치 않는 애정심을 님에게 고백하면서 “곧 벼락을 맞아 지옥에 떨어질지라도...”식의 격한 표현도 마다하지 않는다. 후자는 님과의 사랑이 단절되지 않고 영원하기를 빌면서 “모래벌판에 군밤을 심어 그 밤이 움이 트고 싹이 나면 그때서야 님과 헤어지겠노라”고 매달린다. 불가능한 것의 제시를 통해 자신의 소회와 의지를 표명하고 있다.
[서경별곡]의 경우는 우리가 알고 있는 이별가의 전형을 깨트린 노래라 할 만하다. 슬픔을 삭히면서 님을 떠나보내는 식의 노래가 전연 아니다. 떠나는 님에게 자신도 뒤따르겠노라고 말하고, 마침내 님이 대동강을 건너려 하자 죄 없는 뱃사공에게 욕설에 가까운 원사(怨辭)를 내뱉고 님에게는 시샘이 철철 넘치는 막말을 해댄다. 이 노래에서도 우리는 격정의 파고에 휩싸여 있는 화자의 흥분을 어김없이 읽을 수 있다.
이렇듯 속요의 정서는 격정적이다. 그러면 왜 이와 같이 다듬어짐이 없고 흥분을 누그러뜨림이 없는 양상을 보여 주었을까. 속요의 모태가 민요였다는 점을 기억할 필요가 있다. 민요는 정감의 원초성, 언술의 직설성, 표현의 투박성 혹은 비세련성 등을 그 중요한 특질로 삼고 있다. 속요의 감정적 표현과 격정성은 이와 같은 민요와의 관련성에서 찾을 수 있다.
3)가녀린 여성 취향
격정성과 더불어 속요에서 빼놓을 수 없는 특성으로서 우리는 여성적 취향을 꼽아야 한다. 속요의 대종은 남녀상열지사다. 낮추어 지칭하자면 ‘사랑타령’이 되겠고, 좀 더 고상한 말로 부르자면 ‘님의 노래’가 된다. 중요한 것은 시적 화자가 여성으로 되는 것이 상례라는 점이다.
속요에서 강하게 느낄 수 있는 분위기는 여성적인 취향이다. 애잔하고 구슬프며 섬세하고 가냘픈 정조, 넋두리체의 구성진 가락과 하소연하는 사연은 모두 여성의 언어, 체취, 그리고 정감의 세계를 느끼게 한다. 작자가 남성인 [정과정]에서도 여성의 음성과 감성을 읽을 정도라면 나머지 작품은 두 말할 나위도 없다.
이렇듯 가냘프고 애절한 여성적 취향을 내비친다고 해서 속요를 단지 연약한 노래로만 치부하면 그것은 잘못된 판단이다. 여성적이면서도 여과 되지 않고 직설적으로 표출되는 시적 화자의 심리적 에너지를 작품에서 또한 확인할 수 있다. 애잔하고 구슬픈 말씨와 격정을 참아내지 못하고 극단적으로 하는 언술, 이 둘은 동전의 앞과 뒤이면서 또한 여성적 취향으로 모두 포괄되는 진술의 양상이다.
3. 맺음말
이상으로 속요에 관하여 알아보았다. 위의 것들을 조금 더 간략하게 정리해 본다면 다음과 같다.
첫째, 속요는 국문학의 여러 갈래 중에서 그 내용 면에 있어서 가장 인간의 감정을 진솔하게 나타냈다. 현재 전해지는 속요의 많은 수가 남녀간의 사랑과 이별을 내용으로 하였다. 이러한 점에서 이것을 기록한 조선의 유학자들은 그것을 남여상열지사(男女相悅之詞)라고 평가하고 교화에 어긋난다 하여 수록하기를 꺼려하였다.
둘째, 속요는 작자나 그 향유 계층이 일반 서민의 노래라는 특징이 있다. 속요는 대부분이 지은이를 알 수 없는데, 이는 이름 없는 서민의 노래이기 때문일 것이다. 아마도 고려시대의 민요에서 유래되었을 것으로 짐작된다.
셋째, 속요는 우리말의 아름다움을 자연스럽게 사용하였다는 특징이 있다. 한자 문화권에서 살면서 중국 중심의 사대사상이 팽배하던 한반도에서 속요만큼 우리말을 자연스럽게 사용하여 표현한 시가는 없는 것이다. 이는 그 향유층이 일반 서민들이었기에 가능했을 것이다.
