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목록의 역사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의 목록의 역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한국에서 목록의 정의
1. 목록의 어의(語意)
2. 목록의 성격
3. 용어설명

Ⅲ. 한국의 목록의 발달사
1. 고려시대
1) 대장목록(大藏目錄)
2) 신편제종교장총록(新編諸宗敎藏目錄)
3) 대장경 목록(판각목록)

2. 조선(전기)
1) 고사촬요책판목록(考事撮要冊板目錄)
2) 고책판소재고(古冊板所在考)

3. 조선(후기)
1) 해동문헌총록(海東文獻總錄)
2) 고책판소재고(판각목록)
3) 완영책판목록(판각목록)
4) 규장총목(奎章總目)(장서목록 - 관장목록)
5) 규장각서목(장서목록 - 관장목록)
6) 교남책록(장서목록 - 사장목록)
7) 누판고(판각목록)
8) 해동역사 예문지(문헌서목)
9) 홍재전서 군서표기(관찬서목 - 관장목록)
10) 기타

4. 조선(개화기)
1) 증보문헌비고예문고(增補文獻備考藝文考)
2) 한국서지(문헌서목)
3) 한적목록고본(장서목록 - 가장목록)
4)『고선책보』·『선책명제』
5) 제실도서목록(장서목록 - 관장목록)
6) 영남각읍교원서책록(嶺南各邑校院冊錄)(장서목록 - 사장목록)

5. 근대 이후(1910년 이후)
1) 조선고서목록(주제서목)
2) 조선서적목록
3) 조선도서해제
4) 조선총독부고서목록보유

6. 근대 이후(1923년 이후)
1) 고선책보(문헌서목)
2) 조선의 서지
3) 청분실서목

7. 근대 이후(1954년 이후)
1) 조선동서편목규칙
2) 한은도서편목법
3) 동서편목규정
4) 한국목록규칙(KCR)
5) 한국고서종합목록 (韓國古書綜合目錄)

