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을 세움. 휘왕 주재륜이 글을 씀. 다음 해 주재륜이 죄로 자살하고, 휘왕부는 없어짐.
- 가정37년(1558) 소산(小山)이 소림사주지가 됨. 이후 8년간 주지역임.
- 가정40년(1561) 유대유가 소림사로 와서 무술을 구경함. \"진짜 비결을 모두 잃어버렸다\"고 한탄. 절의 승려 종경, 보종을 뽑아서 곤법을 가르킴.
- 가정42년(1563) 서천범승제자 편둔화상이 원적
- 가정44년(1565) 정왕의 아들 주재육이 <<혼원삼교구류도>>를 소림사에 세움.
- 융경연간(1567-1572) 정종유가 소림사로 들어와 무술을 10년간 배움. 만년에 <<소림곤법찬종>>을 간행.
- 만력2년(1574) 상윤(常潤)이 소림사주지가 됨
- 만력5년(1577) 하남순무 정소가 소림사에서 무술관람. <<소림관무>>라는 시를 씀.
- 만력16년(1588) 천불전을 창건.
- 만력37년(1609) 무언(無言)이 소림사주지가 됨. 17년간 주지직에 머뭄. 원굉도가 소림사로 놀러와서 무술을 구경함.
- 숭정11년(1638) 등봉 농민 이제우의 반란이 일어남.
- 숭정14년(1641) 겨울 이자성, 이제우의 군대가 합쳐져서 등봉현성을 함락시킴.
청(淸)
- 순치13년(1656) 해관이 북경으로 감. <<오가종파세보정조도>>를 간행. 다음해 예부의 명을 받아, 청나라 제1대 주지가 됨.
- 강희43(1704) \"보수방련\"과 \"소림사\"라는 편액을 내림.
- 옹정13년(1735) 세종이 소림사의 중수를 허가함.
- 건륭초년(1736) 하동총독, 하남순무인 왕사준이 소림사를 중수. 은9천냥을 사용
- 건륭5년(1740) 하남순무 아얼투의 상소에 \"소림사 승려는 항상 권법과 봉술을 배우는 것으로 유명하다\"고 씀.
- 건륭12년(1747) 시혁잠, 초여형이 <<소림사지>> 4권, 5만여자를 씀. 다음해 간행.
- 건륭15년(1750) 9월 30일, 고종이 소림사를 순행. 시를 쓰고 편액을 씀. 방에 소림사 방장실에서 잠.
- 도광8년(1828) 하남도원 인경이 순무 양해량을 대신하여 숭산에서 제사를 지낼 때 소림사에서 무승의 권술을 구경함.
- 도광30년(1850) 아편전쟁종결. 무술이 민간에 보편화됨.
- 함풍4년(1854) 왕조원이 소림사에 들어와 <<역근경>>을 배움. 만년에 <<내공도설>>를 간행.
- 동치원년(1862) 염군이 서정을 함. 3월부터 9월까지 두번 등봉현을 지남. 메뚜기재해가 있었음.
중화민국(中華民國)
- 민국초년(1911-1920) 토비출몰, 소림사는 무기를 사서 보위단을 만듬. 화상 항림(恒林)이 단장을 맡음.
- 민국4년(1915) 민국정부의 교육부통령으로 무술을 서양식 신식학교과정에 넣음
- 민국5년(1916) 왕운화가 긴나라신전을 보수
- 민국12년(1923) 항림 원적. 제자 묘흥이 뒤를 이음. 오패부의 군대가 소림사 보위단을 제1단으로 편성함. 묘흥이 단장을 맡음.
- 민국16년(1927) 묘흥이 무리를 이끌고 무양으로 감. 임응기의 부대와 싸워서 사망. 보위단 무승은 뿔뿔이 흩어짐.
- 민국17년(1928) 3월 15일, 국민군 석우삼이 소림사를 불태움. 천왕전, 대웅전, 객당, 종고루, 장경루와 소장한 대장경, <<소림사지>>목판, 북조석각조상비등이 모두 불에탐.
- 민국17년(1928) 민국정부는 중앙무술관을 만듬. 성,시,현에는 국술관을 만듬. 대량의 민간 권법스승이 교수를 맡음.
