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본문내용
기본 원칙을 다음과 같이 몇 개의 요점으로 정리하였다.
1) 기존의 지식, data를 분석, 조직하여 규칙, 법, 공식 등으로 일과에 적용함.
2) 주먹구구식을 배제하고 각 요소에 과학적인 사고방식과 방법을 도입함.
3) 근로자의 선발, 훈련, 기술개발을 과학적인 방법으로 수행함.
4) 작업과정에서 과학적 원칙이 지켜지도록 근로자와 감독자의 협력관계를 확인함.
5) 근로자와 관리자간의 작업량과 책임의 공정한 배분을 통해 각자의 적성에 맞는 일을 부과함 등이다.
작업소요시간 연구와 동적 연구를 통한 1일 작업량의 개념을 만듦.
ㆍ 표준화된 작업연구 : 요소동작의 형태, 순서 소요시간
ㆍ 적정도구의 표준화
ㆍ 초과 작업량에 대한 상여금으로 근로자의 동기화
▶ 아담스미스는 “국부론”에서
조직에 사용되어지는 “분업”과 시간과 모션(동작)연구에 관해 기술했다.
▶ 길브레드 (Fank & Lillian Gilbreth) 夫妻 와 간트(Henry L. Gantt)
남편 프랭크 : 테일러의 작업 소요시간과 동작연구를 발전시켜 피로 요소를 제거하는 최소의 동작, 체위 등을 연구하여 작업의 최적 방법을 추구하였다.(“THERBLIGS\")
부인 릴리언 : 심리학자로서 근로자의 정신적이고 심리적인 측면을 강조하여 산업심리학의 원조로 인정 받았으며, “ 경영학의 퍼스트 레이디” 라는 칭호를 받았다.
O 간트 : 일의 과정과 소요시간 연구 등으로 현재도 널리 쓰이는 작업흐름도(Flow chart 혹은 Gantt chart)의 창시자이며, 적정 생산량 산정과 보너스 제도 등의 물질적 동기유발 을 주창했다. 과업과 상여금제도 개발
▶ 블란서의 페이올 (Henry F. Fayol 1841~ 1929)
관리요소와 관리원칙(관리요소 5가지)
1. 미래의 활동내역을 작성하는 계획(Planning)
2. 경영의 물적. 사회적인 이차적 조직체를 구성하는 조직(organizing)
3. 구성원들로 하여금 조직의 목표달성이 이루어 지도록 하는 지휘(directing)
4. 조직의 분리되어 있는 모든 활동과 행위를 하나로 조화롭게 집결하고 통일시키는
협력(coordination)
5. 설정된 규칙, 지어진 질서에 다라 업무가 행해지도록 감시하는 통제(control)
▷ 테일러의 과학적인 방법에 동조했지만 그 대상을 근로자의 작업개선에 둔 것이 아니라 조직의 이론과 경영자의 자질이나 경영철학의 원칙을 강조.
저서 “일반산업관리론”에서 14다지 경영관리 원칙을 정하였다.
분업의 원칙, 권한과 책임 명확화의 원칙, 기강(규율) 확립의 원칙, 명령 통일의 원칙, 지휘통일의 원 칙, 보수적정화의 원칙, 집권화의 원칙, 계층화의 원칙, 질서유지의 원칙, 공정의 원칙, 고용안 정의 원칙, 창의존중의 원칙, 협동단결의 원칙 등을 설명하였고 특히 경영자의 자질을 강조하였다.
▶ 베버 ( Max Weber)
이상주의적인 관료제의 원칙을 수립
▷ 사회학자이며, 경제학자로서 테일러에게 막강한 영향력을 끼쳤다.
그의 저서 “사회경제 조직체의 원리”에서 그는 조직 내에서 발생하는 권위와 힘의 발생요인을 연구하여 조직구조내 에서의 인간의 역할을 효율화하는 여러 가지 원칙을 제시하였다. 특히 관료주의 체제하에서의 계서제의 원리, 정문성, 분업의 원리, 능력에 따른 보상원칙, 표준화, 법규나 지침의문서화 등의 이성적이며, 과학적인 운영으로 개인의 힘을 초월하는 조직의 역학을 경영에 적용할 것을 주장하였다.
▷ 조직의 구성에 관심, 권력과 권위를 강요하는 행동과 자발적인 반응을 구별.
권위를 보좌는 3가지 특징 : 카리스마, 전통(관습), 관료주의(규칙과 법률)
▶ 어위과 규릭 (Urwick and Luther Gulick) : POSDCORB-과학적 경영의 7요소
Planning(계획 수립), Organization(조직화), Staffing(충원및배치), Directing(지휘), Coordinating(조정), Reporting(보고), Budgeting(예산)
3.3 인간 자원론의 영향 (Human Resources Approach)
1930년대 이후 인간자원관리, 인간관계론, 또는 인사관리 등의 주제로 사람에게 초점이 모 아졌으며, 사람과 일을 융화시키는 일이야 말로 핵심이라는 주장이 일반화 되었다.
행복한 노동력은 생산적인 노동력이다.