8. 근대 이후(1980년 이후)
1) KCR3
2) KCR3.1

Ⅳ. 나오는 말

본문내용

영조 시대의 지리학자 신경준이 편찬한 것이며 북간도와 서간도는 고종시대에 추가하였고 이는 간도문제에 중요한 사료이다. 궁실고 3권은 이만운이 편찬한 것이다.
(3) 제계고 : 14권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만운이 편찬한 왕계고와 씨족고를 합친 것으로 전반 6권은 역대 왕실에 대한 기록이며 8권은 우리나라 496성의 성씨별 본관과 시조 및 명인의 약전을 기록하였다.
(4) 예고 : 36권이며 영조 시대의 이담이 편한 것으로 예속에 관한 자료를 수록하고 있어 풍속사 연구의 중요한 자료가 된다.
(5) 악고 : 19권이며 우리나라 음악에 관한 역사를 기록한 것으로 율려의 제조, 악제, 악기, 악무, 악인 등을 수록하고 끝부분에 훈민정음을 수록하였다.
(6) 병고 : 18권이며 영조 시대에 채제공과 이득일이 편찬한 것으로 역대 군사제도와 군사법령, 부신, 병서, 봉수, 마정, 발참 등을 나누어서 기록하였다.
(7) 형고 : 14권이며 형법에 관한 제도를 기술한 책이다. 영조 시대에 이최중, 황 간이 편찬하였다.
(8) 전부고 : 13권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우리나라의 토지 제도에 관한 자료를 수록한 책이다. 영조 시대의 원인손이 편찬한 듯 하며 전제, 경계, 조세, 대동법 등을 기록한 것이다.
(9) 재용고 : 7권이며 국가 경제에 관한 자료를 수집한 것이다.
(10) 호구고 : 2권이며 역대 인구를 기록한 자료이다. 역대의 호구, 호패, 노비를 기록한 책이다.
(11) 시적고 : 8권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업과 무역에 관한 자료를 모은 책이다. 시장, 북관개시, 왜관개시, 향시 등을 다루고 있으며 개항 이후 한일 세칙, 각국 세칙, 한오 세칙 해관 장정 등을 수록하였다.
(12) 교빙고 : 13권으로 우리나라의 외교 관계 자료를 수집한 것이다. 각 왕조의 중국과의 교빙, 일본과의 교빙 등의 자료이며 정조 시대의 이만운이 편찬한 것이다. 후에 태서 각국과의 교빙, 강화 조규, 한미 조규 등 근대 각국과의 조약은 고종 시대에 증보한 것이다.
(13) 선고고 : 18권이며 인재 등용에 관한 자료를 수집한 것으로 각종 과거제도와 인물을 전형하는 제도를 기술한 것이다.
(14) 학교고 : 12권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교육에 관한 자료를 수집한 것으로 문묘, 학관, 사학, 이단배척, 향고, 서원 등을 기술하였다. 본고는 영조시대의 조 준이 편찬하였으나 순조 시대에 궁내에서 유실하여 이유준이 다시 편찬하였다.
(15) 직관고 : 28권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우리 나라의 관제에 관한 자료를 수집한 책이다. 삼국 이전의 관제와 신라, 고려, 조선의 관제, 무관제도, 직전, 녹봉 등은 영조 시대에 편찬한 것이며 경장 관제 4권은 고종 시대에 첨가한 것이다.
(16) 예문고 : 9권 이며 저술된 서적을 수집한 책으로 이만운이 편찬하였으며 역대서적, 역대기술, 사기 등 20개의 분류로 이루어져 있고 책 이름과 저자의 약력을 기술하였다.
⑤ 역사적 가치
증보문헌비고는 우리나라 문화를 상위, 여지, 제계, 예, 악, 병, 형, 전부, 재용, 호구, 시적, 교빙, 선거, 학교, 직관, 예문 등 16고(考)로 나누어 각종 서적에 나타나 있는 해당 사항을 초출하여 연대순으로 정리한 것으로서 일종의 백과사전과 같은 분류사를 합한 것이다. 국가 행정과 일상 생활에 참고가 되는 동시에 학문 연구에도 필요한 서적이다. 이처럼 ‘증보문헌비고’는 정치, 경제, 외교, 군사, 법률, 음악, 예술, 풍속, 관제 등 모든 문화에 관한 자료를 수집하여 분류 편찬한 것이므로 한국학 연구에 대단히 필요한 서적이라 할 수 있다.
⑥ 현재 연구 결과
증보문헌비고에 대한 연구는 세종대왕 기념사업회가 주축이 되어 국역본을 완성하였으며 민속학, 풍속학, 전통음악 등 전분야에 걸쳐 각 학문별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또한 한국 정신문화연구원은 ‘증보문헌비고색인’을 제작하였으며 국립국악원은 악고를 역주하였다.
2) 한국서지(문헌서목)
모리스 꾸랑이 집필한 목록으로 조선서지라고도한다. 개인 수집 자료 및 쁠랑시, 뮈텔 주교, 로즈 제독 등 개인 소장 도서와 런던 대영박물관, 일본 우에노도서관 등의 소장 도서를 정리한 서목이며 4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32,821권의 도서 수록되어있다.
서명을 표출하고 권책수와 크기 기재, 해제를 붙이고 독자적인 분류체계이며 교화, 언어, 유교, 문묵, 의범, 서서, 기예, 교문, 교통의 9부분 35류로 구성되어있다. 비록 미흡한 점이 없지 않으나, 서구인으로서 방대한 서지를 엮고 그것을 통해 우리문화 전반을 논평한 점에서 의의가 있다 하겠다.
3) 한적목록고본(장서목록 - 가장목록)
융희 1(1908)년에 간행된 목록으로 1,500여종의 장서가 수록되어있다.
4)『고선책보』·『선책명제』
『고선책보(古鮮冊譜)』는 대한제국 때 조선공사 통역관으로 내한한 바 있는 일본인 마에마 고사꾸(前間恭作)가 1904년경부터 1942년까지 30여년간 수집한 장서를 비롯하여 한국·일본·만주지방의 여러 장서 그리고 각종 문헌을 조사하여 엮은 서목이다.
편집에 있어서 형식의 통일이 결여되고 해제의 상략이 심하며 배열이 일본어순으로 되어 있으나 당시까지 나온 우리나라의 서목 중에서 가장 방대한 것이었다. 특히 해설에 저자경력의 대요, 서·발문, 장판, 인용전거 등 필요한 서지사항을 광범하게 초록하고 인용하여 기재하고 있어 많이 활용되고 있다. 편자가 엮은 서목으로 『고선책보』의 자매편격인 『선책명제(鮮冊名題)』가 있다.
본서는 미완성 수고의 유별서목으로 전래되고 있으나, 독특한 유별순으로 정리되어 있어 고전자료의 조직에 적용된 분류법 연구에 참고가 된다.
5) 제실도서목록(장서목록 - 관장목록)
별궁, 규장각 장서등 10만여 책 정리되어있다.
6) 영남각읍교원서책록(嶺南各邑校院冊錄)(장서목록 - 사장목록)
영남 지역 향교 및 서원에 소장된 전적을 기록한 목록으로 작성연대는 알 수 없으나, 내용으로 보아 근세에 조사하여 엮은 것이다. 그 내용은 향교는 하나 뿐이고 모두가 경주부, 안동부, 상주부, 성주목 관내에 있는 서원의 간략한 장서목록이다.
5. 근대 이후(1910년 이후)
1) 조선고서목록(주제서목)
1911년 샤쿠오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8페이지
  • 등록일2008.03.27
  • 저작시기2008.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5787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