넷째, 속요는 그 전승과정으로 보아 오랫동안 구전하던 구비문학이었음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볼 수 있다. 속요는 민중의 입을 통하여 전승되다가 궁중음악으로 채택되어 기록된 것이다.
다섯째, 그 형태도 다른 갈래의 국문학에서는 보기 어려운 특징을 갖고 있으니, 분절체라는 것과 여음이 있다는 것이다. 속요는 많은 작품이 여러 개의 절(또는 연)로 나뉘어 있다. 그리고 절과 절 사이에 악기의 소리를 흉내 낸 것으로 보이는 독특한 여음(후렴구)이 있다.
속요라는 장르를 가지고 발표를 준비하면서 우리 조원들이 한결같이 느낀점은 이 장르가 두 팔을 휘두르면 더욱 더 깊은 곳으로 빠져들게 되는 砂丘(사구)와 같다는 것이다. 정말 많은 작품이 있을법한, 두 왕조를 거치는 장구한 세월동안 살아 숨쉬던 우리의 문학이면서도 정확한 명칭조차 정립되지 못한 문학. 다른 문학들과는 달리 왕이라는 절대 권력자부터 민초들에 이르기까지 우리 민족이 함께 공유하던 유래없는 문학. 너무나 짧은 시간을 가지고 발표준비를 하느라 속요에 관해 더 깊게 공유하지 못한 아쉬움을 뒤로 하고 발표를 마칠까 한다.
※참고문헌
- 김광순 외, 『국문학개론』, 새문사, 2003.
- 박노준, 『옛사람 옛노래 향가와 속요』, 태학사
- 임기중, 『고려 가요의 문학사회학』, 경운출판사, 1993
- 조연숙, 『고려 속요 연구』, 국학자료원, 2004
- 조동일, 『한국문학통사』, 지식산업사, 1994
2)격정적이고 비관적인 정서
우리 시가사(詩歌史)의 전체적인 흐름위에 놓고 볼때 속요의 정서는 매우 특이하다. 그 정서 표출 양상은 앞 시대의 향가나 뒷시대의 평시조와는 판이하게 다르다. 향가가 평담(平淡)을, 시조가 절제(節制)를 중심축으로 하여 감정의 정서화를 꾀했다면, 속요는 그런 여과의 과정을 거의 생략한 채 시적 화자의 원초적인 ‘격정’의 상태를 그대로 토로하는 양상을 보여준다.
[이상곡]의 줄거리는 님에 대한 불변의 마음이고 [정석가]또한 사연은 다르지만 님과의 영원한 사랑을 희원하는 노래다. 그러니 둘 다 일종의 연가(戀歌)라 할 수 있다. 사랑을 고백하고 다짐하는 방식도 예나 이제나 여러 가지일 터이지만 이 두 노래는 참으로 특이하다. 전자는 변치 않는 애정심을 님에게 고백하면서 “곧 벼락을 맞아 지옥에 떨어질지라도...”식의 격한 표현도 마다하지 않는다. 후자는 님과의 사랑이 단절되지 않고 영원하기를 빌면서 “모래벌판에 군밤을 심어 그 밤이 움이 트고 싹이 나면 그때서야 님과 헤어지겠노라”고 매달린다. 불가능한 것의 제시를 통해 자신의 소회와 의지를 표명하고 있다.
[서경별곡]의 경우는 우리가 알고 있는 이별가의 전형을 깨트린 노래라 할 만하다. 슬픔을 삭히면서 님을 떠나보내는 식의 노래가 전연 아니다. 떠나는 님에게 자신도 뒤따르겠노라고 말하고, 마침내 님이 대동강을 건너려 하자 죄 없는 뱃사공에게 욕설에 가까운 원사(怨辭)를 내뱉고 님에게는 시샘이 철철 넘치는 막말을 해댄다. 이 노래에서도 우리는 격정의 파고에 휩싸여 있는 화자의 흥분을 어김없이 읽을 수 있다.
이렇듯 속요의 정서는 격정적이다. 그러면 왜 이와 같이 다듬어짐이 없고 흥분을 누그러뜨림이 없는 양상을 보여 주었을까. 속요의 모태가 민요였다는 점을 기억할 필요가 있다. 민요는 정감의 원초성, 언술의 직설성, 표현의 투박성 혹은 비세련성 등을 그 중요한 특질로 삼고 있다. 속요의 감정적 표현과 격정성은 이와 같은 민요와의 관련성에서 찾을 수 있다.
