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공급원
2.유량계(flow meter)
3.기화기(vaporizer)
4.호흡회로(breathing circuit)
2.유량계(flow meter)
3.기화기(vaporizer)
4.호흡회로(breathing circuit)
본문내용
e setting
15. fIPPV: 1분에 ventilation 되는 횟수설정
16.TI:TE(흡기:호기): 1: 1.7
17.TIP:TI: inspiratory pause rate setting
18.PEEP: 호기말양압호흡을 setting. IPPV에서만 가능
19.fIMV: SIMV mode에서 호흡수를 setting 하는 기능
마취기 setting
①corrgate tube 연결하고 sodalime, scavenger 확인 후 전원을 on 한다.
②test
self test→fresh gas occlusion?→APL 30 mbar?→Y-piece open?→Y-piece occl?→self test 다 한 뒤 standby
③호흡회로 test
MAN/SPONT 3초간 누른 후 APL valve를 잠그고 MAN 쪽으로 돌린다.
→O2 flush를 눌러 bag을 채운다.
→bag을 물러 breathing system pressure의 눈금이 올라가면서 bag이 새는지 확인
Bag을 잡을 경우
MAN/SPONT 3초간 누른다→액정에 Man/Spontaneus 보여준다.→Rotary knobs누른다.→APL 판을 MAN 쪽으로 돌려놓고 pressure 맞춘다.
CATO EDITION
Ventilation
1.Manual/spontaneous key
2.IPPV(intermittent positive pressure ventilation): 호흡능력이 없는 환자에게 적용되는 mode로 ventilator가 환자의 호흡을 통제
3.SIMV(synchronized intermittent mandatory ventilation): 환자의 자발호흡이 있을때 자발호흡사이에 인공호흡기에 의한 조절호흡을 삽입한 뒤 점차 인공호흡의 보조를 줄여가면서 결국에는 자발호흡만을 시키는 방법이다.
4.PCV(pressure control ventilation): 미리 설정된 압력에 도달할 때까지 인공호흡기가 환자의 기도로 가스유량을 전달
5.Pmax(maximum pressure): pressure limit를 주는 것
6.VT: tadal volume을 조절
7.fIPPV: 1분동안 ventilation되는 호흡수
8.TI :TE: 흡기와 호기의 비율
9.TIP:TI FLOW: inspiration pause rate setting
10.PEEP(positive end expiratory pressure, 호기말양압호흡): 호기말에 기도내에 일정한 압력을 가하여 폐를 팽창시키는 호흡방법
11.fIMV: SIMV mode에서 호흡수를 setting
12.Test: self test를 거치지 않고 emergency시 사용을 필요로 할 때
13.Standby
O2 caliblation
①inspration valve의 oxygen sensor를 열고 화면의 O2 calibration key를 누른다.
②calibration이 되면 화면에 v로 check 된다.
③확인후 oxygen sensor를 닫는다.
→
Primus
Ventilator
①self test를 위하여 Y-piece를 막은 후 콘(cone)부분에 플러그와 연결한다.
②샘플라인을 Y-piece와 water trap 부분에 연결한다.
③APL valve를 30mbr로 설정한다.
④점검표가 전부 OK일 때 회전버튼을 눌러 자가점검을 시작한다.
점검결과는 색깔변화로 보여준다.
-녹색: 완료
-황색: 사용제한
-적색: 재점검(고장 또는 작동불가)
⑤leakage test
leakage(system): 강제호흡시 부분의 누설점검에서는 ml/min단위로 누설량이 표시되며 적색, 황색, 녹색으로 점검결과가 표시된다.
leakage(Man/Spont): 전체적인 누설점검에서는 150ml/min이하로 표시되어야 한다. 적색, 황색, 녹색으로 점검결과가 표시된다.
누설원인
-호흡호스의 파손
-O2센서가 결합되지 않거나 혹은 부정확한 결합
-가스측정을 위한 샘플라인의 미결합
-water trap의 미결합
-Breathing bag/diaphragm의 결함
-기화기의 부정확한 결합
-Flow sensor가 보정확한 연결
-Absorber의 부정확한 연결
-호흡장치(Breathing system)의 부정확한 연결
-마이크로 필터의 부정확한 연결
⑥self test 후 standby 상태로 전환된다.
