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사례 배경
Ⅱ. SK증권과 J. P 모건
1. J. P. Morgan
2. SK 증권
Ⅲ. Diamond Fund 설립 및 투자
Ⅳ. TRS(Total Return Swap)계약
Ⅴ. 계약 후의 상황변화와 천문학적 손실규모
Ⅵ. 소송의 쟁점과 합의
Ⅶ. 결론
Ⅱ. SK증권과 J. P 모건
1. J. P. Morgan
2. SK 증권
Ⅲ. Diamond Fund 설립 및 투자
Ⅳ. TRS(Total Return Swap)계약
Ⅴ. 계약 후의 상황변화와 천문학적 손실규모
Ⅵ. 소송의 쟁점과 합의
Ⅶ. 결론
본문내용
파생상품 활용이 증가하고 있고 우월한 능력을 보유한 외국계 금융기관이 국내시장에서 점유율을 확대시켜나가고 있는 현시점에서 증권사 등 활용주체의 파생상품에 대한 이해와 분석 능력의 증진이 절실히 요구된다. 또한 경영자는 장외파생상품 활용시에는 반드시 헤지거래가 수반되어야 한다.
Ⅶ. 결론
우리는 위험을 크게 체계적 위험과 비체계적 위험으로 나누는 가장 큰 기준은 위험에 대한 통제 가능성이다. 정치, 경제 사회적 요인이나 경기변동 구매력(PPP)변동 외에도 우리가 관심을 가지고 있는 국제 재무전략과 관련할 때 환율이나 국제 수지, 이자율 등의 변수들과 관련된 분산 불가능한 위험을 체계적 위험이라 한다. 이러한 체계적 위험은 개별기업으로서는 통제하기 힘든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그렇다고 그 체계적 위험은 관리대상이 아니라고 할 수 는 없다. SK그룹과 JP Morgan 분석 사례에서 볼 수 있었듯이, 비체계적 위험이 체계적 위험과 결합할 때 그 손실은 천문학적으로 막대한 것이다. 하지만 보다 거시적인 환경이나 위험에 대해서는 그만큼 분석하거나 예측하기가 힘든게 사실이고, 어느 정도까지는 그 위험에 대한 예상이 가능하다고 할지라도 보다 높은 이윤을 추구하는 기업의 입장에서는 발생가능성이 적다고 예상되는 위험 때문에 감수하게 되는 이윤감소를 꺼리게 되는 , 따라서 그 체계적 위험을 무시하게 되는 경향이 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체계적 위험에 노출되었을 때 기업이 감당해야하는 손실이 막대하고, 또 그 파장은 사회전체로 파급될 수 있기 때문에 단지 그것이 예측하기 힘들고, 기업현실에서 통제 불가능하기 때문에 방치할 수만은 없는 문제이다. 따라서 개별 기업은 거시적인 시장 변화에 대한 보다 정확한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하며 또한 시장 분석을 통해 예상되어지는 위험이 일정 수준이 넘어선다고 생각되어지면 민감하게 대처해 나갈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위험과 수익은 상반된 관계에 놓여있기 때문에 무조건 위험을 줄이려고 하는 것도 옳지 못하며 그렇다고 감당할 수 없는 수준의 위험을 수취하려는 자세 역시 무모하다고 할 수 있다. 각 기업은 자신에게 맞는 적절한 수준의 위험수준을 결정하고 지금 자신이 위험에 노출되어 있는 정도를 파악하여 적정수준에 맞게 늘리거나 줄이려는 노력을 해야 할 것이다.
이 때 각 경제단위에 요구되는 것이 위험의 측정과 관리 능력이라 할 것이다. 위 사례에서 보여지듯이 위험관리라는 것은 조직 전반에 대한 이해와 경제상황에 대한 지식 그리고 수학적 지식을 요구하는 고도화된 작업이므로 사고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위험관리 시스템을 정비하는 일도 필요하겠지만 우선적으로는 위험관리 인력을 양성하고 조직구성원이 모두 위험에 대한 인식의 틀을 갖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기업을 운영함에 있어 자금조달 및 확보는 경우에 따라 기업의 운명을 좌우하는 일이기 때문에 금융시장이 활성화가 중요하다. 게다가 세계자본 시장의 금리자유화와 자본거래에 관한 규제완화 및 철폐는 파생상품 시장의 확대를 더욱 부추겼다. 국경을 초월한 기업활동의 확대로 자금이동이 활발해짐에 따라 기업경영의 위험의식도 크게 변화하였다.