▶ 길브레드 부부
테일러의 작업소요에 필요한 시간연구와 동작연구를 발전시켜 최소의 동작과 최적의 체위를 위한 업무흐름도(flow chart)를 고안
▶ 간트
테일러의 과학적 관리방법을 더욱 깊이 연구하여1930년에는 포드시스템의 기초가 되었으며, 노동과학과 인간공학을 낳은 모체가 된 산업공학과 경영공학의 개념을 정립하였다.
- 테일러의 차별적 성과급제도를 개선하여 ‘간트 과업상여제도’를 창안
- 생산관리의 효과적인 통제를 위하여 ‘ 간트 차트’라는 편리한 도표 고안
▶ 호손실험 (Hawthorne Experiment)
- 하버드 대학교수 메이요 (Elton G. mayor)
- 1927~33 일리노이주의 호오손이 웨스턴 일렉트릭 공장에서 근로자 연구
▶ 맥그리거의 X이론과 Y이론 (Douglas McGregor)
▶ 매슬로우의 단계적 욕구이론 (Abrabam G. Maslow)
그의 저서 “동기화와 인간성”에서
본능적인 생리적이며 물질적인 욕구
정신적 안정의 욕구,
사회적인 욕구,
자신과 타인에게 인정받기를 원하는 존중의 욕구
자아실현을 위한 계속적인 성장의 욕구의 5단계로 나누었다
▶ 허즈버그의 동기화 요인 (Frederick Hertzberg)
▶ 바나드의 공헌 (Chester I. Bernard )
▷ 조직내 민주주의 허용, 경영의 사회적 책이 강조
▷ 경영자 제 1의 기능 : 의사소통 (communication)
버나드는 베버의 조직이론의 영향을 많이 받았지만 기계적인 조직의 권위보다는 메이요처럼 공식집단 에서 자생적으로 발생하는 비공식집단의 힘을 강조했다.
그는 비공식 집단이 건강하고 민주적인 형태로 자라서 경영에 참여하게 되면 공식집단 내에서 조직의 권위를 수용하고 합의가 이루어진다고 하였다.
버나드는 근로자의 동기화요인을
- 보수, 안정성 같은 물
1) 기존의 지식, data를 분석, 조직하여 규칙, 법, 공식 등으로 일과에 적용함.
2) 주먹구구식을 배제하고 각 요소에 과학적인 사고방식과 방법을 도입함.
3) 근로자의 선발, 훈련, 기술개발을 과학적인 방법으로 수행함.
4) 작업과정에서 과학적 원칙이 지켜지도록 근로자와 감독자의 협력관계를 확인함.
5) 근로자와 관리자간의 작업량과 책임의 공정한 배분을 통해 각자의 적성에 맞는 일을 부과함 등이다.
작업소요시간 연구와 동적 연구를 통한 1일 작업량의 개념을 만듦.
ㆍ 표준화된 작업연구 : 요소동작의 형태, 순서 소요시간
ㆍ 적정도구의 표준화
ㆍ 초과 작업량에 대한 상여금으로 근로자의 동기화
▶ 아담스미스는 “국부론”에서
조직에 사용되어지는 “분업”과 시간과 모션(동작)연구에 관해 기술했다.
▶ 길브레드 (Fank & Lillian Gilbreth) 夫妻 와 간트(Henry L. Gantt)
남편 프랭크 : 테일러의 작업 소요시간과 동작연구를 발전시켜 피로 요소를 제거하는 최소의 동작, 체위 등을 연구하여 작업의 최적 방법을 추구하였다.(“THERBLIGS\")
부인 릴리언 : 심리학자로서 근로자의 정신적이고 심리적인 측면을 강조하여 산업심리학의 원조로 인정 받았으며, “ 경영학의 퍼스트 레이디” 라는 칭호를 받았다.
O 간트 : 일의 과정과 소요시간 연구 등으로 현재도 널리 쓰이는 작업흐름도(Flow chart 혹은 Gantt chart)의 창시자이며, 적정 생산량 산정과 보너스 제도 등의 물질적 동기유발 을 주창했다. 과업과 상여금제도 개발
▶ 블란서의 페이올 (Henry F. Fayol 1841~ 1929)
관리요소와 관리원칙(관리요소 5가지)
1. 미래의 활동내역을 작성하는 계획(Planning)
2. 경영의 물적. 사회적인 이차적 조직체를 구성하는 조직(organizing)
3. 구성원들로 하여금 조직의 목표달성이 이루어 지도록 하는 지휘(directing)
4. 조직의 분리되어 있는 모든 활동과 행위를 하나로 조화롭게 집결하고 통일시키는
협력(coordination)
5. 설정된 규칙, 지어진 질서에 다라 업무가 행해지도록 감시하는 통제(control)
▷ 테일러의 과학적인 방법에 동조했지만 그 대상을 근로자의 작업개선에 둔 것이 아니라 조직의 이론과 경영자의 자질이나 경영철학의 원칙을 강조.
저서 “일반산업관리론”에서 14다지 경영관리 원칙을 정하였다.