응급시작(Emergency start)
①전원을 켠다.
②safety O2버튼을 누르고 O2 flow0~12L/min사이가 되도록 한다.
③cancel test 버튼을 누른다. self test가 넘어가는데 10초정도 걸리며 이 시간에는 수동 인공호흡이 안된다. leakage test와 compliance test는 생략된다.
공급가스의 선택
N2O혹은 AIR키를 누른다. knob를 눌러서 확인한다. 녹색 LED가 계속해서 점등되어 있어야 한다.
선택된 Fresh GAS구성요소들이 화면에 보여진다.
O2 농도설정
O2 % 키를 누르면 노란색으로 표시되고 knob를 사용하여 O2 농도를 설정하고 확인한다.
Freash GAS 공급설정
Flow L/min키를 누르면 키판에 노란색으로 표시되고 knob를 사용하여 O2 농도를 설정하고 확인한다.
수동호흡(manual ventilation)
Man/Spont키를 누른다. knob를 눌러서 확인한다. 녹색 LED가 계속해서 점등되어 있어야 한다.
APL을 돌려 압력을 설정하면 설정된 압력으로 제한한다.
자발호흡(spontaneous breathing)
APL밸브를 Spont까지 돌려 주면 밸브가 개방된다.
원활한 자발호흡을 위해 압력제한 밸브가 개방 되고, 압력이 제한되지 않는다.
IPPV(intermittent positive pressure ventilator)
호흡량과 주기가 정해진 강제적인 볼륨조절 호흡방식이다.
Volume mode key를 누른다.
SIMV(synchrinizes intermitted mandatory ventilation)
환자의 자발호흡에 맞춰서 강제호흡,
extra settings 를 누르면 화면에 trigger라는 단어로 나타난다.
trigger 누른다.
기계내에 시스템 탄력도는
15. fIPPV: 1분에 ventilation 되는 횟수설정
16.TI:TE(흡기:호기): 1: 1.7
17.TIP:TI: inspiratory pause rate setting
18.PEEP: 호기말양압호흡을 setting. IPPV에서만 가능
19.fIMV: SIMV mode에서 호흡수를 setting 하는 기능
마취기 setting
①corrgate tube 연결하고 sodalime, scavenger 확인 후 전원을 on 한다.
②test
self test→fresh gas occlusion?→APL 30 mbar?→Y-piece open?→Y-piece occl?→self test 다 한 뒤 standby
③호흡회로 test
MAN/SPONT 3초간 누른 후 APL valve를 잠그고 MAN 쪽으로 돌린다.
→O2 flush를 눌러 bag을 채운다.
→bag을 물러 breathing system pressure의 눈금이 올라가면서 bag이 새는지 확인
Bag을 잡을 경우
MAN/SPONT 3초간 누른다→액정에 Man/Spontaneus 보여준다.→Rotary knobs누른다.→APL 판을 MAN 쪽으로 돌려놓고 pressure 맞춘다.
CATO EDITION
Ventilation
1.Manual/spontaneous key
2.IPPV(intermittent positive pressure ventilation): 호흡능력이 없는 환자에게 적용되는 mode로 ventilator가 환자의 호흡을 통제
3.SIMV(synchronized intermittent mandatory ventilation): 환자의 자발호흡이 있을때 자발호흡사이에 인공호흡기에 의한 조절호흡을 삽입한 뒤 점차 인공호흡의 보조를 줄여가면서 결국에는 자발호흡만을 시키는 방법이다.
4.PCV(pressure control ventilation): 미리 설정된 압력에 도달할 때까지 인공호흡기가 환자의 기도로 가스유량을 전달
5.Pmax(maximum pressure): pressure limit를 주는 것
6.VT: tadal volume을 조절
7.fIPPV: 1분동안 ventilation되는 호흡수
8.TI :TE: 흡기와 호기의 비율
9.TIP:TI FLOW: inspiration pause rate setting
10.PEEP(positive end expiratory pressure, 호기말양압호흡): 호기말에 기도내에 일정한 압력을 가하여 폐를 팽창시키는 호흡방법
11.fIMV: SIMV mode에서 호흡수를 setting
12.Test: self test를 거치지 않고 emergency시 사용을 필요로 할 때
13.Standby
O2 caliblation
①inspration valve의 oxygen sensor를 열고 화면의 O2 calibration key를 누른다.
