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량 탱크의 배수 밸브를 열고 단계적으로 유체 실험대 급수 밸브를 열어 반복 측정하여 기록한다.
⑭ 실험이 끝나면 먼저 펌프용 전동기의 전원을 끄고 물은 저장탱크로 배수시킨 다음 각부를 깨끗이 청소하고 물기를 닦아 준다.
6. 관찰 및 결과 (Observation & Result)
실험에 사용한 추의 무게는 2kg 과 4kg 이며, 최초 추걸이의 무게만으로 저장탱크내의 유체가 계량탱크로 이동한 후 수형을 이루는 순간에 즉, 저울대가 저장탱크의 무게+유체의 무게가 정확히 추걸이 무게와 수형을 이룰 때를 시작으로 하고 다시 2kg 의 추를 걸어서 다시 저울대가 수평을 이룰 때 까지의 시간을 스톱워치로 측정한다. 이때 수평을 이룬다는 것은 저울대가 유체 장치대의 상단에 위치할 때를 말하며, 저울대가 [추+추걸이 = 계량탱크+유체] 1:3의 질량비를 가짐을 관찰 할 수 있었다. 따라서 2kg 의 추를 사용하여 저울대가 수평을 이루었다면 계량탱크에는 6kg 의 유체가 들어가 있음을 의미한다. 그리고 최초의 배수 밸브의 개도(회전수)는 1이며, 다음 1 순으로 해서 4까지 13회에 걸쳐서 회당 2회씩 평균값을 계산해야 하므로 총 26회의 실험을 반복하였다. 배수 밸브의 회전수가 늘어남에 따라서 유량도 많아지므로 추의 무게 또한 4kg 으로 올렸고 마찬가지로 유체의 질량도 12kg 으로 늘어나게 되었다.
7. 문헌 (Reference)
http://blog.naver.com/sangaph1?Redirect=Log&logNo
=70003052285
http://blog.paran.com/dlguscjs
/18882862
⑭ 실험이 끝나면 먼저 펌프용 전동기의 전원을 끄고 물은 저장탱크로 배수시킨 다음 각부를 깨끗이 청소하고 물기를 닦아 준다.
6. 관찰 및 결과 (Observation & Result)
실험에 사용한 추의 무게는 2kg 과 4kg 이며, 최초 추걸이의 무게만으로 저장탱크내의 유체가 계량탱크로 이동한 후 수형을 이루는 순간에 즉, 저울대가 저장탱크의 무게+유체의 무게가 정확히 추걸이 무게와 수형을 이룰 때를 시작으로 하고 다시 2kg 의 추를 걸어서 다시 저울대가 수평을 이룰 때 까지의 시간을 스톱워치로 측정한다. 이때 수평을 이룬다는 것은 저울대가 유체 장치대의 상단에 위치할 때를 말하며, 저울대가 [추+추걸이 = 계량탱크+유체] 1:3의 질량비를 가짐을 관찰 할 수 있었다. 따라서 2kg 의 추를 사용하여 저울대가 수평을 이루었다면 계량탱크에는 6kg 의 유체가 들어가 있음을 의미한다. 그리고 최초의 배수 밸브의 개도(회전수)는 1이며, 다음 1 순으로 해서 4까지 13회에 걸쳐서 회당 2회씩 평균값을 계산해야 하므로 총 26회의 실험을 반복하였다. 배수 밸브의 회전수가 늘어남에 따라서 유량도 많아지므로 추의 무게 또한 4kg 으로 올렸고 마찬가지로 유체의 질량도 12kg 으로 늘어나게 되었다.
7. 문헌 (Reference)
http://blog.naver.com/sangaph1?Redirect=Log&logNo
=70003052285
http://blog.paran.com/dlguscjs
/18882862
추천자료
벤추리 유량계 실험장치로 실험. 유량 측정 실험 결과 보고서
유체마찰손실 및 유량측정
기계공학실험 (열유체, 풍동실험)
관을 통한 유체의 흐름
유체관로의 부손실
펠톤수차 유체기계 결과 보고서
(결과) 유체관로의 주손실 측정
[단위실험] (결과) 오리피스 벤츄리[Orifice meter & Venturi meter]
[단위실험] 레이놀즈 실험[Reynolds Number]
실험03. reynolds number
화학공학 실험 -레이놀즈수( Reynolds 실험) 실험
뉴턴 유체의 점성률 : 유체의 점도를 간단한 피펫형 점도계(Ostwald점도계)를 사용하여 측정...
Reynolds 실험
7.유체흐름관찰 (예비+결과)보고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