또한, 파생상품은 레버리지효과까지 뛰어나서 전통적인 금융거래에 비해 수익성이 매우 높을 뿐만 아니라, 예측만 맞아떨어진다면 적은 비용으로도 큰 효과를 누릴 수 있기 때문에 파생상품 시장은 더욱 확대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파생상품 거래는 첨단 금융기술을 구사하여 치밀하게 구성되고 있는 경향이다. 그 복잡성 대문에 위험을 파악하기가 쉽지 않다. 위험을 느낄 때쯤이면 이미 큰 손실을 보고 있고, 일시적으로 손실의 복원을 위해 노력을 하지만, 이미 때가 늦어 더 많은 손실을 입게 되는 것이 전형적인 패턴이다.
이처럼 파생상품은 한편으로는 화폐경제의 주역으로서 금융거래 및 금융시장의 효율성을 높이는 데 기여해 왔을 뿐만 아니라, 고수익의 기회를 제공해 주는 성장시장이기도 하다. 반면에 금융 시스템에 대한 잠재적인 위험을 증폭시킬 가능성도 무시할 수 없다. 따라서 파생상품을 취급하는 기업은 위험관리라는 중요한 책임을 가져야 한다.
위의 사례를 통해 같은 금융업에 종사하는 SK증권이 JP Morgan을 신의성실의 원칙을 위배했다는 명목으로 소송을 걸었고, 양자는 결국 합의를 보았지만 뚜껑을 열어보니 SK증권의 사실상 패배였다. 앞으로도 파생금융상품시장은 더욱 확대될 것으로 보이고 ‘모르면 하지 마라’ 라는 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파생금융상품에 대한 정확한 지식이 없는 투자기업들도 이에 많이 투자를 하려고 할 것이다. 또한 금융기관도 거래액에 비례하는 수수료에 대한 매력으로 파생금융상품거래를 더욱 조장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이에 대한 대책도 시급하다. 그리고 금리자유화와 자본거래에 관한 규제완화 및 철폐는 파생상품 시장의 확대를 더욱 부추겼다. 한 예로 최근 론스타 사태와 금융시장 통합법의 추진이 그 예이다. 또한 국경을 초월한 기업활동의 확대로 자금이동이 활발해짐에 따라 기업경영의 위험의식도 크게 변화하였다. 기업이 올바른 금융지식과 국제 정세와 시장의 흐름에 대한 정확한 정보가 수행되지 않는다면 이러한 기업의 손실은 고스란히 국민들에게 돌아갈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기업은 그 어느 때보다 풍부한 금융지식위에 신중한 재무전략을 취하는 것이야 말로 모두가 WIN-WIN 할 수 있는 길이 아닌가 생각해 본다.