분업의 원칙, 권한과 책임 명확화의 원칙, 기강(규율) 확립의 원칙, 명령 통일의 원칙, 지휘통일의 원 칙, 보수적정화의 원칙, 집권화의 원칙, 계층화의 원칙, 질서유지의 원칙, 공정의 원칙, 고용안 정의 원칙, 창의존중의 원칙, 협동단결의 원칙 등을 설명하였고 특히 경영자의 자질을 강조하였다.
▶ 베버 ( Max Weber)
이상주의적인 관료제의 원칙을 수립
▷ 사회학자이며, 경제학자로서 테일러에게 막강한 영향력을 끼쳤다.
그의 저서 “사회경제 조직체의 원리”에서 그는 조직 내에서 발생하는 권위와 힘의 발생요인을 연구하여 조직구조내 에서의 인간의 역할을 효율화하는 여러 가지 원칙을 제시하였다. 특히 관료주의 체제하에서의 계서제의 원리, 정문성, 분업의 원리, 능력에 따른 보상원칙, 표준화, 법규나 지침의문서화 등의 이성적이며, 과학적인 운영으로 개인의 힘을 초월하는 조직의 역학을 경영에 적용할 것을 주장하였다.
▷ 조직의 구성에 관심, 권력과 권위를 강요하는 행동과 자발적인 반응을 구별.
권위를 보좌는 3가지 특징 : 카리스마, 전통(관습), 관료주의(규칙과 법률)
▶ 어위과 규릭 (Urwick and Luther Gulick) : POSDCORB-과학적 경영의 7요소
Planning(계획 수립), Organization(조직화), Staffing(충원및배치), Directing(지휘), Coordinating(조정), Reporting(보고), Budgeting(예산)
3.3 인간 자원론의 영향 (Human Resources Approach)
1930년대 이후 인간자원관리, 인간관계론, 또는 인사관리 등의 주제로 사람에게 초점이 모 아졌으며, 사람과 일을 융화시키는 일이야 말로 핵심이라는 주장이 일반화 되었다.
행복한 노동력은 생산적인 노동력이다.
▶ 길브레드 부부
테일러의 작업소요에 필요한 시간연구와 동작연구를 발전시켜 최소의 동작과 최적의 체위를 위한 업무흐름도(flow chart)를 고안
▶ 간트
테일러의 과학적 관리방법을 더욱 깊이 연구하여1930년에는 포드시스템의 기초가 되었으며, 노동과학과 인간공학을 낳은 모체가 된 산업공학과 경영공학의 개념을 정립하였다.
- 테일러의 차별적 성과급제도를 개선하여 ‘간트 과업상여제도’를 창안
- 생산관리의 효과적인 통제를 위하여 ‘ 간트 차트’라는 편리한 도표 고안
▶ 호손실험 (Hawthorne Experiment)
- 하버드 대학교수 메이요 (Elton G. mayor)
- 1927~33 일리노이주의 호오손이 웨스턴 일렉트릭 공장에서 근로자 연구
▶ 맥그리거의 X이론과 Y이론 (Douglas McGregor)
▶ 매슬로우의 단계적 욕구이론 (Abrabam G. Maslow)
그의 저서 “동기화와 인간성”에서
본능적인 생리적이며 물질적인 욕구
정신적 안정의 욕구,
사회적인 욕구,
자신과 타인에게 인정받기를 원하는 존중의 욕구
자아실현을 위한 계속적인 성장의 욕구의 5단계로 나누었다
▶ 허즈버그의 동기화 요인 (Frederick Hertzberg)
▶ 바나드의 공헌 (Chester I. Bernard )
▷ 조직내 민주주의 허용, 경영의 사회적 책이 강조
▷ 경영자 제 1의 기능 : 의사소통 (communication)
버나드는 베버의 조직이론의 영향을 많이 받았지만 기계적인 조직의 권위보다는 메이요처럼 공식집단 에서 자생적으로 발생하는 비공식집단의 힘을 강조했다.
그는 비공식 집단이 건강하고 민주적인 형태로 자라서 경영에 참여하게 되면 공식집단 내에서 조직의 권위를 수용하고 합의가 이루어진다고 하였다.
버나드는 근로자의 동기화요인을
- 보수, 안정성 같은 물
추천자료
문헌정보학개론
개인정보보호에 대한 논문 및 레포트용 자료
경영정보시스템(정보시스템의 관리)
도서관경영에 대하여
도서관 서비스 경영학
공공도서관경영
도서관 경영 패러다임과 경영 형태 변화
[경영정보시스템]인터넷_전자상거래_사기의_피해와_대안책
[A+] 경력개발제도(CDP)와 실천기법 - 자기신고제도, 직능자격제도, 평가센터제도, 평가센터...
디지털시대 기업(디지털기업)의 중요성, 디지털시대 기업(디지털기업)의 웹경영, 디지털시대 ...
[경영과 정보 활용] 유비쿼터스 기술이 식품산업에서 응용, 사용되고 있는 사례
[기업][기업경영][경영][기업지식이전][기업지식정보공유][기업지식재산권][기업지식근로자][...
농업경영학=정부는 산지 생산농가의 소득을 높이기 위하여 산지 유통센터(APC)를 건립할 예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