아미파 무술
아미파무술의 역사근원
중국 서남쪽에 위치하고있는 사천은 송나라 시기 사협사로 이름이 났다 즉 동쪽으로는 장강 서쪽으로는 민강 남쪽으로는 금사강 북쪽으로는 기룡강 등의 4개 강이 흘러서 이곳을 사천이라 불렀다.
춘추시대 중기를 중심으로 파인이 살고 있는 파국이 있었고 성도를 중심으로 촉인이 살고 있는 촉국이 있었는데 이를 총칭하여 파촉이라 했었다. 파촉의 사람은 고대에 격검 척검을 사용했는데 최초로 사용한 그들의 무기에는 청동검, 창, 칼, 화살 등이 있었다.
고대에 전하는 바에 의하면 파인이 제일 처음으로 칼과 방패 창과 검을 결합하여 사용한 민족이라한다.
검은 비수를 개설하여 만든 것이고 창은 고대 칼에서 개설된 것이라 한다. 삼국시대 장익독은 긴 칼로 조조와 수만명의 병사를 눌랜적이 있고 조자룡은 일성일검으로 백만군의 앞에서 두려움을 떨게 하였다 한다.
공원(公元) 70년 사천 경원에서 태어난 중국의 제일 여황제 측천무후는 무거과를 설치하였는데 이는 당나라 각 계층 인사들이 무술을 배우고 또 사천 무술을 널리 보급시켰다. 송나라 때는 사천무술의 영향력이 더욱 커져서 중원의 화동(華東) 화남(華南) 등 지역에까지 전파되었다. 명나라 때에 통치자들이 강산의 개발 생산발전등을 위하여 대규모 호수를 메우는 등 이주 정책을 펼쳤다. 하여금 많은 이주자들이 몰려와서 사천의 생산력 발전을 도우면서 파촉 문화와 아미무술이 비교적 안정되어 한층 더 아미파 쿵푸의 발전이 풍부하게 되었다. 사천사람은 예로부터 키가 작고 천성이 강하여 걷고 달리고 등산하기를 즐겨하여 행동이 민첩하고 기교가 많은 특징을 이용하여 보법영활선변(步法靈活善變) 장간용수(長干用手) 보함암퇴(步含暗腿) 기교분가 발경강질 사로회소교탁의 아미파를 만들어 냈다.
오래전부터 황폐한 환경에서 생존하기 위하여 잡기 던지기 차기 때리기(조 박 척 타) 등 의 자연무술이 발생되었으며, 춘추전국시대 빈번한 전쟁으로 조자룡의 창검 장비의 장팔장모촉의맹장 마조악의 출수법등의 군사 훈련법이 생성되었다 당송의 시기에는 평화의 기반에 건신 방어 오락 창춤 관상이 유행했으며 군사훈련에 기초를 한 아미무술이 발전되었으며 명청에 이르려 아미무술은 많은 발전과 梅師門 松溪派 余門 貫林派 회악문 洪門 소림남권 등의 아미파 계열의 무술문파가 형성되었다.
아미파무술의 기원과 발전
아미무술의 기원은 은상조(殷商)시기이며 당.송 시기에 점차적인 발전을하여 아미무술의 톡특한 기법과 풍격을 형성했으며 명.청대에 이르려 권법 검술의 이론과 기술이 정립되었다고 보며 명대에 당융(唐 )의\"荊川先生文集아미도인권가(峨眉道人拳歌) 에 의하면 아미무술의 발원지는 심산의 영적인 白猿인 川猿子에 전수 받았다 하며 참선과 타좌 등의 승려와 도인의 수행 방법에서 생성
- 가정37년(1558) 소산(小山)이 소림사주지가 됨. 이후 8년간 주지역임.
- 가정40년(1561) 유대유가 소림사로 와서 무술을 구경함. \"진짜 비결을 모두 잃어버렸다\"고 한탄. 절의 승려 종경, 보종을 뽑아서 곤법을 가르킴.
- 가정42년(1563) 서천범승제자 편둔화상이 원적
- 가정44년(1565) 정왕의 아들 주재육이 <<혼원삼교구류도>>를 소림사에 세움.
- 융경연간(1567-1572) 정종유가 소림사로 들어와 무술을 10년간 배움. 만년에 <<소림곤법찬종>>을 간행.
- 만력2년(1574) 상윤(常潤)이 소림사주지가 됨
- 만력5년(1577) 하남순무 정소가 소림사에서 무술관람. <<소림관무>>라는 시를 씀.