참 고 자 료
장세진 글로벌 경영 사례집
이정환 닷컴 2004. 8. 24 http://www.leejeonghwan.com/media/archives/000274.html
이정환 닷컴 2005. 12. 30 http://www.leejeonghwan.com/media/archives/000580.html
Welcome Cheolho Han\'s 참고자료2 다이아몬드 펀드의 파생상품 거래손실 분석
http://myfr.net/board_invest.asphttp
금융 감독원,
선물연수원 www.koffa.or.kr/upload/
◆보도자료
한국경제 경제면 1998.2.12, 2.13
한국경제 사회면 1998.2.10
동아일보 98.6.30
조선일보 98.2.19
주간매경 98.3.25
Ⅶ. 결론
우리는 위험을 크게 체계적 위험과 비체계적 위험으로 나누는 가장 큰 기준은 위험에 대한 통제 가능성이다. 정치, 경제 사회적 요인이나 경기변동 구매력(PPP)변동 외에도 우리가 관심을 가지고 있는 국제 재무전략과 관련할 때 환율이나 국제 수지, 이자율 등의 변수들과 관련된 분산 불가능한 위험을 체계적 위험이라 한다. 이러한 체계적 위험은 개별기업으로서는 통제하기 힘든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그렇다고 그 체계적 위험은 관리대상이 아니라고 할 수 는 없다. SK그룹과 JP Morgan 분석 사례에서 볼 수 있었듯이, 비체계적 위험이 체계적 위험과 결합할 때 그 손실은 천문학적으로 막대한 것이다. 하지만 보다 거시적인 환경이나 위험에 대해서는 그만큼 분석하거나 예측하기가 힘든게 사실이고, 어느 정도까지는 그 위험에 대한 예상이 가능하다고 할지라도 보다 높은 이윤을 추구하는 기업의 입장에서는 발생가능성이 적다고 예상되는 위험 때문에 감수하게 되는 이윤감소를 꺼리게 되는 , 따라서 그 체계적 위험을 무시하게 되는 경향이 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체계적 위험에 노출되었을 때 기업이 감당해야하는 손실이 막대하고, 또 그 파장은 사회전체로 파급될 수 있기 때문에 단지 그것이 예측하기 힘들고, 기업현실에서 통제 불가능하기 때문에 방치할 수만은 없는 문제이다. 따라서 개별 기업은 거시적인 시장 변화에 대한 보다 정확한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하며 또한 시장 분석을 통해 예상되어지는 위험이 일정 수준이 넘어선다고 생각되어지면 민감하게 대처해 나갈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위험과 수익은 상반된 관계에 놓여있기 때문에 무조건 위험을 줄이려고 하는 것도 옳지 못하며 그렇다고 감당할 수 없는 수준의 위험을 수취하려는 자세 역시 무모하다고 할 수 있다. 각 기업은 자신에게 맞는 적절한 수준의 위험수준을 결정하고 지금 자신이 위험에 노출되어 있는 정도를 파악하여 적정수준에 맞게 늘리거나 줄이려는 노력을 해야 할 것이다.
이 때 각 경제단위에 요구되는 것이 위험의 측정과 관리 능력이라 할 것이다. 위 사례에서 보여지듯이 위험관리라는 것은 조직 전반에 대한 이해와 경제상황에 대한 지식 그리고 수학적 지식을 요구하는 고도화된 작업이므로 사고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위험관리 시스템을 정비하는 일도 필요하겠지만 우선적으로는 위험관리 인력을 양성하고 조직구성원이 모두 위험에 대한 인식의 틀을 갖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기업을 운영함에 있어 자금조달 및 확보는 경우에 따라 기업의 운명을 좌우하는 일이기 때문에 금융시장이 활성화가 중요하다. 게다가 세계자본 시장의 금리자유화와 자본거래에 관한 규제완화 및 철폐는 파생상품 시장의 확대를 더욱 부추겼다. 국경을 초월한 기업활동의 확대로 자금이동이 활발해짐에 따라 기업경영의 위험의식도 크게 변화하였다.
또한, 파생상품은 레버리지효과까지 뛰어나서 전통적인 금융거래에 비해 수익성이 매우 높을 뿐만 아니라, 예측만 맞아떨어진다면 적은 비용으로도 큰 효과를 누릴 수 있기 때문에 파생상품 시장은 더욱 확대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파생상품 거래는 첨단 금융기술을 구사하여 치밀하게 구성되고 있는 경향이다. 그 복잡성 대문에 위험을 파악하기가 쉽지 않다. 위험을 느낄 때쯤이면 이미 큰 손실을 보고 있고, 일시적으로 손실의 복원을 위해 노력을 하지만, 이미 때가 늦어 더 많은 손실을 입게 되는 것이 전형적인 패턴이다.
이처럼 파생상품은 한편으로는 화폐경제의 주역으로서 금융거래 및 금융시장의 효율성을 높이는 데 기여해 왔을 뿐만 아니라, 고수익의 기회를 제공해 주는 성장시장이기도 하다. 반면에 금융 시스템에 대한 잠재적인 위험을 증폭시킬 가능성도 무시할 수 없다. 따라서 파생상품을 취급하는 기업은 위험관리라는 중요한 책임을 가져야 한다.