②calibration이 되면 화면에 v로 check 된다.
③확인후 oxygen sensor를 닫는다.
→
Primus
Ventilator
①self test를 위하여 Y-piece를 막은 후 콘(cone)부분에 플러그와 연결한다.
②샘플라인을 Y-piece와 water trap 부분에 연결한다.
③APL valve를 30mbr로 설정한다.
④점검표가 전부 OK일 때 회전버튼을 눌러 자가점검을 시작한다.
점검결과는 색깔변화로 보여준다.
-녹색: 완료
-황색: 사용제한
-적색: 재점검(고장 또는 작동불가)
⑤leakage test
leakage(system): 강제호흡시 부분의 누설점검에서는 ml/min단위로 누설량이 표시되며 적색, 황색, 녹색으로 점검결과가 표시된다.
leakage(Man/Spont): 전체적인 누설점검에서는 150ml/min이하로 표시되어야 한다. 적색, 황색, 녹색으로 점검결과가 표시된다.
누설원인
-호흡호스의 파손
-O2센서가 결합되지 않거나 혹은 부정확한 결합
-가스측정을 위한 샘플라인의 미결합
-water trap의 미결합
-Breathing bag/diaphragm의 결함
-기화기의 부정확한 결합
-Flow sensor가 보정확한 연결
-Absorber의 부정확한 연결
-호흡장치(Breathing system)의 부정확한 연결
-마이크로 필터의 부정확한 연결
⑥self test 후 standby 상태로 전환된다.
응급시작(Emergency start)
①전원을 켠다.
②safety O2버튼을 누르고 O2 flow0~12L/min사이가 되도록 한다.
③cancel test 버튼을 누른다. self test가 넘어가는데 10초정도 걸리며 이 시간에는 수동 인공호흡이 안된다. leakage test와 compliance test는 생략된다.
공급가스의 선택
N2O혹은 AIR키를 누른다. knob를 눌러서 확인한다. 녹색 LED가 계속해서 점등되어 있어야 한다.
선택된 Fresh GAS구성요소들이 화면에 보여진다.
O2 농도설정
O2 % 키를 누르면 노란색으로 표시되고 knob를 사용하여 O2 농도를 설정하고 확인한다.
Freash GAS 공급설정
Flow L/min키를 누르면 키판에 노란색으로 표시되고 knob를 사용하여 O2 농도를 설정하고 확인한다.
수동호흡(manual ventilation)
Man/Spont키를 누른다. knob를 눌러서 확인한다. 녹색 LED가 계속해서 점등되어 있어야 한다.
APL을 돌려 압력을 설정하면 설정된 압력으로 제한한다.
자발호흡(spontaneous breathing)
APL밸브를 Spont까지 돌려 주면 밸브가 개방된다.
원활한 자발호흡을 위해 압력제한 밸브가 개방 되고, 압력이 제한되지 않는다.
IPPV(intermittent positive pressure ventilator)
호흡량과 주기가 정해진 강제적인 볼륨조절 호흡방식이다.
Volume mode key를 누른다.
SIMV(synchrinizes intermitted mandatory ventilation)
환자의 자발호흡에 맞춰서 강제호흡,
extra settings 를 누르면 화면에 trigger라는 단어로 나타난다.
trigger 누른다.
기계내에 시스템 탄력도는
추천자료
중환자실 두부손상 케이스 스터디
응급 약물
기관 절개술 환자 간호
산과중환자 간호
NS 에서 실시하는 검사
여성간호 요약
성인 간호학 수술 간호중재
심도자술교육안
[간호중재] 산후출혈
[논문] 뇌사와 장기이식 [의약학]
(중환자간호) 두개내압 상승간호 (두개내압 , 두개내압 감시, 뇌실 외 배액, 두개내압 상승 ...
<기관내 삽관> Intubation, extubation. 기관내삽관술, 기관절개술, endotracheal tube, 기관...
수술 후 간호 (핵심기본간호술 프로토콜 준비 자료), 수술 후 합병증, PCA관리, 수술 후 통증...
개인위생 ( 특별구강간호 & 손톱, 발톱 간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