- 만력16년(1588) 천불전을 창건.
- 만력37년(1609) 무언(無言)이 소림사주지가 됨. 17년간 주지직에 머뭄. 원굉도가 소림사로 놀러와서 무술을 구경함.
- 숭정11년(1638) 등봉 농민 이제우의 반란이 일어남.
- 숭정14년(1641) 겨울 이자성, 이제우의 군대가 합쳐져서 등봉현성을 함락시킴.
청(淸)
- 순치13년(1656) 해관이 북경으로 감. <<오가종파세보정조도>>를 간행. 다음해 예부의 명을 받아, 청나라 제1대 주지가 됨.
- 강희43(1704) \"보수방련\"과 \"소림사\"라는 편액을 내림.
- 옹정13년(1735) 세종이 소림사의 중수를 허가함.
- 건륭초년(1736) 하동총독, 하남순무인 왕사준이 소림사를 중수. 은9천냥을 사용
- 건륭5년(1740) 하남순무 아얼투의 상소에 \"소림사 승려는 항상 권법과 봉술을 배우는 것으로 유명하다\"고 씀.
- 건륭12년(1747) 시혁잠, 초여형이 <<소림사지>> 4권, 5만여자를 씀. 다음해 간행.
- 건륭15년(1750) 9월 30일, 고종이 소림사를 순행. 시를 쓰고 편액을 씀. 방에 소림사 방장실에서 잠.
- 도광8년(1828) 하남도원 인경이 순무 양해량을 대신하여 숭산에서 제사를 지낼 때 소림사에서 무승의 권술을 구경함.
- 도광30년(1850) 아편전쟁종결. 무술이 민간에 보편화됨.
- 함풍4년(1854) 왕조원이 소림사에 들어와 <<역근경>>을 배움. 만년에 <<내공도설>>를 간행.
- 동치원년(1862) 염군이 서정을 함. 3월부터 9월까지 두번 등봉현을 지남. 메뚜기재해가 있었음.
중화민국(中華民國)
- 민국초년(1911-1920) 토비출몰, 소림사는 무기를 사서 보위단을 만듬. 화상 항림(恒林)이 단장을 맡음.
- 민국4년(1915) 민국정부의 교육부통령으로 무술을 서양식 신식학교과정에 넣음
- 민국5년(1916) 왕운화가 긴나라신전을 보수
- 민국12년(1923) 항림 원적. 제자 묘흥이 뒤를 이음. 오패부의 군대가 소림사 보위단을 제1단으로 편성함. 묘흥이 단장을 맡음.
- 민국16년(1927) 묘흥이 무리를 이끌고 무양으로 감. 임응기의 부대와 싸워서 사망. 보위단 무승은 뿔뿔이 흩어짐.
- 민국17년(1928) 3월 15일, 국민군 석우삼이 소림사를 불태움. 천왕전, 대웅전, 객당, 종고루, 장경루와 소장한 대장경, <<소림사지>>목판, 북조석각조상비등이 모두 불에탐.
- 민국17년(1928) 민국정부는 중앙무술관을 만듬. 성,시,현에는 국술관을 만듬. 대량의 민간 권법스승이 교수를 맡음.
아미파 무술
아미파무술의 역사근원
중국 서남쪽에 위치하고있는 사천은 송나라 시기 사협사로 이름이 났다 즉 동쪽으로는 장강 서쪽으로는 민강 남쪽으로는 금사강 북쪽으로는 기룡강 등의 4개 강이 흘러서 이곳을 사천이라 불렀다.
춘추시대 중기를 중심으로 파인이 살고 있는 파국이 있었고 성도를 중심으로 촉인이 살고 있는 촉국이 있었는데 이를 총칭하여 파촉이라 했었다. 파촉의 사람은 고대에 격검 척검을 사용했는데 최초로 사용한 그들의 무기에는 청동검, 창, 칼, 화살 등이 있었다.
고대에 전하는 바에 의하면 파인이 제일 처음으로 칼과 방패 창과 검을 결합하여 사용한 민족이라한다.
검은 비수를 개설하여 만든 것이고 창은 고대 칼에서 개설된 것이라 한다. 삼국시대 장익독은 긴 칼로 조조와 수만명의 병사를 눌랜적이 있고 조자룡은 일성일검으로 백만군의 앞에서 두려움을 떨게 하였다 한다.