위의 사례를 통해 같은 금융업에 종사하는 SK증권이 JP Morgan을 신의성실의 원칙을 위배했다는 명목으로 소송을 걸었고, 양자는 결국 합의를 보았지만 뚜껑을 열어보니 SK증권의 사실상 패배였다. 앞으로도 파생금융상품시장은 더욱 확대될 것으로 보이고 ‘모르면 하지 마라’ 라는 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파생금융상품에 대한 정확한 지식이 없는 투자기업들도 이에 많이 투자를 하려고 할 것이다. 또한 금융기관도 거래액에 비례하는 수수료에 대한 매력으로 파생금융상품거래를 더욱 조장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이에 대한 대책도 시급하다. 그리고 금리자유화와 자본거래에 관한 규제완화 및 철폐는 파생상품 시장의 확대를 더욱 부추겼다. 한 예로 최근 론스타 사태와 금융시장 통합법의 추진이 그 예이다. 또한 국경을 초월한 기업활동의 확대로 자금이동이 활발해짐에 따라 기업경영의 위험의식도 크게 변화하였다. 기업이 올바른 금융지식과 국제 정세와 시장의 흐름에 대한 정확한 정보가 수행되지 않는다면 이러한 기업의 손실은 고스란히 국민들에게 돌아갈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기업은 그 어느 때보다 풍부한 금융지식위에 신중한 재무전략을 취하는 것이야 말로 모두가 WIN-WIN 할 수 있는 길이 아닌가 생각해 본다.
참 고 자 료
장세진 글로벌 경영 사례집
이정환 닷컴 2004. 8. 24 http://www.leejeonghwan.com/media/archives/000274.html
이정환 닷컴 2005. 12. 30 http://www.leejeonghwan.com/media/archives/000580.html
Welcome Cheolho Han\'s 참고자료2 다이아몬드 펀드의 파생상품 거래손실 분석
http://myfr.net/board_invest.asphttp
금융 감독원,
선물연수원 www.koffa.or.kr/upload/
◆보도자료
한국경제 경제면 1998.2.12, 2.13
한국경제 사회면 1998.2.10
동아일보 98.6.30
조선일보 98.2.19
주간매경 98.3.25
추천자료
[SK텔레콤] SK텔레콤의 성공전략
이동통신 시장 환경 분석, SK 텔레콤(SKT) SWOT 분석, SK 텔레콤(SKT) STP 분석, SK 텔레콤(S...
전략경영SKT,SKT의 경영전략,상생경영,녹색경영,브랜드마케팅,서비스마케팅,글로벌경영,사례...
SK그룹 지주회사 전환 사례 - 지주회사전환사례,지주회사,SK기업분석,지주회사.PPT자료
[SK][SK그룹][경영권][출자전환]SK(SK그룹)의 역사, SK(SK그룹)의 경영권, SK(SK그룹)의 출자...
[SK하이닉스][현대전자]SK하이닉스(현대전자)의 반도체산업, SK하이닉스(현대전자)의 분사추...
[SK][SK그룹][기업][인재상][CI]SK(SK그룹)의 연혁, SK(SK그룹)의 인재상, SK(SK그룹)의 CI(...
[SK에버텍][SKC][SK에버텍 특성][SK에버텍 경영이념][SK에버텍 지식경영][SK에버텍 작업장혁...
SK기업분석,SKMS경영이념,SK다각화전략 및 사회공헌활동
[SK그룹][SK][SK 채용절차]SK그룹(SK)의 기본이념, SK그룹(SK)의 산업군, SK그룹(SK)의 업무...
2015.SK텔레콤 현황 & 고객만족경영 전략 - SK텔레콤고객행복
SK와 SK C&C의 M&A.[통합 효과와 성장전략.통합과정]
국제학술해운공모전 ( 수상작 ) - 글로벌 해운 시장 여건 현황 및 주요 선사 부도율 예측에 ...
코카콜라의 글로벌 마케팅 사례연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