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보상절 9권을 중심으로- 한글 문헌의 이해 레포트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석보상절 9권을 중심으로- 한글 문헌의 이해 레포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치적·문화적 기구였다. 설립 당시 노론의 벽파 등 반대파를 숙청하며, 혁신정치를 위한 중추기구 내지는 기획 연구기관의 구실을 하였다.
원래 ‘규장(奎章)’이란 임금의 어필과 어제를 가르키는 것으로, 그것을 모아두는 제도는 중국에서 유래되었다. 하지만, 고사를 따른다는 명분에 힘입어 실질적으로는 새로운 정치적·문화적 기구를 마련했던 것이다.
교양 없는 인물로 문화와는 거리가 있던 홍국영(洪國榮)의 제거를 계기로, 문화 기관으로 충실해졌고, 각신의 권한도 날로 커져갔다. 설립 시기에는 정적 소탕을 주임무로 했던 규장각이 정세의 안정과 더불어 정치의 연구 및 기획 기관이 된 것이다.
따라서 여기에 소속된 각신은 승지 이상으로 왕과 친밀하였다. 밖으로는, 청나라 건륭 문화(乾隆文化)의 영향을 받아 내외 서적의 수집·편서·간서에 구심적 역할을 했으며, 우리 문화재의 정리와 보관에 지대한 공헌을 하였다.
≪참고문헌≫ 正祖實錄≪참고문헌≫ 奎章閣志≪참고문헌≫ 內閣日曆≪참고문헌≫ 奎章閣小史(李泰鎭, 서울大學校圖書館, 1990)≪참고문헌≫ 奎章閣考(金龍德, 中央大學校論文集 2, 1957)≪참고문헌≫ 奎章閣小考(李離和, 奎章閣 3, 1979)≪참고문헌≫ 奎章閣抄啓文臣硏究(鄭玉子, 奎章閣 4, 1981)≪참고문헌≫ 弘齋王の文體反正(高橋亨, 靑丘學叢 7, 1932)
2) 소장기관
국립중앙도서관:1945년 10월 15일 서울시 중구 소공동에서 개관하였다. 1974년 남산으로 이전하였다가 1988년 5월 서초구 반포동의 신축건물로 확장 이전하였다.
본관과 2006년 6월말 개관하는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이 있으며, 본관은 부지면적 14만 2233㎡, 건물면적 3만 4773㎡에 지하 1층 지상 7층 규모이다.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은 부지면적 1만 2316㎡, 건물면적 8,050㎡에 지하 2층 지상 4층 규모로 강남구 역삼동 구 학위논문관 자리에 위치한다. 부속건물로는 사서연수관, 자료보존관이 있다.
도서관협력망의 중앙관으로서 전국 514개 공공도서관이 16개 지역대표관을 중심으로 지역실정에 맞는 협력사업을 개발·운영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또한, 국내외 자료의 수집, 정리, 분석, 보존, 축적 및 공중에의 이용, 각종 서지의 작성 및 표준화와 국제표준자료번호제도의 운영, 국내외 도서관과의 협력 및 자료의 교환, 독서의 생활화를 위한 시책의 수립 및 실시 등의 임무를 띠고 있다.
조직은 관장아래 기획연수부와 자료관리부가 있으며, 기획연수부는 총무과, 도서관정책과, 사서능력발전과, 작은도서관진흥팀, 정보화담당관으로, 자료관리부는 자료기획과, 주제정보과, 정책자료과로 이루어져 있다.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은 행정지원팀, 기획협력팀, 정보서비스팀이 있다. 2006년 4월 기준총인원 224명이 근무하고 있다.
2004년도 500만 장서달성 이후로, 2006년 3월말 국내도서 380만여 권, 국외도서 76만여 권, 고서 26만여 권, 비도서 94만여 권 등 총 580만 여권을 소장하고 있으며, 그 중 17세기 이전에 간행된 국보, 보물 등 국가지정문화재와 서울시 유형문화재로 지정된 문화재급 고서가 12종으로, 국보 제148호 《십칠사찬고금통요(十七史纂古今通要)》, 보물 제523-1호 《석보상절(釋譜詳節)》, 보물 제1085호 동양의학서인 《동의보감》 등이 있다.