공원(公元) 70년 사천 경원에서 태어난 중국의 제일 여황제 측천무후는 무거과를 설치하였는데 이는 당나라 각 계층 인사들이 무술을 배우고 또 사천 무술을 널리 보급시켰다. 송나라 때는 사천무술의 영향력이 더욱 커져서 중원의 화동(華東) 화남(華南) 등 지역에까지 전파되었다. 명나라 때에 통치자들이 강산의 개발 생산발전등을 위하여 대규모 호수를 메우는 등 이주 정책을 펼쳤다. 하여금 많은 이주자들이 몰려와서 사천의 생산력 발전을 도우면서 파촉 문화와 아미무술이 비교적 안정되어 한층 더 아미파 쿵푸의 발전이 풍부하게 되었다. 사천사람은 예로부터 키가 작고 천성이 강하여 걷고 달리고 등산하기를 즐겨하여 행동이 민첩하고 기교가 많은 특징을 이용하여 보법영활선변(步法靈活善變) 장간용수(長干用手) 보함암퇴(步含暗腿) 기교분가 발경강질 사로회소교탁의 아미파를 만들어 냈다.
오래전부터 황폐한 환경에서 생존하기 위하여 잡기 던지기 차기 때리기(조 박 척 타) 등 의 자연무술이 발생되었으며, 춘추전국시대 빈번한 전쟁으로 조자룡의 창검 장비의 장팔장모촉의맹장 마조악의 출수법등의 군사 훈련법이 생성되었다 당송의 시기에는 평화의 기반에 건신 방어 오락 창춤 관상이 유행했으며 군사훈련에 기초를 한 아미무술이 발전되었으며 명청에 이르려 아미무술은 많은 발전과 梅師門 松溪派 余門 貫林派 회악문 洪門 소림남권 등의 아미파 계열의 무술문파가 형성되었다.
아미파무술의 기원과 발전
아미무술의 기원은 은상조(殷商)시기이며 당.송 시기에 점차적인 발전을하여 아미무술의 톡특한 기법과 풍격을 형성했으며 명.청대에 이르려 권법 검술의 이론과 기술이 정립되었다고 보며 명대에 당융(唐 )의\"荊川先生文集아미도인권가(峨眉道人拳歌) 에 의하면 아미무술의 발원지는 심산의 영적인 白猿인 川猿子에 전수 받았다 하며 참선과 타좌 등의 승려와 도인의 수행 방법에서 생성
추천자료
[외교정책][외교][중국 외교정책][북한 외교정책][일본 외교정책][영국 외교정책]중국의 외교...
[자동차보험][보험][한국][중국][일본][한국의 자동차보험][중국의 자동차보험][일본의 자동...
[군사력][한국의 군사력][북한의 군사력][중국의 군사력][일본의 군사력][한국][북한][중국][...
[고등학교중국어교육][고등학교][중국어교육]고등학교 중국어교육의 과목, 고등학교 중국어교...
[소수민족,이족,몽고족,고산족,조선족]중국 소수민족의 지역특성과 중국 소수민족의 정책 및 ...
[한중협력][한중관계]한중(한국과 중국) 정치안보협력, 한중(한국과 중국) 경제협력, 한중(한...
[국어 동의어][중국어 동의어][국어][중국어]국어 동의어의 개념, 국어 동의어의 유형, 국어 ...
농심신라면,신라면,신라면중국진출,중국라면시장,신라면중국,신라면중국시장,신라면성공요인,...
[철학사, 서양, 독일, 중국, 현대, 중국현대철학, 고전철학, 합리론, 경험론, 칸트 비판철학,...
[일본, 대중인식, 대중국인식, 전후 일본, 냉전기 일본]전후 일본의 대중인식(대중국인식), ...
[경제, 경제 교훈, 중국 경제, 독일 경제, 중국 경제로 본 교훈, 독일 경제로 본 교훈, 중국,...
[국제정세, 미국 국제정세, 중국 국제정세, 일본 국제정세, 북한 국제정세, 미국, 중국, 일본...
[국제경영학] 농심 신라면 중국진출 배경, 중국진출 성공 요인, 기업전략 분석, 중국시장 분...
우수레포트[9.11 테러와 중국 안보정책] 9.11테러 이전 중국의 안보정책, 911테러 이후 중국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