3)가녀린 여성 취향
격정성과 더불어 속요에서 빼놓을 수 없는 특성으로서 우리는 여성적 취향을 꼽아야 한다. 속요의 대종은 남녀상열지사다. 낮추어 지칭하자면 ‘사랑타령’이 되겠고, 좀 더 고상한 말로 부르자면 ‘님의 노래’가 된다. 중요한 것은 시적 화자가 여성으로 되는 것이 상례라는 점이다.
속요에서 강하게 느낄 수 있는 분위기는 여성적인 취향이다. 애잔하고 구슬프며 섬세하고 가냘픈 정조, 넋두리체의 구성진 가락과 하소연하는 사연은 모두 여성의 언어, 체취, 그리고 정감의 세계를 느끼게 한다. 작자가 남성인 [정과정]에서도 여성의 음성과 감성을 읽을 정도라면 나머지 작품은 두 말할 나위도 없다.
이렇듯 가냘프고 애절한 여성적 취향을 내비친다고 해서 속요를 단지 연약한 노래로만 치부하면 그것은 잘못된 판단이다. 여성적이면서도 여과 되지 않고 직설적으로 표출되는 시적 화자의 심리적 에너지를 작품에서 또한 확인할 수 있다. 애잔하고 구슬픈 말씨와 격정을 참아내지 못하고 극단적으로 하는 언술, 이 둘은 동전의 앞과 뒤이면서 또한 여성적 취향으로 모두 포괄되는 진술의 양상이다.
3. 맺음말
이상으로 속요에 관하여 알아보았다. 위의 것들을 조금 더 간략하게 정리해 본다면 다음과 같다.
첫째, 속요는 국문학의 여러 갈래 중에서 그 내용 면에 있어서 가장 인간의 감정을 진솔하게 나타냈다. 현재 전해지는 속요의 많은 수가 남녀간의 사랑과 이별을 내용으로 하였다. 이러한 점에서 이것을 기록한 조선의 유학자들은 그것을 남여상열지사(男女相悅之詞)라고 평가하고 교화에 어긋난다 하여 수록하기를 꺼려하였다.
둘째, 속요는 작자나 그 향유 계층이 일반 서민의 노래라는 특징이 있다. 속요는 대부분이 지은이를 알 수 없는데, 이는 이름 없는 서민의 노래이기 때문일 것이다. 아마도 고려시대의 민요에서 유래되었을 것으로 짐작된다.
셋째, 속요는 우리말의 아름다움을 자연스럽게 사용하였다는 특징이 있다. 한자 문화권에서 살면서 중국 중심의 사대사상이 팽배하던 한반도에서 속요만큼 우리말을 자연스럽게 사용하여 표현한 시가는 없는 것이다. 이는 그 향유층이 일반 서민들이었기에 가능했을 것이다.
넷째, 속요는 그 전승과정으로 보아 오랫동안 구전하던 구비문학이었음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볼 수 있다. 속요는 민중의 입을 통하여 전승되다가 궁중음악으로 채택되어 기록된 것이다.
다섯째, 그 형태도 다른 갈래의 국문학에서는 보기 어려운 특징을 갖고 있으니, 분절체라는 것과 여음이 있다는 것이다. 속요는 많은 작품이 여러 개의 절(또는 연)로 나뉘어 있다. 그리고 절과 절 사이에 악기의 소리를 흉내 낸 것으로 보이는 독특한 여음(후렴구)이 있다.
속요라는 장르를 가지고 발표를 준비하면서 우리 조원들이 한결같이 느낀점은 이 장르가 두 팔을 휘두르면 더욱 더 깊은 곳으로 빠져들게 되는 砂丘(사구)와 같다는 것이다. 정말 많은 작품이 있을법한, 두 왕조를 거치는 장구한 세월동안 살아 숨쉬던 우리의 문학이면서도 정확한 명칭조차 정립되지 못한 문학. 다른 문학들과는 달리 왕이라는 절대 권력자부터 민초들에 이르기까지 우리 민족이 함께 공유하던 유래없는 문학. 너무나 짧은 시간을 가지고 발표준비를 하느라 속요에 관해 더 깊게 공유하지 못한 아쉬움을 뒤로 하고 발표를 마칠까 한다.
※참고문헌
- 김광순 외, 『국문학개론』, 새문사, 2003.
- 박노준, 『옛사람 옛노래 향가와 속요』, 태학사
- 임기중, 『고려 가요의 문학사회학』, 경운출판사, 1993
- 조연숙, 『고려 속요 연구』, 국학자료원, 2004
- 조동일, 『한국문학통사』, 지식산업사, 19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