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비즈니스]새로운 수익모델 LBS시장 동향 분석 (A+리포트)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e비즈니스]새로운 수익모델 LBS시장 동향 분석 (A+리포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들어가는 말

2. 해외 LBS 시장 동향
(1) 단말기 제조사들의 적극적인 시장 공략
(2) LBS 아성이 흔들리는 이통사

3. 국내 이통사의 LBS 움직임
(1) 생활밀착형 위치정보서비스의 강자 ‘대형 포털’
(2) 비즈니스 모델 발굴이 관건

본문내용

지역의 여행지, 상점, 맛집, 골프장 등 길찾기를 포함한 지역정보 알림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임
지상파 방송사는 DMB를 기반으로 한 실시간 교통정보서비스(TPEG)를 제공하면서 추가 수익을 기대하고 있다.
(1) 생활밀착형 위치정보서비스의 강자 ‘대형 포털’
국내에서 생활밀착형 위치정보서비스는 이통사보다 대형포털을 통해 활성화되고 있다. 야후코리아가 2004년에 선보인 생활정보와 지도서비스를 결합한 ‘야후! 거기’는 여대생 리포터를 통한 지역정보를 제공으로 꾸준한 인기를 모으며, 대표적인 지역생활정보 인터넷 검색 서비스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최근에는 한층 업그레이드된 ‘야후! 라이프맵’을 제공하고 있다. 야후! 라이프맵은 Web 2.0 개념의 UCC 지도서비스로, 자신의 일상 사진을 시간과 위치정보에 따라 지도위에 저장하고 이를 다른 사람들과 공유할 수 있는 커뮤니티 활동을 구현하고 있다.
파란(KTH)도 다양한 생활형 밀착 서비스 기능을 추가하여 지역정보 서비스를 한층 업그레이드했다. 사용자 IP 정보를 기반으로 이용자의 컴퓨터 위치를 자동으로 파악하여 이용장소에 따라 지역별로 다른 메인화면과 검색결과를 보여주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또 사용자가 관심 지역을 설정하면 병원 및 음식점, 부동산 정보 등 맞춤형 생활정보를 지역에 맞게 받을 수 있다.
[그림 4] 야후코리아의 ‘야후 라이프맵’과 네이버의 ‘실시간 교통정보 서비스’
출처 : 야후코리아, 네이버 홈페이지
네이버(NHN)는 2006년 지도 API를 공개하여 참여형 지도 서비스를 꾀하고 있으며, 2007년 8월부터 주요 도로의 교통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네이버 실시간 교통정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API 공개에도 불구하고 국내에서는 매시업(Mash up) 매시업(Mash up) : 웹 서비스나 공개 API를 제공하는 업체들에서 데이터를 받아 전혀 다른 새로운 서비스나 융합 애플리케이션을 만들어 내는 것
이 활성화되지 못해 1년 넘게 겉돌고 있는 상황이다. Google의 구글맵이 큰 인기를 끌고 있는 이유가 이용자의 매시업으로 작성된 각종 정보가 구글맵에 가득하기 때문인 점을 고려한다면 네이버는 매시업 활성화에도 적극 나서야 할 것이다.
테마형 생활지리정보를 제공하는 전문 인터넷 포털도 등장하고 있다. 전자지도 전문업체인 엠앤소프트가 지난 5월말 인터넷 지리정보 포털사이트인 ‘Whereis www.whereis.co.kr
'를 오픈했다. Whereis는 읍면동 단위의 상세한 디지털 지도와 함께 시간별, 도표, 그래프로 보는 날씨 정보를 제공하는 ‘날씨맵’, 전국 주유소의 위치와 가격정보를 제공하는 ‘주유소맵’, 주차장과 세차장 가격정보를 제공하는 ‘주차/세차장맵’ 등 다양한 테마 지도 서비스를 선보이고 있다.
(2) 비즈니스 모델 발굴이 관건
국내 LBS 시장이 지속적으로 성장하려면 시스템 및 서비스보다 수익성이 있는 비즈니스 모델 개발이 우선적으로 요구된다. 직접적인 수익을 올리지 못한다 하더라도 수익창출의 지렛대 역할을 하는 것도 모색해 볼 수 있다. 그러한 측면에서 Google의 LBS 비즈니스 모델은 많은 시사점을 주고 있다.
Google은 구글맵에 매시업 기능을 활성화시켜 이용자의 입맛에 맞는 다양한 정보가 자체적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했으며, 이를 기반으로 실시간 위치정보를 제공하고, 여기에 위치연동형 점포광고 등을 개설함으로써 수익을 올리고 있다. 이용자의 지갑은 그대로 놔두고 광고주로부터 매출을 올림으로써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의 활성화와 매출 증대의 두 마리 토끼를 잡고 있는 것이다. 일본의 DoCoYo! local 광고 서비스도 이러한 형태의 서비스로 분류되고 있다.

키워드

추천자료

  • 가격1,2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8.04.02
  • 저작시기2008.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5934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