주요 행사로는 1965년부터 시작된 도서관주간(매년 4월 12일~18일)을 비롯하여, “독서의 달”인 9월에 독서진흥 유공자를 선정하여 포상하고, ‘독서표어’ 공모, 독서포스터 제작, 독서캠페인 등을 전개하고 있다. 또한 2005년부터 문화강좌‘작가와 함께 여는 책 세상’을 개최하고 있다.
21세기 지식강국 실현 및 디지털정보의 보편화를 위하여 국립중앙도서관 전면 광장에 국립디지털도서관을 연면적 1만 1500평, 지하5층 지상3층 건물로 2008년 완공목표로 추진 중에 있다.
현재 전하는 것은 국립중앙도서관 소장 권6·9·13·19의 초간본 4책(보물 523), 동국대학교 도서관 소장 권23·24의 초간본 2책, 호암미술관 소장의 복각된 중간본 권11 1책, 1979년 아주대학교 천병식(千炳植) 교수가 발견한 복각된 중간본 권3 1책 등이 있다. 권6·9·13·19는 1955∼1957년에 한글학회에서 《한글》지(誌) 통권(通卷) 111∼121호의 부록으로 15회에 걸쳐 영인하여 실었고, 권11도 1959년에 《어문학자료총간(語文學資料叢刊)》 제1집으로 영인·간행하였다.
현재 원간은 금속활자본으로 권691319가 국립중앙도서관에, 권2324가 동국대학교 도서관에, 권20이 어느 개인이 소장하고, 복각된 중간본 권311이 전할뿐인데, 모두 24권이었을 것으로 추정됨
나. 소장상태
현재 전하는 것은 국립중앙도서관 소장 권6·9·13·19의 초간본 4책(보물 523), 동국대학교 도서관 소장 권23·24의 초간본 2책, 호암미술관 소장의 복각된 중간본 권11 1책, 1979년 아주대학교 천병식(千炳植) 교수가 발견한 복각된 중간본 권3 1책 등이 있다. 권6·9·13·19는 1955∼1957년에 한글학회에서 《한글》지(誌) 통권(通卷) 111∼121호의 부록으로 15회에 걸쳐 영인하여 실었고, 권11도 1959년에 《어문학자료총간(語文學資料叢刊)》 제1집으로 영인·간행하였다.
규장각: 마이크로필름, 열람 가능
M/F71-5-1-H, M/F99-35-38-A
3)5페이지 분량 손으로 쓰기.
<釋譜詳節 第九>
부톄 도녀 諸國 敎化샤 諸國 여러 나라히라 廣嚴城에 가샤 樂音樹 아래 겨샤 굴근 比丘 八千人과 잇더시니 菩薩 摩訶薩 三萬 六千과 摩訶薩 굴근 菩薩이시다 논 마리라. 國王과 大臣과 婆羅門과 居士와 居는 살씨니 居士 쳔 만히 두고 가며 사 사미라 天龍夜叉人非人 等 無量大衆이 恭敬야 園繞거늘人非人 사과 사 아닌 것과 논 마리니 八部를 어울워 니르니라 위야 說法더시니 그 文殊師利 世尊 샤 부로 일훔과 本來ㅅ 큰 願과 됴신 功德을 불어 니샤 듣 사 業障이 스러디여 障 마씨니 煩惱ㅣ 리여 涅槃 마며 無明이 리여 菩提 마씨라 像法이 轉 時節에 法이 처 盛히 行야 사미 번드기 수 時節은 正法이라 고 부텨 나 겨시던 時節이 더 멀면 사미 수
  • 가격2,900
  • 페이지수21페이지
  • 등록일2008.04.04
  • 저작시기2007.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5978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